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AND 간행물명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연구보고서67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2020년 민주주의 과제 연구보고서> 기념관·박물관의 연구부서의 역할
최종숙 , 황인구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연구보고서 [2020] 제2020권 1~115페이지(총115페이지)
이 연구는 기념관시대를 맞아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가 어떠한 준비를 해야 하는지 한국의 주요 박물관/기념관과 미국의 주요 박물관/기념관을 선정하여 분석, 검토하였다. 이 보고서에서 살펴본 기념관/박물관은 독립기념관, 국립민속박물관, 서울역사박물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부산 민주항쟁기념관(민주공원)이다. 비교를 위해 민주인권기념관도 포함시켰다. 아울러 미국의 주요 기념관인 평화와 정의를 위한 국가기념관, 국립 아프리카계 미국인 역사문화박물관, 국립민권인권센터, 국립 아메리칸 인디언 박물관도 함께 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1) 연구기능의 중요성: 이글에서 다룬 여러 박물관/기념관은 모두 한 목소리로 박물관/기념관에서 연구활동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말하고 있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의 연구소는 ‘연구’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정립하고 이를 통...
청계천·을지로 재개발 반대운동의 투쟁 방식과 활동가들의 경험 - 청계천을지로보존연대를 중심으로 -
최혁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연구보고서 [2019] 제2019권 3~36페이지(총34페이지)
지난 2018년 말 세운3구역에 재개발이 시작되면서 청계천·을지로 일대의 상공인들이 쫓겨나기 시작했다. 상공인들은 ‘청계천생존권사수비상대책위원회’를 결성하여 다수의 제조업체와 유통업체가 소속되어 있는 ‘한국산업용재협회’와 함께 재개발 반대투쟁을 하기 시작했고, 시민들은 ‘청계천을지로보존연대’를 만들어 재개발을 막기 위한 저항운동을 시작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는 세운재정비촉진지구에서 발생한 재개발 사태와 그에 맞서 싸운 투쟁을 기록하기 위해, ‘청계천을 지로보존연대’를 중심으로 청계천·을지로 재개발 반대운동의 갈등 지형과 저항의 방식 그리고 운동에 참여했던 활동가들의 경험을 분석했다. 이 도시운동은 역사적·산업적·문화적 가치가 있는 ‘산업생태계’를 보존하고 활성화하자는 주장을 하면서 다양한 방식의 저항을 시도했다. 이런 운동을 전개할 수 있었던 이유는 청계천...
세대별 차이에 따른 민주주의 감수성
변혜리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연구보고서 [2019] 제2019권 39~61페이지(총23페이지)
한 세대는 서로 배타적일 수 없고, 영향을 주고받는다. 그러나 시대적 경험과 주요 체험한 사회적 맥락에서의 제도, 체제 등에 따라 세대별로 특징적인 구분을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세대별 특징은 때때로 갈등을 일으키는 요인이 되어 세대론을 전개시키기도 하였다. 그러나 한 세대의 특징이 그다음 세대와 그 전 세대의 영향 속에서 형성된다는 점은 곧, 세대 간 교류와 이해를 통해 조직 내의 소모적인 갈등을 해소하는 중요한 해결책이 된다. 따라서 세대와 세대 간의 특징과 그에 대한 배경을 아는 것은 사회적 갈등 해결 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조직구성원들의 의사결정과정과 조직의 문화에 따라 발견할 수 있는 민주감수성에 대한 특징은 세대별로 차이를 보인다. 특히 80~90년대 민주화운동을 겪은 세대와 그 이후의 세대에서 보이는 민주감수성에 대...
