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AND 간행물명 :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9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간의 종단적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한광현 ( Han Kwang Hyun ) , 강상경 ( Kahng Sang Kyoung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2021] 제18권 제1호, 5~40페이지(총36페이지)
결혼이주여성들의 삶과 인권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 자녀를 둔 한국 결혼이주여성의 삶을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 궤적의 종단적 상호관계를 중심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에 참여한 1,553명의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7개년도 종단자료를 활용하여, 두 변수 궤적 간의 종단적 변화 관계를 추정하기 위한 잠재성장모형을 설정하고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무조건부 모형 분석 결과,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 궤적은 모두 시간이 흐름에 따라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속해서 관련 사회경제적 지위 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실시한 조건부모형 분석 결과, 초기 문화적응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 감소 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
TAG 결혼이주여성, 문화적응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잠재성장모형,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 Marriage migrant women, Acculturation stress, Self-esteem, Latent growth model, MAPS
기혼 유배우 여성의 교육수준이 경제활동참여에 미치는 영향 : 성역할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오유라 ( Oh You Ra ) , 윤예인 ( Yoon Ye In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2021] 제18권 제1호, 41~70페이지(총30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기혼 유배우 여성의 교육수준과 경제활동참여 간의 관계에 성역할인식의 조절효과를 검정하는 것이다. 연구모형 분석을 위해 한국복지패널 13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가구주 또는 가구주의 배우자가 성인인 기혼 유배우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성역할인식 척도의 구성개념인 일-가정 양립의 어려움 인식과 노동시장참여-가족책임의 충돌 인식을 중심으로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들의 결과처럼 다양한 변인들의 영향력을 제한하였을 때 여성의 교육수준과 경제활동참여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성역할인식 구성개념 중 일-가정 양립의 어려움 인식은 교육수준과 경제활동참여 사이에 조절변인으로써 작용하였다. 셋째, 성역할인식 구성개념 중 노동시장참여-가족책임의 충돌 인식은 교육수준과 경제활동참여 사이에...
TAG 기혼 유배우 여성, 교육수준, 경제활동참여, 성역할인식, Married women, Education level,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Gender role perception, Work-life balance support schemes, Family life support policies
도박중독자를 위한 단기거주 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심혜선 ( Shim Hai Sun ) , 전종설 ( Chun Jong Serl ) , 김경희 ( Kim Gyung Hee ) , 김민아 ( Kim Min Ah ) , 허원빈 ( Her Won Bin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2021] 제18권 제1호, 71~112페이지(총42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도박중독자를 위한 단기거주 재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여 향후 효과적인 재활 프로그램에 대한 근거 기반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이에 한국도박문제관리센터의 4주 단기거주 재활 프로그램을 도박중독자 7명을 대상으로 제공하고, 효과성 측정을 위해 양적 평가와 질적 평가를 병행하였다. 참여자에 대한 양적 평가는 단일집단 사전사후 조사설계로 윌콕슨 부호 순위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질적 평가의 경우 초점집단인터뷰와 reflection note의 결과에 대한 주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도박회복을 비롯해 문제도박, 단도박자기효능감, 우울, 정신적 건강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변화되었다. 질적 평가에서는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도박중독에 대한 인식과 행동 변화, 공동체 내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치유에 대한 자신감 향상, 자신에 대한 성찰...
TAG 도박중독, 단기거주 재활 프로그램, 치료공동체, 사회심리 재활 프로그램, Gambling addiction, Short-term residential rehabilitation treatment, Therapeutic community, Social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treatment
사회복지전공 대학생들의 청년복지에 대한 인식과 경험 탐구
김서현 ( Kim Seohyun ) , 임혜림 ( Yim Hye Rim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2021] 제18권 제1호, 113~157페이지(총45페이지)
사회복지전공 대학생들의 사회현안과 복지 관련 인식 및 경험에의 탐구는 사회복지학을 위시한 사회복지 교육현장에 중요 함의를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그동안에는 사회복지전공대학생들이 청년복지에 관해 어떻게 인식하고 경험하는지 구체적으로 밝혀진 바가 부족하였다. 본고는 이 점을 심도 있게 탐구하기 위한 목적에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료는 총 7명의 20대 남녀 대학생과 평균 4회에 걸친 개별 심층면담으로 수집했고, 이를 Giorgi(1985)의 기술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총 77개의 의미단위와 16개의 하위범주를 발견했다. 이에 기반해서 ‘더 알고 싶은 청년복지’, ‘현실 걱정에 밀린 청년복지’, ‘발달로 다가가는 청년복지’, ‘당사자를 포괄하지 못하는 청년복지’, ‘연대와 배려를 일깨우는 청년복지’라는 5개의 상위범주를 도출하...
