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AND 간행물명 : 교육학논총395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1920년-1930년대 연해주 지역 한인의 문맹 퇴치 운동
이종원 ( Jongwon Yi )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교육학논총 [2020] 제41권 제1호, 1~29페이지(총29페이지)
기대와는 달리 10월 혁명 후에도 여전히 해소되지 않은 민족 문제는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문제였기 때문에 볼셰비키 정권은 소수민족들의 문화적 발전을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소수민족의 문화적 발전의 핵심은 현지화 정책이었고, 소수민족의 문맹 퇴치가 그 정책의 열쇠였다. 소비에트 정권은 문맹퇴치 법안을 만들고 문맹 퇴치 교육을 강력하게 실시하였다. 연해주 한인들은 현지화를 고려화로 칭하고, 다양한 문맹 퇴치 사업을 전개하였다. 연해주 한인들의 문맹 퇴치 사업은 국어를 정리하는 어문 정책과 실제 교육 실천으로 구분될 수 있다. 문맹 퇴치기반 사업으로서의 어문 정책에는 한문 폐지, 국문의 라틴문자화, 국어 문법 통일에 대한 노력들이 있었고, 문맹 퇴치 교육 실천으로는 문맹 퇴치소 강령(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개발 및 보급 등이 있었다. 이러한 노력들...
TAG 문맹퇴치 교육, 라틴문자화, 한문 폐지, 문법 통일, 연해주, literacy education, Romanization of Korean letter
탐구적 과학글쓰기 수업이 초등과학영재학생들의 논증과정 변화에 주는 영향
전리나 ( Jeon Rina )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교육학논총 [2020] 제41권 제1호, 31~52페이지(총22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탐구적 과학글쓰기 수업이 영재 학생들의 논증과정 평가 결과와 증거 수준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거점 영재학급의 학생 20명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광역시 소재 교육청 영재학급의 학생 20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총 10차시의 탐구적 과학글쓰기 수업을 실시하고, 비교집단은 일반적인 영재수업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구적 과학글쓰기 수업을 한 실험집단의 영재학생들의 논증과정 수준이 향상되었으며 형식 범주보다는 내용, 태도 범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향상을 보였다. 둘째, 증거 수준의 변화에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를 알 수 없었으나, 실험 집단의 경우 사전ㆍ 사후 검사 간의 차이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TAG 탐구적 과학글쓰기, 과학적 논증과정, 증거수준, Science Writing Heuristic, argumentation, the level of evidence
한국 사회의 대안적 다문화사회 탐색
이종원 ( Jongwon Yi )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교육학논총 [2020] 제41권 제1호, 53~68페이지(총16페이지)
한국 사회의 체류 외국인의 수가 급격하게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우리 사회는 OECD 국가 중 출산율 최저, 생산 연령 인구의 급속한 감소 때문에 이주노동자는 급격히 늘어날 것이다. 이런 이유로 우리 사회에서 다문화 문제는 심각하게 해결해야 할 문제가 된 것이다. 이 논의는 단일민족주의에 대한 회의와 자기반성에서 발생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 단인 민족 개념이 여전히 작동하여 외국인, 특히 저개발국 출신의 이주민에게 대해 더욱 차별적 태도를 유지하게 하였다. 우리 사회가 다문화사회로 나가는데 결정적 장애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이 단일민족 개념이며, 이것은 독특한 한국의 역사 사회적 맥락에서 발생하였고, 이것이 상대적 배타성 속에서 작동하고 있다. 우리보다 먼저 다문화를 경험한 나라의 프로그램을 참고로 우리 사회에 가장 적합한 다문화사회의 ...
