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구 한국청소년문화학회)373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본립이도생 (本立而道生)
박영진(서도) , 김익수(해설)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구 한국청소년문화학회), 청소년과 효문화(구 한국의 청소년문화) [2020] 제36권 5~8페이지(총4페이지)
『소학』과 『명심보감』의 효사상에 관한 고찰
이미숙 ( Lee Mi-sook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구 한국청소년문화학회), 청소년과 효문화(구 한국의 청소년문화) [2020] 제36권 11~39페이지(총29페이지)
『소학』과 『명심보감』 의 서술체계와 효사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명심보감』은 『소학』에 비해 102장이 적게 실려 훨씬 간편한 서술체계로 구성되어 교육의 부담감이 적었으며, 그 내용도 『소학』 보다 아동들이 빠르고 쉽게 익힐 수 있도록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인용된 서적 종류의 수는 비슷하지만 『소학』은 주로 유교경전을 주로 인용했으나, 『명심보감』은 유교경전 이외에 『이견지』, 『포박자』와 같은 도가의 서적도 인용되었다는 것이다. 또 『소학』에서는 『예기』, 『논어』 가장 많이 인용되었지만 『명심보감』에는 『경행록(景行錄)』 과 『익지서(益智書)』 가 가장 많이 인용되어 두 책의 편찬 성격이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소학』과 『명심보감』은 모두 다양한 인물의 어록이 인용되었는데, 『소학』은 유가의 인물들의 어록과 행적이 실려 있는 반면 『명심보감』...
TAG 효행, 명심보감, 소학, 공경, , , Sohak, Minsimbogam, Ffilial Piety, Honoring
『동몽선습』에서의 효 교육
장정태 ( Jang Jeong-tae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구 한국청소년문화학회), 청소년과 효문화(구 한국의 청소년문화) [2020] 제36권 41~63페이지(총23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조선 중기 명종 때 유학자 박세무가 저술한 어린아이들의 소양서 『동몽선습』 내용 가운데 효와 관련된 부분을 주로 연구하였다. 『동몽선습』은 기존의 유교경서를 중심으로 우리 실정에 맞도록 편집되었다. 3장의 본문으로 구성된 이 논문의 1장은 동몽선습 내용분석으로 2장 『동몽선습』의 효 배경이 되는 부자유친에서는 어버이에 대한 효를 실천하는 배경 설명으로 가정에서 윤리적 효를 검토하였다. 효는 단순히 어버이를 봉양하는 실천이 음식, 의복에 대한 부분뿐 아니라 어버이의 행동에 대한 조언과 그 후 자식의 도리를 검토하였다. 효가 제대로 교육되지 않은 현대사회에서 효 인식은 고루한 교육, 일방적 실천의 강요 교육으로 효를 이해하고 있다. 그러나 유가의 효는 쌍방 교류의 효라고 할 수 있다. 부모는 자식을 올바른 길로 훈육하도록 교육되었으면 자식은 ...
TAG 『동몽선습』, 고대, 단군, 부자유친, 지식인, 천자문, 계몽 편, Ancient, Dongmong, Dangun, Bujulchin, Intellectuals, Enlightenment
효 사상의 본질적 의미 연구
이윤재 ( Lee Yun-jae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구 한국청소년문화학회), 청소년과 효문화(구 한국의 청소년문화) [2020] 제36권 65~87페이지(총23페이지)
유교에서의 효와 관련 공자는 “무릇 효는 덕의 근본이요, 교육이 여기에서 비롯된 바니라”고 하였고 “효는 모든 행동의 근원이요 모든 착함의 첫머리다” 라 하였다. 그래서 『효경』에서는 효 만행의 근본이라고 말하고 있다. 효도는 가정에서 부모를 섬기고, 모셔서 봉양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여 사회에 봉사하고 이바지하는 것이 중간지점의 할 일로 보고, 나머지 마지막으로 효도와 충성 두 가지를 겸전하여 입신출세하여 완전한 사람으로 의미 있는 생활을 보낼 수 있는 인간이 되어야 한다. 조선시대는 성리학을 국시로 천명한 유교주의 국가였다. 유교는 인간의 사후 세계 즉 내세보다 현세의 인간 세계를 더 중요시하고, 현실의 삶에 성실하고 충실해지길 요구하고 있다. 또한, 인간 상호 간의 도리를 다함이 ‘인(仁)’이라 한다면, 그 기본적인 인의 발현 양상이 ‘부자자효’의 혈...
