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431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질적 연구에서 분석 작업의 성격과 과정
전현욱 ( Jeon Hyunwook )  한국교육인류학회, 교육인류학연구 [2021] 제24권 제1호, 1~37페이지(총37페이지)
자료가 쌓임에 따라 연구자는 자료 분석의 필요성을 느낀다. 자료의 분석이란 ‘현장에서 일어나는 일을 보다 체계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활동’으로서 연구 결과를 구성하는 일과 관련하여 ‘적절함(right)’을 얻기 위한 작업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우선 ‘자료가 보여주는 것은 무엇인가?’, ‘코드들, 코드들의 분류, 범주들은 서로 어떻게 관련되는가?’, ‘코드들, 범주들은 자료 전체, 현상 전체와 어떻게 관련되는가?’ 등 3가지 질문과 마주해야 한다. 이 질문들에 대한 답을 찾음과 동시에 연구자가 해야 할 일은 질적 연구에서 분석 작업의 성격과 접근법을 분명히 이해하는 일이다. 나는 이 글에서 자료 분석의 성격을 해석적, 현상학적, 생성적 또는 구성적, 불확실성의 인정과 수용, 자료의 텍스트성, 과정적 등 6가지로 구분하였으며, 접근 방법으로는 에틱과...
TAG 자료 분석, 자료 분석의 성격, 자료 분석의 접근 방법, 자료 분석의 과정, data analysis, nature of data analysis, approach of data analysis, process of data analysis
다문화교육 질적 연구의 동향과 과제
박윤경 ( Park Yun-kyoung ) , 박선운 ( Park Sunun )  한국교육인류학회, 교육인류학연구 [2021] 제24권 제1호, 39~63페이지(총25페이지)
이 연구는 국내 다문화교육 분야의 질적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 방향과 과제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2003년부터 2020년까지 다문화교육, 질적 연구 및 사회과교육 분야의 대표적인 학술지 4개에 실린 논문 125편을 크게 연구 영역, 연구 참여자, 연구 방법 및 연구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문화교육의 연구 영역 중에서 인종·민족 영역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특히 결혼이주 가족구성원 관련 연구가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참여자의 측면에서는 학생 관련 연구가 가장 많고 그중에서도 대학생 이상 성인과 초등학생의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일반적 질적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자료 수집 방법으로는 심층면담이 가장 활발하게 활용되었다. 연구 패러다임의 측면에서...
TAG 다문화교육, 질적 연구, 연구 영역, 연구 참여자, 연구 방법, 연구 패러다임, multicultural education, qualitative research, research areas, research participants, research methodology, research paradigm
갈등과 사회적 관계의 사회화: 미국과 한국 유아교육 기관의 갈등사회화 관습 비교를 중심으로
안준희 ( Junehui Ahn )  한국교육인류학회, 교육인류학연구 [2021] 제24권 제1호, 65~96페이지(총32페이지)
본 논문은 미국과 한국의 유아교육 기관에서 실천되는 갈등사회화 관습을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이에 투영된 두 사회의 문화특수적 사회관계의 특성을 살펴보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두 문화의 갈등사회화 관습은 교사의 갈등에 대한 태도, 역할, 개입 빈도, 갈등의 책임을 다루는 방식, 그리고 갈등을 둘러싼 행동의 의도와 감정이 형상화되는 방식에 있어 문화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의 갈등사회화 관습은 교사의 적극적 개입과 중재자로서의 역할, 가해자와 피해자의 구체화, 갈등에 있어서 감정의 중요성, 한국의 사회화 관습은 교사의 무개입, 갈등의 책임을 갈등 당사자 공동에게 부여하는 방식, 갈등에 있어서 의도의 중요성을 각각 특성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문은 이러한 문화적 차이를 두 문화에서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사회적 관계, 사회성, ...
TAG 갈등, 사회화, 미국중산층, 한국중산층, 비교문화연구, peer conflict, socialization, American middle-class, Korean middle-class, cross-cultural comparison
장애의 사회문화적 고찰: 여성장애인의 장애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적 분석
조주희 ( Cho Joohee )  한국교육인류학회, 교육인류학연구 [2021] 제24권 제1호, 97~128페이지(총32페이지)
이 연구는 사회와 문화의 상호작용 안에서 나타나는 현상에 대한 교육적 의미를 도출하는 것으로 연구참여자의 장애 경험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장애 경험과 장애 경험의 의미를 가장 잘 드러내는 방법으로 내러티브 연구를 선택하였고 연구참여자가 직접 작성한 장애 경험에 관한 글과 면담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장애 경험은 ‘말하지 않으면 없는 일이 되는 것’과 ‘사회적 정상성 배우기’로 주제화되었다. 그리고 장애 경험을 통해 도출된 장애에 관한 사회적 환상들은 ‘다른 모습의 삶을 비극적이라는 환상’과 ‘연약(軟弱)한 것은 선(善)하다는 환상’으로 주제화되었다. 이 과정에서 연구참여자가 가진 장애 경험의 의미는 ‘몸에 대한 경멸’, ‘고통스럽게 숨겨야 하는 것’, ‘마주해야 하는 상처’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질병과 장애를 가진 연구참여자의 사례...
