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795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발달장애아동의 언어행동에 대한 국내 중재 연구의 양적 종합
김영표 ( Kim Young-pyo ) , 강종구 ( Kang Jong-gu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지적장애연구 [2021] 제23권 제1호, 1~24페이지(총24페이지)
이 연구에서는 발달장애아동의 언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언어행동 중재에 대한 연구현황을 양적으로 종합하고, 이러한 연구에 나타난 언어행동 중재의 전반적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위해 발달장애아동의 언어행동의 중재와 관련하여 18편의 국내발표 논문들을 분석하였다. 논문들에 대한 분석은 언어행동과 관련된 연구현황 및 중재 효과 크기(PND)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첫째, 언어행동 중재에 대한 연구는 많지는 않지만 꾸준히 발표되어져 오고 있었으며, 연구대상에 있어서는 대체로 자폐성장애가 있는 남자 유아를 대상으로 중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또한 연구설계의 경우 중다기초선 설계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검토대상 연구의 대부분은 신뢰도를 제시하였지만, 중재충실도 및 사회적 타당도에 대한 제시는 다소 부족하였다. 둘째, 중...
TAG 발달장애, 언어행동, 양적 연구 종합, 효과 크기, Developmental Disabilities, Verbal Behavior, Quantitative Research Synthesis, Effect Size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모듈형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차세진 ( Cha Se-jin ) , 황순영 ( Hwang Soon-you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지적장애연구 [2021] 제23권 제1호, 25~65페이지(총41페이지)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생의 균형잡힌 성 발달을 지원하기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을 모듈형으로 개발하고, 타당도와 양호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 지적장애학생 요구 조사, 전문가 집단 델파이 조사(2차), 특수교사 양호도 조사 등의 연구방법을 순차적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램의 내용 타당도와 구조 타당도 모두 전체 평균 4.60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급내상관계수도 .900(p<.001)이상의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다만, 구조타당도의 켄달계수가 통계적 유의미성을 확보하지 못하거나 낮은 일치도를 보였다. 양호도는 전체평균 4.45이상이며, 전체 세모듈이 놓은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최종적으로 개발한 프로그램은 대모듈 4개, 중모듈 7개, 소모듈 14개, 세모듈 29개(신체구조와 기능, 2차 성징(여자, 남자), 신체청결, 속옷청결, 자위...
TAG 지적장애, 성교육, 성교육 프로그램, 모듈, intellectual disabilities, sexuality education, sex education, sex education program, sexuality education program, module
경도지적장애 청소년의 조망수용 및 상위언어능력 비교 연구
김화수 ( Kim Wha-soo ) , 임소연 ( Lim So Yeo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지적장애연구 [2021] 제23권 제1호, 67~87페이지(총21페이지)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경도지적장애 청소년을 대상으로 조망수용 및 상위언어능력 발달 수준과 특성을 알아보고 언어적 중재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데 있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만 19~21세이면서 언어연령이 8~9;11에 해당하는 경도지적장애 청소년(이하 지적장애집단) 15명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아동(이하 비장애 집단) 15명으로 총 30명이다. 자료처리는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나타내었다. [결과] 두 집단 간 조망수용능력과 상위언어능력 전체점수 점수 결과, 지적장애 집단에 비해 비장애 학생 집단의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범주별 살펴보면 조망수용능력 하위범주에서는 의도, 사고, 감정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상위언어능력에서는 음운, 구문, 화용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결론] 본 연구는 최근 ...
TAG 경도지적장애 청소년, 조망수용능력, 상위언어능력, Adolesc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perspective-taking ability, meta-linguistic ability
지적장애학생 통합교육에 대한 중등학교 미술교사의 경험과 인식
배현진 ( Bae Hyunjin ) , 홍정숙 ( Hong Jeongsuk ) , 이현주 ( Lee Hyunjoo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지적장애연구 [2021] 제23권 제1호, 89~117페이지(총29페이지)
이 연구는 지적장애학생이 통합된 중등학교 미술수업에 대한 미술교사의 경험과 인식을 분석하여 성공적인 통합 미술수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지적장애학생 통합교육 경험이 있는 중등미술교사 8명에게 개별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을 통해 수집된 전사 자료는 연속적 비교분석법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22개의 하위 주제, 5개의 주제, 2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통합 미술수업은 교육과 정적 통합에 이르지는 못하고 있었으나, 미술교사는 자리배치, 심리·정서적 배려, 또래 도우미 배정 등의 교수환경 수정과 연수 참여 등 개인적인 차원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고, 통합 미술수업을 통해 지적장애학생은 사회성 기술 향상을 비롯한 긍정적 성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한편 미술교사들은 통합교육 관련 전...