TAG 공자, 유교, 성리학, , 인의예지, 전통사회, 윤리, Confucius, Neo-Confucian philosophy, confucianism, Filial Piety, Traditional Society, Ethics
공자의 인(仁)사상과 효(孝)교육문화를 통한 인격과 인성교육 방향(3)
김익수 ( Kim¸ Ik-soo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구 한국청소년문화학회), 청소년과 효문화(구 한국의 청소년문화) [2020] 제36권 91~109페이지(총19페이지)
우리 고유사상인 인효사상(仁孝思想)을 계승해 집성한 유교는 공자를 통해 세계적인 사상으로 발전하였다. 유교의 기초는 바로 공자의 핵심사상인 인(仁)이다. 그런데 공자의 큰 가치이기도 한 인사상은 인간가치의 최고덕목이자 목표인데, 다양하기도 하고 무궁무진하기도 하며 심오하기 그지없다. 군자로서 지켜야 할 최고목표가 인이란 덕목의 실현이라고 볼 수도 있다. 공자의 찬술이기도 하지만, 6경에 인학(仁學)이 나와 있으며 사서의 하나인 『논어』에서만도 109번 나온다는 것을 보면, 얼마나 공자가 인을 강조했는지 짐작이 간다. 공자의 가치요목 중에 최고덕목임은 두 말할 것도 없다. 그렇지만 인의 정의를 확실하게 내린 적은 없다. 학문을 청하는 제자들에게서 많은 질문을 받고 토론을 했지만, 질문자의 처지와 의도, 목적과 성격에 따라 달리 답변이 나왔던 것이다. 그렇기...
TAG 공자의 인사상, 효교육문화, 인격과 인성교육, 전통교육, 인과 도, Confucius’ In ideology, Hyo educational culture, personality and humanistic education, traditional education, “In” and “Do”
유교의 정좌법에 대한 고찰 - 청소년 수양을 위한 기본 체계 -
김용길 ( Kim Yong-kil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구 한국청소년문화학회), 청소년과 효문화(구 한국의 청소년문화) [2020] 제36권 111~147페이지(총37페이지)
유교에서 정좌(靜坐)는 건전한 육체를 유지하며, 고요히 앉아서 정신 집중으로 마음을 하나로 모아 자신의 본성을 찾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정좌는 본래 인간 존재의 근원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용되기도 하고 심신의 건강과 안정을 찾기 위해서도 행하여져 왔다. 12세기에서 13세기 중국 송나라 시대에는 불교가 전성기를 누리고 있었는데 당시에 유교도 종교적이나 학술적으로 불교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정좌라는 말은 이 시기에 등장하는 새로운 형태로서, 그 이전에는 없었던 말이다. 이러한 정좌는 학파에 따라 다르기도 하고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변천되었다. 정좌법은 개인의 취향이나 학파 등에 따라 정좌를 취하는 자세와 방법, 정좌의 이치 및 효과, 정좌의 현상 및 궁극의 경지까지 서로 다르다. 그러나 정좌는 일상 속에서 자신의 마음과 몸을 대상으로 하는 수행하는 ...
TAG 유교, 정좌, 정좌법, 명상, 본성, 치료, 마음, 청소년, Confucianism, Jeong-jwa, Jeong-jwa method, meditation, one’s inner self, therapy, mind, adolescent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와 『청소년과 효문화』 지의 역사 및 게재 논문 유형
장재천 ( Chang Jae-cheon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구 한국청소년문화학회), 청소년과 효문화(구 한국의 청소년문화) [2020] 제36권 149~165페이지(총17페이지)
본고는 그 역사가 2020년이 되면서 어느 덧 20여년이 된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와 그 학회가 창간호부터 시작하여 34집까지 발간한 『청소년과 효문화』지를 분석해 학회의 나아가야 할 방향과 학회지에 게재되는 학술논문들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착수하였다. 이는 20여년의 세월 동안 장족의 발전을 하였으나 아직도 등재후보지가 못되었기에 중간 점검 차원에서라도 한 번은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하는 일이었고, 또한 학회나 학술지가 4차 산업혁명시대라 할지라도 변함없이 계속 되어야 되기 때문에 매우 어렵더라도 누군가는 이 과제를 수행해야 하는 일이었다.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는 회장이 한국사상문화학회의 회장을 겸하고 있으므로 형제관계라고 할 수 있으며, 한국사상문화학회의 학술지로서 100집(2019년 말)을 낸 『한국사상과 문화』와 한국청소년문화학회의 학술지인 『청...