TAG 질병, 장애경험, 장애의 사회문화적 구성, 내러티브 연구, 여성장애인, illness, experience of disability, sociocultural construction of disabilities, narrative inquiry, women with disabilities
바이올린 연주자의 역경과 정체성 형성에 대한 생애사 연구
문경숙 ( Moon Kyoung-suk ) , 임현화 ( Yim Hyun Hwa )  한국교육인류학회, 교육인류학연구 [2021] 제24권 제1호, 129~158페이지(총30페이지)
이 연구는 학생들에게 바이올린을 가르치고 있는 보우라는 사람에 대한 것이다. 보우가 바이올린 연주를 인생의 목표로 선택한 후 마주한 여러 가지 역경과 바이올린 레슨 선생으로 살아가고 있는 지금까지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역경과 정체성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보우의 이야기는 생애사 연구 방법을 이용하여 기술 및 분석되었다. 두 번의 면대면 만남과 두 번의 비대면 만남을 통해 얻은 자료는 녹취록으로 전사되었다. 바이올린을 매개로 형성된 역경과 바이올린으로 얽힌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보우의 생애사를 조직하였고 시간의 흐름과 함께 나타난 보우의 정체성 고민을 역경과 관련지어 분석하였다. 보우의 어머니, 어머니의 주변 사람, 예고의 음악과 급우, 레슨 학생, 레슨 학생의 학부모는 보우의 역경과 정체성에 대한 생애사 이야기의 조연들이었다. 보우는 이들과의...
TAG 바이올린 연주자의 삶, 역경에 대한 의미부여, 목표와 정체성, 생애사 연구, life of violinist, meaning making of adversity, goal and identity, life history research
삶으로서의 교육과정-되기: 세 청년의 대학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김아람 ( Kim Aram )  한국교육인류학회, 교육인류학연구 [2021] 제24권 제1호, 159~206페이지(총48페이지)
이 연구는 세 청년이 대학에 입학하기 전부터 현재까지 대학과 관련하여 어떠한 이야기를 살아왔는지를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이해하고자 하였다. 세 명의 연구 참여자들은 모두 대학 밖에서 대학과 관련한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청년들로, 연구가 진행될 당시 그들은 대학 졸업생, 대학 재학생, 자퇴생이었다. 나는 연구 참여자들이 대학에 입학하기 전부터 현재까지 대학 안팎에서 어떠한 이야기를 살아왔는지를 각각의 내러티브 기술로 구성하였다. 내러티브 기술은 연구 참여자들과 내가 내러티브 탐구의 공간에서 살아낸 이야기를 각각의 내러티브 덩어리로 엮어낸 것이다. 이후 나는 세 명의 연구 참여자들의 내러티브 기술을 가로지르며 발견되는 공명하는 이야기를 ‘기대, 사건, 생성’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다시 이야기하였으며, 이를 통해 연구 참여자들이 각자의 삶으로서의...
TAG 대학경험, 대학 밖 공동체, 삶으로서의 교육과정, 내러티브 탐구, college experience, communities outside the university, curriculum of lives, narrative inquiry
부자(父子) 체육교사의 삶과 수업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구형근 ( Koo Hyung-keun ) , 류태호 ( Yu Tae-ho )  한국교육인류학회, 교육인류학연구 [2021] 제24권 제1호, 207~236페이지(총30페이지)
본 연구는 부자(父子) 체육교사의 삶이 그들의 수업관과 수업실천에 어떻게 영향을 주었는지를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연구자는 두 체육교사의 삶과 수업을 이해하기 위해 내러티브 탐구를 시도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시대적 배경과 교육적 배경이 서로 다른 두 체육교사, 즉 연구자인 ‘나’와 나의 아버지이며, 현장 텍스트는 면담 자료, 자기성찰 자료, 문헌 및 문서 자료를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연구자는 현장 텍스트를 반복적으로 읽는 과정을 통해 두 체육교사의 삶에 관한 내러티브의 이야기 구조를 구성하였으며, 연구자의 해석적 관점에 따라 현장 텍스트를 재구성하여 연구 텍스트로 작성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아버지는 ‘운동을 잘하는 학생선수’로서 ‘참교육을 지향하는 체육교사’의 삶을 살아온 반면에 나는 ‘체육을 좋아하는 일반학생’으로서 ‘유능함을 추구하는 체육...
