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지리학회24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힘있는 지식의 의미와 지리학습전략
김민성 ( Minsung Kim )  한국지리학회, 한국지리학회지 [2021] 제10권 제1호, 1~17페이지(총17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힘있는 지식 개념의 등장 배경과 의미를 살펴보고, 힘있는 지식을 근간으로 논의가 확장되고 있는 지오캐퍼빌리티 접근을 소개하는 것이다. 나아가 힘있는 지식 함양을 위한 지리학습전략을 제안한다. 사회 실재론자들이 주장하는 힘있는 지식은 정태적, 수동적 특성을 지닌 고정된 지식이 아니라 사회를 변화시키는 힘을 지닌 학문적, 이론적 지식이다. 힘있는 지식 논의는 모든 학생들에게 일상의 경험을 넘어 사회를 변혁시킬 수 있는 지식에 접근할 기회를 제공하는 데 관심을 가진다. 최근에는 인간의 복지, 행복의 실현을 위해 개인이 가진 잠재력을 최대한 발현시키는 데 주안점을 두는 지오캐퍼빌리티 접근으로 확장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힘있는 지식 함양을 위해 지식의 본질,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을 주제로 한 학습전략을 제시하였다. 이 논문은 지리교...
TAG 힘있는 지식, 지오캐퍼빌리티, 사회 실재론, 지식기반 교육과정, Powerful knowledge, Geocapability, Social realism, Knowledge-based curriculum
글로벌 사회의 객관적 인식을 위한 초등 지리교육과정의 보완적 구성 방안 연구
김다원 ( Dawon Kim )  한국지리학회, 한국지리학회지 [2021] 제10권 제1호, 19~36페이지(총18페이지)
오늘날 사회는 세계화, 정보화가 가져온 빠른 사회변화에 맞춰 글로벌 사회에 대한 지식의 업데이트를 요구하며, 고정관념과 편견 그리고 발전 이전의 부정적 시각으로 사회를 바라보는 데서 오는 사회적 문제를 극복하고 긍정적 시각을 갖고 발전적인 측면에서 시민성을 요구한다. 특히, 글로벌 사회를 이해하는 데 핵심 역할을 갖고 있는 지리교육에서 이에 대한 관심과 교육적 실행은 시급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민성 교육의 방법으로 객관적 인식력을 키워주는 교육에 주목하였고 이를 위한 지리교육과정의 보완적 구성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결과로서 네 가지의 지리교육과정의 보완적 구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는 정보탐색 방법의 다양화와 활성화이다. 둘째, 사회 변화와 현재의 사회상을 반영한 내용 구성이다. 셋째, 지역의 범주화...
TAG 객관적 인식, 글로벌 사회, 시민적 책무, 지리교육과정, 초등 지리교육, Objective recognition, Global society, Citizen responsibility, Geography curriculum, Primary geography education
지식 중심의 국가교육과정에 근거한 영국 초등학교 지리교과서의 내용 분석
이형상 ( Hyongsang Lee )  한국지리학회, 한국지리학회지 [2021] 제10권 제1호, 37~50페이지(총14페이지)
본 연구는 지식 중심 교육과정을 적용하여 개발한 영국 초등학교 지리교과서의 내용 분석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내용 분석법을 통해 영국의 초등학교 지리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지역적 방법과 계통적 방법의 통합적 내용 구성’, ‘위치 지식의 학습을 통한 장소성의 인식’, ‘초등학생의 발달 수준을 고려한 내용 지식의 체계적 제시’, ‘지속가능성 교육의 개별 단원 내 통합’,‘야외조사를 통한 지리적 기능의 함양과 지리탐구의 실천’이라는 다섯 가지 특징이 확인되었다. 이것은 영국의 초등학교 지리교과서가 학생들의 지리적 이해를 확장하고, 다층적인 세계를 지리적으로 접근하는 학습의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AG 지식 중심 교육과정, 초등학교 지리교과서, 통합적 내용 구성, 위치 지식, 내용 지식, 지속가능성, 야외조사, Knowledge-centered curriculum, Geography textbooks, Integrated content organization, Location knowledge, Content knowledge, Sustainability, Fieldwork
‘비판적 경계 읽기’ 수업을 통한 세계시민교육 방안 연구
원요한 ( Yohan Won ) , 임은진 ( Eunjin Lim )  한국지리학회, 한국지리학회지 [2021] 제10권 제1호, 51~65페이지(총15페이지)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지리 교육에서 세계화로 인해 변해가고 있는 ‘경계’에 대한 유의미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반성에서 시작하게 되었으며, 지리 수업을 통해 제한된 경계 개념으로 인해 발생하는 차별과 배제를 인식하여 ‘타자’에 대한 윤리적 책임을 다하고, 개방적인 인식과 태도를 갖춘 비판적 세계시민성을 길러줄 수 있는 지리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이론적 기반이 되는 선별적 투과성, 사회적 성원권, 관계론적 장소관이 지리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모색하고, 학습자들이 기존 지리 교과에서 다루는 선형(線形)적 실체로 인식되는 ‘경계’에 대한 개념과 도식을 비판적으로 성찰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학습자들의 표상 체계를 확장하여 세계화 시대가 요구하는 다층적 정체성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비판적 경계 읽기’ 수업 모듈...