TAG 통합교육, 미술교과, 지적장애, 중등학교, 지원 요구, Inclusive education, art subject,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ary schools, Support needs
발달장애인평생교육센터에 근무하는 어느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강성하 ( Kang Sungha ) , 남경욱 ( Nam Kyounguk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지적장애연구 [2021] 제23권 제1호, 119~148페이지(총30페이지)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평생교육센터(이하 센터)에 근무하는 한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을 탐구할 목적으로 수행된 연구로서,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발달장애인평생교육과 센터 체제가 교육기능을 중심으로 개선하려는 노력에 있어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특수학교와 센터 양쪽의 경험이 풍부한 특수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기 위해 단일사례연구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심층면담 자료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센터의 주 이용자는 중도의 발달장애성인이며 그들의 교육적 요구는 학령기 때에 비해 크게 달라진 게 없는 반면, 그들과 부모의 생애주기 변화로 인한 차이점들을 경험하였다. 둘째, 센터의 교육은 이용자 수준과 특성을 반영해 융통성 있게 제공하고 있는데,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는데 있어 어려움으로는 센터의 정체성 혼란, 교육과...
TAG 발달장애인평생교육센터, 중도발달장애성인, 평생교육, 특수교사, 개인중심 서비스, Lifelong Education Center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dults with severe developmental disabilities, lifelong education, special teacher, individual-centered service
교사인식에 바탕한 국내 발달장애학생 전환교육 연구 탐색: 중요도, 실행도를 중심으로
박지현 ( Park Jihyun ) , 이미지 ( Lee Miji ) , 황지은 ( Hwang Jieu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지적장애연구 [2021] 제23권 제1호, 149~174페이지(총26페이지)
본 연구는 교사인식을 바탕으로 한 국내 발달장애학생 전환교육 연구를 탐색하고 이를 중요도와 실행도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향후 전환교육 실천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목적을 밝히기 위해 2001년부터 2020년까지 발표된 국내 학술지 논문 중 발달장애학생 전환교육과 관련한 교사인식을 제목이나 초록에 포함하는 연구를 수집하였다. 선정 및 배제 준거에 따라 총 53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학생 전환교육에 관한 교사인식 연구는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이 시행된 2008년을 기점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둘째, 연구유형은 설문지를 활용한 조사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고, 면담을 통한 질적연구가 뒤를 이었다. 셋째, 연구대상인 교사 특성의 경우 특수교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중,...
TAG 전환교육, 발달장애, 교사 인식, 중요도, 실행도, Transition education, developmental disabilities, teachers’ perceptions, importance, performance
비디오모델링을 활용한 노동인권교육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직업 관련 자기옹호에 미치는 영향
이종민 ( Lee Jong Min ) , 김유리 ( Kim Yu Ri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지적장애연구 [2021] 제23권 제1호, 175~206페이지(총32페이지)
본 연구는 ‘비디오모델링을 활용한 노동인권교육’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직업 관련 자기옹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특수학교에 재학하는 고등학교 지적장애 15인을 대상으로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 설계를 사용하여 총 15회기의 노동인권교육을 제공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동인권교육 실시 이전과 이후의 실험집단의 자기 옹호 총점을 비교한 결과 자기옹호 사후점수가 사전점수 총점에 비해 유의하게 높아진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노동인권교육 실시 이후 노동인권침해의 4가지 상황(‘임금체불’, ‘폭언·폭행·성희롱’, ‘산업재해’, ‘안전사고’) 모두에서 실험집단의 자기옹호 평균점수가 실시 이전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아진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노동인권교육 실시 이전과 이후 실험집단의 직업 관련 자기옹호의 구성요소인 문제상황인식과...