기초자치단체의 청년 거버넌스 활성화 방안 연구 - 서울특별시 중랑구 청년 네트워크 사례를 중심으로 -
이탁연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연구보고서 [2019] 제2019권 65~86페이지(총22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기초자치단체 단위에서의 청년 거버넌스를 활성화하고 내실화하기 위한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서울특별시 중랑구이며, 연구 내용은 중랑청년 네트워크를 통해 현재 진행 중인 기초자치단체 단위에서의 청년정책 거버넌스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주된 연구 방법은 청년정책 거버넌스에 참여한 청년들의 내러티브 연구이다. 본 논문은 내러티브 연구를 통해 청년정책 거버넌스의 문제점을 아래와 같이 도출했다. 요약해보면, 첫째, 소수 참여자들 중심으로만 활동이 진행된다. 둘째, 참여자들 간 갈등이 빈번하며, 이에 대처하기 위한 기초자치단체 차원에서의 대응방안이 없다. 셋째, 청년정책 거버넌스를 운영하기 위한 기초자치단체의 예산이 부족하다. 넷째, 기초자치단체에서 참여자들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이나 훈련 지원...
여성청년정치인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고찰 - 정의당에서의 경험을 중심으로 -
조혜민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연구보고서 [2019] 제2019권 89~101페이지(총13페이지)
2012년, 진보정의당(현 정의당) 당원을 시작으로 지난 2019년 9월, 여성본부장부터 21대 국회의원 비례대표, 대변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경험을 했던 연구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여성청년정치 인으로서의 활동은 어떤지, 지속가능성에 대한 과제는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연구자는 정의당 내 대의원, 성소수자위원회 등 경험과 여성단체 활동의 경험을 바탕으로 정의당 여성본부장의 역할을 제안받아 소위 ‘직업정치인’으로서의 활동을 시작하게 된다. 그간 정당 내 여성본부장(여성위원장)의 역할이 중년 여성들이 맡았다는 점에 비춰 볼 때, 2-30대 여성에게 기회라는 점이자 동시에 여성청년이라는 소수자의 정치적 대표성에 대해 고민하게 된다. 여성본부장경험을 바탕으로 정의당의 20대 페미니스트 정치인으로 선언하기 위해 21대 총선 비례대표 후보로 나섰지만 당내 경선 ...
민주화 이후 과거청산과 소수자 인권운동 : 형제복지원사건을 중심으로
최종숙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연구보고서 [2018] 제2018권 1~62페이지(총62페이지)
이 연구는 민주화 이후 과거 국가폭력에 대한 진상규명을 요구하는 과거청산운동이자 민주화 이후 등장한 소수자 인권운동의 한 사례라고 할 수 있는 형제복지원사건 진상규명운동을 다루었다. 형제복지원사건은 1987년 1월 부산의 부랑인수용시설에서 벌어진 천인공노할 인권침해 사건이다. 사건이 발생하자 언론에서 회자되면서 세간의 관심을 끌었지만 원장의 구속, 시설의 폐쇄 이외에 이렇다 할 해결마련 없이 묻히고 만다. 1987년 6월항쟁 이후 정치민주화를 필두로 사회, 경제 등 다방면에서 민주화가 진행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민주화 이후에도 오랫동안 형제복지원사건은 주변화되어 잊혀져 있었다. 소수자운동이 활성화됐고 과거사 진상규명운동으로 과거사위가 발족하여 활동했지만 25여년 동안 여전히 형제복지원사건은 정치권은 물론이고 언론, 관련 활동가, 연구자 모두의 관심밖에 놓여져...
민주화운동 관련 역사교육과정 및 집필기준 분석 연구 보고서
김육훈 , 김정인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연구보고서 [2018] 제2018권 1~137페이지(총137페이지)
이 연구는 민주화 이후 과거 국가폭력에 대한 진상규명을 요구하는 과거청산운동이자 민주화 이후 등장한 소수자 인권운동의 한 사례라고 할 수 있는 형제복지원사건 진상규명운동을 다루었다. 형제복지원사건은 1987년 1월 부산의 부랑인수용시설에서 벌어진 천인공노할 인권침해 사건이다. 사건이 발생하자 언론에서 회자되면서 세간의 관심을 끌었지만 원장의 구속, 시설의 폐쇄 이외에 이렇다 할 해결마련 없이 묻히고 만다. 1987년 6월항쟁 이후 정치민주화를 필두로 사회, 경제 등 다방면에서 민주화가 진행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민주화 이후에도 오랫동안 형제복지원사건은 주변화되어 잊혀져 있었다. 소수자운동이 활성화됐고 과거사 진상규명운동으로 과거사위가 발족하여 활동했지만 25여년 동안 여전히 형제복지원사건은 정치권은 물론이고 언론, 관련 활동가, 연구자 모두의 관심밖에 놓여져...