TAG 사회복지, 대학생, 청년복지, 청년층, 기술적 현상학, Social welfare, College students, Youth welfare, Young adults, Descriptive phenomenology
장애인의 일상생활 차별경험 궤적과 관련 요인에 대한 연구
박종은 ( Park Jong Eun ) , 강상경 ( Kahng Sang Kyoung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2021] 제18권 제1호, 157~186페이지(총30페이지)
장애로 인한 차별은 장애인이 경험하는 인권침해의 가장 흔한 사례이다. 본 연구는 예방적 함의를 도출하기 위해 장애인의 일상생활 차별경험 궤적을 추정하고, 추정된 차별경험궤적의 예측요인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017년에서 2019년까지 수집된 데이터에 포함된 19세 이상 성인 장애인 4,438명을 대상으로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종속변수인 일상생활 차별경험은 2017년부터 3년간 조사된 일상생활 차별경험정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일상생활 차별경험 예측요인으로는 인구사회학적 요인(연령, 성별, 학력)을 통제한 상태에서, 2017년 기준의 개인체계요인(도움이 필요한 정도,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변수들과 사회체계요인(배우자 유무, 도움 제공자 유무, 사회활동참여정도, 기초생활수급자 여부) 변수들을 포함하였다....
TAG 일상생활 차별경험 궤적, 장애인, 차별경험 관련요인, 잠재성장모형, Daily life discrimination trajectory,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Disability rights, Discrimination trajectory factors,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중장년 남성 1인가구의 생활에 관한 사례연구 : 사회적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박승곤 ( Park Seung Gon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2021] 제18권 제1호, 187~220페이지(총34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중장년 남성 1인가구의 생활을 살펴보는데 있다. 특히, 사회적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건강, 경제, 사회관계의 세 영역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초생활수급권자와 차상위계층의 중장년 남성 1인가구 25명을 개별면접하고 8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집단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3개 영역에서 17개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건강 영역은 ‘해결하기 어려운 장기적인 고통과 악순환’이 확인되었다. 이는 ‘다양한 건강 문제를 가짐’, ‘심리적 불안으로 이어짐’, ‘악순환이 반복됨’, ‘치료보다는 지연을 선택함’과 ‘장기적인 도움의 필요’, ‘알코올 중독의 우려’의 총 6개 하위범주가 나타났다. 두 번째 경제 영역에서 ‘일자리에 대한 욕구와 현실적 한계’를 확인했는데, 이는 ‘빈곤 상태에 놓임’, ‘근로의 욕구가 강함’, ‘근로와...
TAG 중장년 남성, 1인가구, 1인가구의 삶, 사회적 취약계층, Middle-aged men, Single-person households, Health measures of single-person households, Socially disadvantaged groups, Social network health, Urban isolation
밀레니얼 세대 사회복지사의 일의 의미
장수미 ( Jang Soo Mi ) , 장은하 ( Jang Eunha ) , 정휘경 ( Jung Hwigyeong ) , 김가빈 ( Kim Ga Bin ) , 박혜경 ( Park Hye Kyoung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2020] 제17권 제3호, 5~39페이지(총35페이지)
밀레니얼 세대의 등장에 사회적 관심이 주목되고 있는 상황에서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도 사회복지 인력의 세대 간 교체가 이루어지고 있다. 사회복지사가 일에 대해 부여하는 의미는 서비스 질의 제고와 직무 만족의 증진을 가져온다. 이에 본 연구는 밀레니얼 세대에 해당하는 사회복지사들이 인식하는 일의 의미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종합사회복지관에서 3년 이상 재직 중인 밀레니얼 세대 사회복지사 9명이다. 총 2회의 초점집단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한 후 주제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46개의 개념, 15개의 하위범주, 5개의 범주, 3개의 주제(일을 선택한 동기, 일의 의미부여 과정에서의 장애물, 일의 의미)가 발견되었다. 일의 의미는 “가치와 물질이 공존하는 일”, “기쁨, 도전, 인정의 원동력으로 일궈가는 일”,...