TAG 부자, 父子, 체육교사, 체육교사의 삶, 체육교사의 수업, 내러티브 탐구,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father-son relationship, physical education teacher’s lif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eaching, narrative inquiry
미술교육 박사과정을 수행하는 초등교사의 ‘자기 배려’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정회진 ( Jeong Hoejin )  한국교육인류학회, 교육인류학연구 [2021] 제24권 제1호, 237~259페이지(총23페이지)
여러 교과를 가르치는 초등교사의 미술교육 박사과정 수행 경험을 이해하는 것은 특정 교과를 깊이 있게 연구하는 교사 연구자로서의 주체성을 이해하는 것과 관련 있다. 본 연구는 교육전문 대학원에서 초등미술교육과 박사과정을 수행하는 초등교사의 경험이 갖는 자기 배려적 의미와 주체적 성장의 과정을 이해하려는 시도이다. ‘미술교육 박사과정을 선택한 이유가 갖는 의미는 무엇인가?’, ‘미술교육 교사-박사생의 고립성이 갖는 의미는 무엇인가?’, ‘자기 배려의 차원에서 박사학위 과정 이후의 지향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 퍼즐을 통해 교사의 박사과정은 학생에게 배움의 본을 보이기 위해 다시 학생이 되고, 학생으로부터 완성되어 가는 순환 과정임을 이해하였다. 특히, 미술교육 박사과정은 미술 교육자로서 교사 스스로 자기 자신을 미술 작품으로 빚어가는 과정이고, 자신을 하나의 ...
TAG 미술교육 박사과정, 초등교사, 자기 배려, 내러티브 탐구, art-education doctoral course, elementary school teacher, self-care, narrative inquiry
질적 연구의 ‘원형’으로서 사례 연구의 방법론적 성격: 사례와 연구자의 대칭적-되기
서덕희 ( Seo¸ Deokhee )  한국교육인류학회, 교육인류학연구 [2020] 제23권 제4호, 1~29페이지(총29페이지)
이 글은 사례 연구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잠정적 답변이다. 이를 위해 나는 지속적 사례 연구의 수행 과정에서 가지게 된 상심으로부터 출발하여 내 연구자로서의 체험을 선배 연구자들의 실천적 지혜와 더불어 숙고하고 해명하는 해석적 순환의 과정을 거쳤다. 그 결과 나는 사례 연구란 질적 연구의 ‘원형’으로서의 ‘질’을 갖고 있으며 그 ‘질’의 핵심은 어떤 ‘무언가’와 연구자가 서로 만나 내부 작용을 통하여 사례-되기와 사례연구자-되기가 대칭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그리고 그러한 과정에 대한 의식적 명료화와 그에 따른 방법적 엄밀성이 사례연구를 하나의 방법론으로 자리매김한다고 보았다. 사례-되기와 사례연구자-되기의 대칭적 과정은 각각 사례 연구의 주요 방법적 쟁점인 사례, 비교, 맥락, 일반화 그리고 그 실제적 가치에 비추어 확인할 수 ...
TAG 사례연구, 방법론, 대칭적-되기, 사례-되기, 사례 연구자-되기, 비교, 맥락, 일반화, 실천지, case study, methodology, becoming-case, becoming-case study researcher, comparison, context, generalization, phronesis
고학력 전문직 기혼 여성의 일: 그 분투와 의미에 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양혜원 ( Yang¸ Haewon ) , 박소정 ( Park¸ Sojung ) , 박윤조 ( Park¸ Yunjo )  한국교육인류학회, 교육인류학연구 [2020] 제23권 제4호, 31~62페이지(총32페이지)
본 협력적 자문화기술지는 고학력 전문직 기혼 여성의 일의 의미에 관한 연구이다. 2000년대로 들어서며 여성의 일과 돌봄의 사회화 그리고 일-가정 양립 논의가 확대되면서 여러 정책이 시행되었다. 그러나 그 실효성이 낮아 일부 연구에서는 여전히 견고한 성별분업 이데올로기의 문제를 지적하고 있다. 이처럼 교착 상태에 빠진 듯한 여성과 일을 둘러싼 현실을 보며 대학의 교원이자 동시에 미술치료사, 미술사가, 번역가/저자라는 전문직을 가진 세 명의 연구자는 일하는 기혼 여성이 안고 있는 문제를 다른 각도에서 접근하기 위해 협력적 자문화기술지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세 명의 연구자는 네 가지 공통된 경험을 하였는데, 모두가 학부 전공과는 다른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으면서 전문성을 쌓았고, 자신의 직업 안에서 성별 분리 혹은 성별 직무 분리를 경험하였으며, 일-...
TAG 고학력 전문직 기혼 여성, 일-가정 양립, 일의 의미, 자문화기술지,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Married professional women, work-family compatibility, meaning of work, autoethnography,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