TAG 선별적 투과성, 사회적 성원권, 관계론적 장소관, 비판적 세계시민성, The selective permeability, Social membership, The relational conception of place, Critical global citizenship
도시 속 자연마을 거주민의 장소감 비교연구: 광주광역시 남구 노대마을 어른들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송하인 ( Hain Song )  한국지리학회, 한국지리학회지 [2021] 제10권 제1호, 67~89페이지(총23페이지)
본 연구는 사라져가는 도시 속 자연마을인 광주광역시 남구 노대마을에 거주하는 거주민들의 장소감을 인류학적 연구방법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대마을에 거주하는 어른들과 초등학생들은 한 장소에 대해 서로 다른 장소감을 가지고 있었다. 어른들의 장소감은 공동체적 삶과 관련되었고 초등학생의 장소감은 개인적 삶과 관련 깊었다. 이를 통해 지리교육에서는 학생 중심의 공간적 범위를 교육과정, 수업에 적용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어른들과 초등학생은 공통적으로 이주민과 관련된 장소에 부정적인 장소감을 가지고 있었다. 이를 통해 근래에 유행하는 마을공동체, 도시재생사업에서는 거주민과 이주민의 심리적 단절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빠르게 변화하는 도시적 삶 속에서 역사지리적 관점으로 사라져가는 도시 속 자연마을의 원...
TAG 노대마을, 장소감, 도시재생, 마을공동체, 지리교육, Nodae village, Sense of place, Urban regeneration, Village community, Geographical education
전주 덕진연못(德津池)의 용도 및 축조시기와 장소성 변화
조성욱 ( Sungwook Cho )  한국지리학회, 한국지리학회지 [2021] 제10권 제1호, 91~105페이지(총15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전주 덕진연못의 용도와 축조시기 그리고 장소성의 변화과정을 살펴보았다. 연구에서 밝혀진 내용은, 첫째, ‘덕진’의 지명은 ‘덕진(德津)’이 원래 사용되었던 한자이고, 나중에 상징성을 부여해서 ‘덕진(德眞)’으로도 기록했다. 둘째, 덕진연못으로 유입되는 물줄기는 2개이며, 제방은 건지산의 산줄기(46m)와 가련산(72m)를 연결하는 약 400m이고 해발고도는 약 28m이다. 셋째, 덕진연못은 농업용 저수지가 아니라 풍수지리에 의해서 전주 지역의 서북쪽의 허함을 보강하기 위해 조성한 비보풍수용 시설물이다. 넷째, 덕진연못은 상징적인 행사(단오제, 용왕제), 풍수지리설의 도입 시기(후백제 시대), 건지산 중심의 전주성 축성 (고려시대), 전주의 공간 범위 변화(후백제와 전주성 시기), 고려시대 이규보의 기록(1200년경) 등을 고려할 때, 900년...
TAG 덕진연못, 풍수지리사상, 비보풍수, 건지산, 장소의 공간적 범위, Deokjin Pond, Feng Shui Ideology, Remedy topographical defects by Feng Shui, Geonji Mountain, Spatial range of place
남악신도시 사례를 통한 도청 이전(移轉) 신도시 개발에 관한 비판적 연구
이재복 ( Jaebok Lee ) , 안재섭 ( Jaeseob Ahn )  한국지리학회, 한국지리학회지 [2021] 제10권 제1호, 107~118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는 전남도청 이전을 목적으로 개발된 남악신도시를 통해 도청 이전 신도시가 내포한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현재 개발 중인 도청 이전 신도시에 시사점을 남기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라남도 남악신도시 개발은 관외 지역에 있는 전남도청을 관내 지역으로 옮기고, 도내 낙후지역을 개발하려는 목적에서 시행되었다. 그러나 신도시 개발사업이 15년 이상 흐른 지금, 1단계 사업이 거의 마무리되는 현시점에서 남악신도시 개발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첫째, 대도시 권역의 인구 분산적 차원에서 남악신도시는 해당 목적을 충분히 달성하지 못하였고 오히려 지표상 광주광역시로의 인구집중이 심화되었다. 둘째, 목포시-무안군에 걸친 남악신도시 행정구역의 이원화로 주민들의 행정 서비스 이용에 문제가 발생하였다. 셋째, 신도시 개발에 따른 목포시 원도심 쇠퇴문...