TAG 다문화 사회, 단일 민족, 민족 호혜 평등성, multicultural society, single people, ethnic reciprocity and equality
IB교육과정의 도입과 과제 -대구시교육청을 중심으로-
신경애 ( Shin Kyungae )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교육학논총 [2020] 제41권 제1호, 69~80페이지(총12페이지)
한국은 급격한 국제 사회의 변화에 대응하고 미래 사회에 대비한 공교육의 혁신을 도모하고 있다. 이를 위해 최근 국내 학계와 현장에서 IB 프로그램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IB가 한국의 만성적인 주입식 교육의 폐해를 개선하고, 공교육 혁신의 성공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기 때문이다. 또한 2015년 개정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인간상과 핵심역량이 IB와 공유하는 부분이 많고,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연계를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이처럼 한국의 공교육의 변화, 교육 경쟁력 강화를 위해 주목을 받고 있는 IB의 도입과 과제에 대해 본 연구에서는 대구시교육청의 시도를 중심으로 탐구한다. 대구시 교육청은 2018년부터 본격적으로 공교육에서 IB 프로그램의 도입을 추진해왔다. 그 결실로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초등학교와 중학교가 2...
TAG IB, International Baccalaureate, 대구시교육청, 교육개혁, 교육과정, 공교육, Daegu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Education Reform, Curriculum, Public Education
역량중심 교육의 비판과 대안 탐구
강현석 ( Hyeon-suk Kang ) , 조인숙 ( In-sook Cho )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교육학논총 [2020] 제41권 제1호, 81~97페이지(총17페이지)
본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채택, 적용되고 있는 역량중심 교육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을 개관하고, 특히 한국의 상황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지점을 지적하고 그 대안을 모색해 본 것이다. 한국의 경우는 역량중심 교육을 논의하는 갈래가 매우 다양하며, 국가 기관에서 주도적으로 제시하는 바가 전국적으로 적용되고 국가수준 교육과정에도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분명히 역량중심 교육은 기존의 단순 지식을 습득하게 하는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는 실효적이다. 그러나 교육과정의 계획과 실천, 평가의 맥락에서 바라보면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많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과거 DeSeCo 프로젝트에 이어서 최근 OECD 2030 보고서에서 표방하는 역량의 흐름과 뉴질랜드에서 새롭게 적용하고 있는 능력 접근에 기반하여 새로운 대안을 제안하고 있다. 동시에 역량중심...
TAG 역량중심 교육, 능력 접근, 역량기반 교육과정, 이해중심 교육과정, 지식교육, 교육과정 이해력, competency-based education, capability approach, competency-based curriculum, understanding-based curriculum, knowledge education, curriculum literacy
아동문학을 활용한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정서지능과 창의적 공부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이용조 ( Lee Yongjo )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교육학논총 [2019] 제40권 제1호, 1~23페이지(총23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아동문학를 활용한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이들의 정서지능과 창의적 공부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해 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D시에 소재한 O초등학교 3학년 2개 반 학생 총 54명이 참여하였다. 이들 중 한 개 반은 실험집단에 다른 한 개 반은 통계집단에 무선 할당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적 설계는 전후검사 통제집단 설계이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총 12회기의 아동문학을 활용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다음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정서지능과 창의적 학습 효능감의 평균차이를 검증하였다. 독립표본 t-검증 및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첫째, 아동문학(동화 동화 시)을 활용한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정서지능 총점 및 하위요인 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아동문학(동...
TAG 아동문학,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 정서지능, 창의적 학습 효능감, 동화, 동화 시, children’s literature based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program, emotional intelligence, creative study efficacy
창의적 체험활동의 진로활동 교육과정 변천 연구
조영남 ( Cho Young-nam )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교육학논총 [2019] 제40권 제1호, 25~43페이지(총19페이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특성을 반영한 진로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 연구는 창의적 체험활동의 4대 영역 중 하나인 진로활동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을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진로활동은 2009 교육과정 때 창의적 체험활동의 대 영역으로 편성되어 2015 교육과정까지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진로활동 관련 내용은 1차 교육과정 때 특별활동에 해당되는 항목 중 ‘직업준비 및 이용후생에 관한 것’으로 처음 등장하였다. 2차 교육과정 때 특별활동의 목표에 ‘직업적 특수 기능을 기른다’는 목표가 반영되었으나, 2차 부분 개정과 3, 4, 5차 교육과정 때에는 특별활동에 진로활동 관련 목표나 내용이 반영되지 않았다. 6차 교육과정 때 대 영역인 학급활동의 하위 활동인 적응활동의 내용 중 기본생활 습관형성 활동의 예로 ‘일의 세계’와 ‘근로정신’이 반영되었...