TAG 밀레니얼 세대, 사회복지사, 일의 의미, Millennial Generation, Social Workers, Meaning of Work
아동의 자기주도성과 공동체의식 향상을 위한 마을공동체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연구
권지성 ( Kwon Ji Sung ) , 이해경 ( Lee Hae Kyung ) , 조향옥 ( Cho Hyang Ok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2020] 제17권 제3호, 41~70페이지(총30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자기주도성과 공동체의식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계하고 수행한 마을공동체 프로그램을 평가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참여아동들로부터 척도와 질문지, 면접 등을 통해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을 혼합한 평가연구를 실시하였다. 이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는 과정평가와 양적 성과평가, 변화에 대한 질적 평가 등으로 이루어졌다. 이 연구에서 평가한 마을공동체 프로그램이 참여아동들에게 미친 중요한 영향은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과 행동 변화, 주도성의 강화, 나누려는 마음의 확장, 어르신 공경 등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아동들의 자기주도성과 공동체의식을 향상시키기 위해 마을공동체 프로그램 등을 기획하고 수행하려 할 때 고려해야 할 지침들을 제시하였다.
TAG 아동, 자기주도성, 공동체의식, 마을공동체, 질적 평가, Children, Self-directedness, Community Awareness, Village Community, Qualitative Evaluation
중·고령자의 노후준비가 은퇴 후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손유경 ( Son Yoo Kyung ) , 최성문 ( Choi Sung Moon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2020] 제17권 제2호, 5~40페이지(총36페이지)
본 연구는 은퇴한 중·고령자의 노후준비가 은퇴 후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동시에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한 연구 자료는 국민노후보장패널(KRelS) 7차년도 자료가 사용되었으며 표본크기는 ‘은퇴하였다’라고 응답한 55세 이상 74세 이하의 중·고령자 1,695명으로, 성별집단에 따른 은퇴 후 생활만족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남성 535명, 여성 1,160명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노후준비의 하위변인과 성별집단별 은퇴 후 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t-test와 카이자승 검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은퇴 후 생활만족도의 영향변인 파악을 위해 인구사회학적 변인을 통제변인으로 사용하였으며 노후준비 변인으로 건강, 경제, 사회적 노후준비가 사용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노후준비의...
TAG 국민노후보장패널, 중·고령자, 노후준비, 은퇴 후 생활만족도, 성별집단별 차이, KRelS, Middle-aged and Older Adults, Preparation for Later Life, Life Satisfaction after Retirement, Gender Difference
사회복지사의 자아 인식과 기능적 활용에 대한 탐색 연구 : 멈추어 생각해 보기
배진형 ( Bae Jin Hyung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2020] 제17권 제2호, 41~89페이지(총49페이지)
다양한 도전들 속에서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사회복지사들, 그들에게 멈추어 서서 자신의 자아를 되돌아보는 성찰의 시간이 필요하다. 특별히 사회복지사의 자아가 실무에서 기능적으로 잘 활용되고 있는지 성찰하는 것은 동기 부여된 실천과 소진 예방을 위해 큰 도움이 된다. 본 연구는 다양한 사회복지 영역에서 10년 이상 경력을 가진 사회복지사들이 자신이 사회복지사로서 지금까지 일 해 온 과정을 포괄적으로 성찰하며 발견한 다양한 자아의 측면들을 어떻게 실무 상황에서 기능적으로 활용해 왔는지에 대한 경험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경력 10년 이상 된 여러 분야의 사회복지사 8명을 의도적 표본추출을 통해 모집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주제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질적 분석되었고, 그 결과, 47개의 개념과 15개의 하위범주, 7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들...
TAG 사회복지사, 자아, 자아 인식, 자아 활용, 자아의 기능적 활용, Social Worker, Self, Use of Self, Functional Use of Self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