민주화운동 명칭 표준화 탐색 연구 : 공공영역에서의 용례 조사를 중심으로
조현연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연구보고서 [2018] 제2018권 1~196페이지(총196페이지)
이 연구는 민주화 이후 과거 국가폭력에 대한 진상규명을 요구하는 과거청산운동이자 민주화 이후 등장한 소수자 인권운동의 한 사례라고 할 수 있는 형제복지원사건 진상규명운동을 다루었다. 형제복지원사건은 1987년 1월 부산의 부랑인수용시설에서 벌어진 천인공노할 인권침해 사건이다. 사건이 발생하자 언론에서 회자되면서 세간의 관심을 끌었지만 원장의 구속, 시설의 폐쇄 이외에 이렇다 할 해결마련 없이 묻히고 만다. 1987년 6월항쟁 이후 정치민주화를 필두로 사회, 경제 등 다방면에서 민주화가 진행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민주화 이후에도 오랫동안 형제복지원사건은 주변화되어 잊혀져 있었다. 소수자운동이 활성화됐고 과거사 진상규명운동으로 과거사위가 발족하여 활동했지만 25여년 동안 여전히 형제복지원사건은 정치권은 물론이고 언론, 관련 활동가, 연구자 모두의 관심밖에 놓여져...
로컬(리티)과 6월항쟁 : 광주에서 6월항쟁을 다시 보기
김봉국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연구보고서 [2018] 제2018권 1~52페이지(총52페이지)
이 연구는 민주화 이후 과거 국가폭력에 대한 진상규명을 요구하는 과거청산운동이자 민주화 이후 등장한 소수자 인권운동의 한 사례라고 할 수 있는 형제복지원사건 진상규명운동을 다루었다. 형제복지원사건은 1987년 1월 부산의 부랑인수용시설에서 벌어진 천인공노할 인권침해 사건이다. 사건이 발생하자 언론에서 회자되면서 세간의 관심을 끌었지만 원장의 구속, 시설의 폐쇄 이외에 이렇다 할 해결마련 없이 묻히고 만다. 1987년 6월항쟁 이후 정치민주화를 필두로 사회, 경제 등 다방면에서 민주화가 진행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민주화 이후에도 오랫동안 형제복지원사건은 주변화되어 잊혀져 있었다. 소수자운동이 활성화됐고 과거사 진상규명운동으로 과거사위가 발족하여 활동했지만 25여년 동안 여전히 형제복지원사건은 정치권은 물론이고 언론, 관련 활동가, 연구자 모두의 관심밖에 놓여져...
한국의 민주주의와 정치문법의 동학 : 보수 정치문법의 탄생과 위기
하상복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연구보고서 [2018] 제2018권 1~57페이지(총57페이지)
이 연구는 민주화 이후 과거 국가폭력에 대한 진상규명을 요구하는 과거청산운동이자 민주화 이후 등장한 소수자 인권운동의 한 사례라고 할 수 있는 형제복지원사건 진상규명운동을 다루었다. 형제복지원사건은 1987년 1월 부산의 부랑인수용시설에서 벌어진 천인공노할 인권침해 사건이다. 사건이 발생하자 언론에서 회자되면서 세간의 관심을 끌었지만 원장의 구속, 시설의 폐쇄 이외에 이렇다 할 해결마련 없이 묻히고 만다. 1987년 6월항쟁 이후 정치민주화를 필두로 사회, 경제 등 다방면에서 민주화가 진행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민주화 이후에도 오랫동안 형제복지원사건은 주변화되어 잊혀져 있었다. 소수자운동이 활성화됐고 과거사 진상규명운동으로 과거사위가 발족하여 활동했지만 25여년 동안 여전히 형제복지원사건은 정치권은 물론이고 언론, 관련 활동가, 연구자 모두의 관심밖에 놓여져...
 1  2  3  4  5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