TAG 창의적 체험활동, 진로활동, 자기이해활동, 진로탐색활동, 진로설계활동,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career activity, self-understanding activity, career-exploration activity, career-design activity
1930년대 연해주 한인 교육에 있어서 종합기술교육의 의미와 한계
이종원 ( Jongwon Yi )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교육학논총 [2019] 제40권 제1호, 45~61페이지(총17페이지)
10월 혁명 후 볼셰비키 정권은 학생들이 노동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교육 개혁을 하고자 하였다. 그 개혁의 방향은 통합노동학교와 종합기술교육이었다. 통합학교는 차별적 복선제 학교 체제를 단선제 학교 체제로 전환하는 것이며, 노동학교는 학생이 노동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제도적 측면에서의 변화를 의미한다. 종합기술교육은 통합노동학교가 될 수 있도록 교육내용과 방법을 변화시키려고 한다. 1930년대 연해주 한인 교육에서 종합기술교육이 나타난 특성과 한계성은 이론적 지식과 실천적 지식의 접합, 학교 급에 따른 상이한 교육 내용, 통합교육과정, 국가 주도적 보급과 저항이다.
TAG 종합기술교육, 민족교육, 연해주, polytechnical education, unified labor school
창의적 체험활동의 봉사활동 교육과정 변천 연구
조영남 ( Cho Young-nam )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교육학논총 [2018] 제39권 제2호, 1~20페이지(총20페이지)
이 연구는 2015 교육과정의 창의적 체험활동 4대 영역 중 하나인 봉사활동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을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봉사활동은 7차 교육과정 때 처음으로 특별활동의 대 영역으로 편성되어 2015 교육과정의 창의적 체험활동까지 계속 대 영역으로 편성되어 있다. 하지만 봉사활동은 2차 교육과정 때 학교의 아동 전체가 참가하는 활동의 예로 처음 등장하였다. 2차 부분 개정과 3차 교육과정 때에는 특별활동의 대 영역인 클럽활동의 하위 영역에 봉사, 관리를 위한 클럽활동으로 편성되었다. 4차 교육과정 때에는 학교행사의 하위 내용 중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행사의 예로 봉사활동이 편성되었다가, 5차 교육과정 때 다시 클럽활동의 하위 영역으로 봉사·수련활동이 편성되었다. 6차 교육과정 때에는 봉사·지원활동이 대 영역인 학교활동의 하위 영역인 행사활동...
TAG 창의적 체험활동, 봉사활동, 봉사학습, 봉사·수련활동, 봉사·지원활동,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service activity, service learning, service·training activity, service·supporting activity
교육과정 설계 유형의 이해 방식1)
이원희 ( Lee Won-hee )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교육학논총 [2018] 제39권 제2호, 21~34페이지(총14페이지)
본 연구는 미래 사회에 대한 전망을 토대로 학교 교육과정의 변화 요구를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는 방안으로 들뢰즈의 리좀 방식에 주목하고 이를 통해 교육과정 설계에 대한 새로운 안목과 방식에 대한 이해를 확충하는데 목적이 있다. 미래 사회에는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융합하여 새로운 지식을 창조할 수 있는 융합적 사고가 요구된다. 교육과정을 통해 학생들의 융합적 사고를 함양하기 위해서는 위계적이고 고정된 지식을 강조하는 교육과정 설계 방식 외의 새로운 교육과정 설계 방식이 필요하다. 그 대안으로 다양한 지식들이 동등한 지위를 가지고 통합하는 방식에 따라 새로운 지식을 생성하는 특성을 지닌 리좀 방식의 설계 방안에 대해 탐구하였다.
TAG 들뢰즈의 리좀적 지식, 융합적 사고, 미래사회, 교육과정 설계, future society, rhizome knowledge, fusion thinking, curriculum design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