TAG 도청 이전, 신도시 개발, 남악신도시, Relocation of provincial government office, Newtown development, Namak Newtown
중력 모형을 이용한 국제항공 네트워크와 GaWC 세계도시 분류 체계 간 연관성 탐색
박용하 ( Yongha Park )  한국지리학회, 한국지리학회지 [2021] 제10권 제1호, 119~137페이지(총19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전 세계 주요 도시 간 국제항공 공급 양상과 GaWC(Global and World Cities Research Network)의 세계도시 분류 체계 간 연관성 탐색을 통해 국제항공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구현된 세계도시 네트워크의 주요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2010~2018년 두 초국가적 도시 네트워크 사례를 구성하는 주요 도시들의 분포 추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중력 모형을 이용하여 도시 간 국제항공 공급 양상에 인구, 1인당 GDP, 거리 요인과 함께 GaWC 세계도시 분류로부터 도출된 비즈니스 연결성과 도시 더미가 미친 영향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제항공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주요 도시들은 GaWC 도시 그룹에 비해 서유럽 분포 편중이 높게 나타났으며, ...
TAG 세계도시체계, 도시 위계, 국제항공 네트워크, GaWC 세계도시 분류 체계, 중력모형, World city system, Urban hierarchy, International air transport network, GaWC world city classification system, Gravity model
CA(Cellular Automata)와 ARD(Automatic Rule Detection)를 이용한 제주도 도시 스프롤의 시공간적 변화 예측 모델링
정고은 ( Goeun Jung ) , 김영호 ( Youngho Kim )  한국지리학회, 한국지리학회지 [2021] 제10권 제1호, 139~152페이지(총14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도 도시 스프롤의 시공간적 변화를 예측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크게 세 단계로 나뉜다. 첫 번째로 스프롤 예측의 기반이 되는 토지피복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 2009년과 2019년의 예측변수로 사용될 사회ㆍ환경데이터를 구축한다. 두번째로 네이버후드 테스트 모델(ARD)을 이용하여 모델에 적합한 네이버후드를 선정한 후 이를 적용하여 2019년과 2029년의 토지피복 변화를 예측한다. 세번째로 2009년에서 2019년, 2019년에서 2029년의 사이의 스프롤을 측정 및 유형을 분류한 후 시공간적 변화를 확인한다. 연구 결과, 2009년에서 2019년 사이에는 대규모의 개발로 Leapfrog와 Edge-expansion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2029년에는 이와 대조적으로 Infilling의 형태가 활발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
TAG 도시 스프롤, 도시 스프롤 예측, 토지피복 변화, 시공간변화, 셀룰라 오토마타, 네이버후드, Urban sprawl, Sprawl prediction, Land use land cover change, Spatio-temporal change, Cellular Automata, CA, Neighborhood
공간 최적화 모형을 이용한 자동심장충격기(AED)의 커버리지 평가: 강남구를 사례로
김감영 ( Kamyoung Kim )  한국지리학회, 한국지리학회지 [2021] 제10권 제1호, 153~166페이지(총14페이지)
심정지가 발생한 후 심폐소생술이나 제세동과 같은 의료 처리를 빨리할수록 환자의 생존율은 높아진다. 우리나라는 일반인의 자동심장충격기(AED) 접근 및 활용을 증대할 목적으로 공공장소에 이를 설치하고 있으며 그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법률에 따라 의무적으로 설치되고 있는 AED의 서비스 적절성을 평가하고 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AED의 보급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AED 수요의 공간적 분포를 재현하기 위하여 지역의 성별, 연령별 인구 및 심정지 발생률에 기초하여 공간 단위 심정지 발생 가능 인구를 추정하였다. 이미 설치된 AED는 재현된 총 수요의 35%만을 커버하여 그 효율성이 매우 낮았다. 기존 AED의 위치를 유지한 채 200개의 AED를 MCLP를 이용하여 추가할 경우 총 수요에 대한 커버리지 비율은 배 가까...
TAG 추정된 병원 전 심정지 환자, 자동심장충격기, AED, 커버리지, MCLP, 공간 최적화, Estimated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OHCA,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s, AEDs, Coverage, Maximal Covering Location Problem, MCLP, Spatial optimization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