TAG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 『청소년과 효문화』, , 등재, 인성교육, Korean Society for Adolescents and Hyo Culture, Journal of Youth and Hyo Culture, Filial Piety, Humanity Education
대학생 청소년들의 효의식에 관한 사례연구
김두현 ( Kim Doo Hyeon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구 한국청소년문화학회), 청소년과 효문화(구 한국의 청소년문화) [2020] 제36권 167~203페이지(총37페이지)
본 논문은 “대학생 청소년들의 효의식에 관한 사례연구”를 한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2019년 H대학교 노인체육복지학과 등 ‘사회복지법제’ 수업을 들었던 학생들로부터 50명의 리포트를 제출받아 그 중 의미 있는 리포트 39명을 선별하여 대학생 청소년들의 효의식에 대한 사례를 분석하여 연구한 것이다. 연구방법은 문헌적 연구와 리포트 분석을 통하여 연구한 것이다. 그리고 연구의 목적은 현재와 미래의 주역인 대학생 청소년들에게 효의식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서 그들의 부모 등과 소통을 원활하게 하여 청소년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 이를 계기로 효를 실천할 수 있는 동기부여를 갖게 하는데 있다. 연구의 결론을 보면 첫째, 국가는 청소년들에게 “효는 건강한 사회를 만드는 힘이다.”라는 것을 인식시켜야 한다. 둘째, 부모 등 어른들은 청소년들에게 “부모는 자식을 ...
TAG 대학생, 청소년, 효의식, 효사상, College students, teenagers, filial piety consciousness and filial piety thoughts
부자(父子)의 상장지익(相長之益)
박영진(서도) , 김문준(감상)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구 한국청소년문화학회), 청소년과 효문화(구 한국의 청소년문화) [2020] 제35권 5~8페이지(총4페이지)
본 논문은 “대학생 청소년들의 효의식에 관한 사례연구”를 한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2019년 H대학교 노인체육복지학과 등 ‘사회복지법제’ 수업을 들었던 학생들로부터 50명의 리포트를 제출받아 그 중 의미 있는 리포트 39명을 선별하여 대학생 청소년들의 효의식에 대한 사례를 분석하여 연구한 것이다. 연구방법은 문헌적 연구와 리포트 분석을 통하여 연구한 것이다. 그리고 연구의 목적은 현재와 미래의 주역인 대학생 청소년들에게 효의식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서 그들의 부모 등과 소통을 원활하게 하여 청소년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 이를 계기로 효를 실천할 수 있는 동기부여를 갖게 하는데 있다. 연구의 결론을 보면 첫째, 국가는 청소년들에게 “효는 건강한 사회를 만드는 힘이다.”라는 것을 인식시켜야 한다. 둘째, 부모 등 어른들은 청소년들에게 “부모는 자식을 ...
공자의 인(仁)사상과 효(孝)교육문화를 통한 인성교육 방향 - 『논어』와 사계의 『경서변의ㆍ논어』에 함의 된 경학사상과 인간관을 중심으로 -
김익수 ( Kim Ik-soo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구 한국청소년문화학회), 청소년과 효문화(구 한국의 청소년문화) [2020] 제35권 11~43페이지(총33페이지)
우리 고유사상인 ‘천부경’의 정신철학과 ‘한인오훈’의 인류도덕 윤리의 원전이라 할 수 있는 ‘한인오훈(桓仁五訓)’이야말로 세계적인 철학과 인효사상의 최초의 원전임을 알야야 한다. 그런데 문자가 없었던 한국(桓國)시대에 하느님으로부터 내려받아진 것이다. 우리 민족은 세계철학의 원전인 천부경(天符經)에서 정신철학을 이어받았고 또 사람이 사람답게 사는 인(仁)사상과 효(孝)교육문화의 원전(原典)인 ‘한인오훈(桓仁五訓)’에서 사람다움이 되는 교육문화의 뿌리가 심겨진 천손민족이다. 그 시대 사람들은 미래지향적 정신철학과 사람답게 살아갈 수 있는 인(仁)사상과 효 교육문화로 평화로운 세상이며 미래지향적인 안정된 세상이라 생각되어 행복을 느꼈을 것이다. 공자의 仁인을 지향하여 인간의 기본으로써 효제를 갖춘 사람은 사회의 어른에게도 공경스럽고 사회 질서를 문란케 하지 않는...
TAG 논어, 사계의 경서변의 ㆍ 논어, , , , , 인성교육, 효제, Samsungji, Confucius, Benevolence, , Thought, Educational Culture of Filial Duty, Adolescent Education, Restoration of the Principles of Korean Though and Culture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