TAG 노동인권교육, 자기옹호, 비디오모델링, 직업교육, 지적장애, Labor human rights education, Self advocacy, Video modeling, Vocational education, Intellectual disability
자기결정교수학습모형(SDLMI)에 기반한 자기점검전략이 자폐성장애 학생의 교실 및 원격 수업 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은희 ( Park Eun Hee ) , 임희정 ( Lim Hee Jung ) , 이선희 ( Lee Surn Hee ) , 백은희 ( Paik Eunhee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지적장애연구 [2021] 제23권 제1호, 207~228페이지(총22페이지)
본 연구는 자기결정교수학습모형(SDLMI)에 기반한 자기점검전략이 자폐성장애 학생의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Y초등학교 시간제 특수 학급에 배치된 자폐성장애 학생 1명으로 상황 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multiple probe design acrooss settings)를 적용하여 실험하였다. 대상 학생의 수업참여행동이 발생하는 특수 학급, 통합학급, 가정 상황에서 자기결정교수학습모형(SDLMI)에 기반한 자기점검전략을 적용하였고, 중재 전후로 목표달성척도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자기결정교수학습모형(SDLMI)에 기초한 자기점검전략이 연구 참여 학생의 수업참여행동 및 기대목표에 영향을 미쳤고, 중재 종료 후에도 특수학급과 가정 상황에서 효과는 유지되었다. 따라서, 자기결정교수...
TAG 자기결정교수학습모형, 자기결정, 자기점검전략, 수업참여행동, 자폐성장애, self-monitoring strategies, self-determined learning model of instruction, academic on-task behavior, autism spectrum disorder
경도 지적장애학생의 성문제 해결을 위한 특수학급 교사와 외부 전문가의 협력 경험
김아름 ( A-reum Kim ) , 이미숙 ( Misuk Lee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지적장애연구 [2021] 제23권 제1호, 229~247페이지(총19페이지)
본 연구는 경도 지적장애학생의 성문제 해결을 위해 협력한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와 외부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협력 경험, 협력에 대한 인식, 그리고 바람직한 협력 방안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경도 지적장애학생의 성문제 해결을 위해 1년 이상 협력한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 3명과 외부 전문가 4명을 선정하였고, 자료 수집은 개별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도 지적장애학생의 성문제가 발생하면 특수교사는 문제 해결을 위해 외부 전문가와 다양한 방법으로 협력하고 있었다. 둘째, 특수교사와 외부 전문가의 협력을 통해 학생에 대한 다양한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었지만, 예산 부족, 협력 지침의 부재 등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어려움이 존재하였다. 셋째, 특수교사와 외부 전문가들은 협력을 통해 경도...
TAG 지적장애, 특수교사, 성문제, 협력, intellectual disability,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xual problems, collaboration
지적장애인 대상 사회성 중재에 대한 메타분석 : 국내 집단설계연구를 중심으로
김동일 ( Kim¸ Dongil ) , 임진형 ( Lim¸ Jinhyung ) , 안제춘 ( An¸ Jechu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지적장애연구 [2020] 제22권 제4호, 1~25페이지(총25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사회성 중재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으로, 국내학술지에 게재된 집단설계연구 논문 총 48편(지적장애인 총 903명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연구에서 산출된 효과크기는 연구대상 변인(소속유형, 발달기), 중재 프로그램변인(프로그램 유형, 중재 기간, 중재 회기 수, 회기당 시간, 집단 크기), 그리고 종속변인에 따라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지적장애인 대상 사회성 중재의 전체 효과크기는 0.89로 Cohen의 기준에 따라 큰 효과크기에 해당하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조절변인에 따른 사회성 중재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 변인에 따라 통합학급에 소속되어있는 경우와 성인기 지적장애인인 경우에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둘째, 중재 프로그램 변인에 따른 효과는 치료 프로그램인 경우, 1...
TAG 사회성 중재, 지적장애, 메타분석, Sociality intervention, intellectual disabilities, meta-analysi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