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HRD정책연구소26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원격고등교육을 위한 스마트캠퍼스 구축 사례연구
주경필 ( Kyoung-phil Joo )  고려대학교 HRD정책연구소, 휴먼웨어 연구 [2020] 제3권 제2호, 1~19페이지(총19페이지)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국립 한국방송통신대학교는 기술 혁신을 위한 자체 “스마트캠퍼스구축 TF팀”을 구성하였다. 이 TF팀은 스마트캠퍼스 구축을 위한 몇 가지 상세한 부분에 대한 계획을 세우고 원격고등교육기관으로서 한국방송통신대학교가 급속히 변화하는 환경에 부합하기 위한 마스터플랜을 개발하였다. 이 논문은 한국방송통신대학교가 외부 수요에 대응하여 스마트캠퍼스 설계를 위해 어떻게 마스터플랜을 세웠는지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이 연구에서는 TF팀이 수행한 절차와 결과를 기술하였다. 결과적으로 TF팀은 한 개의 비전, 세 개의 목표, 네 개의 주요 과제를 대학이 스마트캠퍼스로 변화하기 위한 방향으로 마스터플랜에 포함시켜야 할 내용으로서 도출하였다. 한국방송통신대학교의 사례는 원격고등교육 기관이 효과적으로 새로운 정보통신기...
TAG mobile learning, ubiquitous learning, smart learning, smart campus, open university, distance higher education, 모바일학습, 유비쿼터스학습, 스마트학습, 스마트캠퍼스, 개방대학, 원격고등교육
공연기획자로 성장하기 위한 경력개발 과정에 대한 이해: A여성새로일하기센터 공연기획자 양성과정 이수생을 중심으로
허선주 ( Hur Sunjoo ) , 임현선 ( Lim Hyun Sun )  고려대학교 HRD정책연구소, 휴먼웨어 연구 [2020] 제3권 제2호, 21~43페이지(총23페이지)
본 연구는 공연기획자로서의 성장을 위한 경력개발 과정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A여성새로일하기센터에서 교육프로그램을 이수한 청년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26개의 개념과 19개의 하위범주, 11개의 상위범주로 범주화하였다. 둘째, 공연기획 전문가로서의 경력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교육 참여가 중심현상으로 도출되어, 해당 개념과 관련하여 범주간 인과관계를 규명하였다. 셋째, 다양한 전략 사용 후, 경력 목표의 유지/전환/포기와 같은 재조정 과정이 이루어져 해당 과정 참여로 인해 이루어진 경력개발 과정이 자신만의 경력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디딤돌로 활용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공연기획자로서의 경력개발을 위한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TAG 공연기획자, 경력개발, 직업훈련, 청년 여성, performance planner, career development, vocational training, young women
평생교육기관 사무직 종사자의 공유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
최지혜 ( Jeehye Choi )  고려대학교 HRD정책연구소, 휴먼웨어 연구 [2020] 제3권 제2호, 45~68페이지(총24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기관 사무직 종사자의 공유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실증적 방법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서울시와 경기도 및 인천에 소재한 평생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사무직 종사자 202명을 대상으로 변수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실증적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근무 기간은 조직시민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근무 기간이 통제된 상황에서도 공유리더십은 조직시민행동에 유의미한 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평생교육기관 사무직 종사자의 조직시민행동의 제고를 위해 공유리더십이 활발히 일어날 수 있는 조직 분위기를 형성하기 위한 조직 차원의 고려 사항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TAG 공유리더십, 조직시민행동, Shared leadership,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lifelong educational organization
IT 중소기업에서의 세대 별 일의 의미와 정서적 조직몰입의 인식 차이 및 관계
이인규 ( In Kyu Lee )  고려대학교 HRD정책연구소, 휴먼웨어 연구 [2020] 제3권 제1호, 27~52페이지(총26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IT 중소기업에서의 밀레니얼세대와 기성세대 간 일의 의미와 정서적 조직몰입의 인식 차이 및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중소기업기본법 시행령’의 기준을 근거하여 평균 매출액이 400~1500억 원 이하이며, 자산 총액이 5000억원 미만인 IT 기업의 밀레니얼세대구성원 255명, 기성세대 구성원 151명을 대상으로 변수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IT 중소기업 구성원 중 밀레니얼세대와 기성세대가 느끼는 일의 의미 차이를 확인한 결과 일의 의미 및 모든 하위 요인에서 집단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IT 중소기업 구성원 중 밀레니얼세대와 기성세대가 느끼는 정서적 조직몰입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집단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밀레니얼 ...
TAG 밀레니얼세대, 기성세대, 일의 의미, 정서적 조직몰입, IT 중소기업, Millennial generation, older generation, meaning of work,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Company
평생교육기관 조직구성원이 인식하는 여성리더의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만족의 관계
황선희 ( Sun Hee Hwang )  고려대학교 HRD정책연구소, 휴먼웨어 연구 [2020] 제3권 제1호, 91~115페이지(총25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 인력이 상대적으로 많은 평생교육기관의 여성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 평생교육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편의표집법을 통하여 서면 및 온라인으로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혁적 리더십은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성원의 연령을 통제한 상황에서 변혁적 리더십의 하위요인별로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연령을 통제변인으로, 변혁적 리더십 하위요인을 독립변인으로, 직무만족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한 후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분석한 결과 독립변인인 변혁적 리더십의 하위변인인 카리스마, 영감적 동기부여, 개별적 배려가 종속변인인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유의한 정(+)적...
TAG 평생교육기관, 여성리더, 변혁적 리더십, 직무만족, Transformation Leadership,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 The Transformation Leadership of Female Leaders, jobs atisfaction
K그룹 신입사원이 인식한 팀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적응수행의 관계에서 직무자율성의 매개효과
신현택 ( Hyeon Taek Shin )  고려대학교 HRD정책연구소, 휴먼웨어 연구 [2020] 제3권 제1호, 1~26페이지(총26페이지)
본 연구는 K그룹 팀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신입사원의 적응수행 그리고 직무자율성의 관계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K그룹 그룹공채로 입사한 3년 미만의 신입사원급 구성원을 대상으로 팀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신입사원의 적응수행의 관계를 분석하고, 두 변인 사이에 직무자율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팀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신입사원의 적응수행에 유의미한 영향을 보였다. 세부적으로 영감적 동기부여와 개별적 배려가 젹응수행이 정(+)적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팀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신입사원의 직무자율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팀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신입사원의 적응수행의 관계에서 직무자율성의 매개효과는 보이지 않았다.
TAG 변혁적 리더십, 적응수행, 직무자율성, 신입사원,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daptive Performance, Job Autonomy, New Employee
대기업 제조업 사무직의 무형식학습과 일몰입의 관계
조형주  고려대학교 HRD정책연구소, 휴먼웨어 연구 [2020] 제3권 제1호, 53~90페이지(총38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대기업 제조업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무형식학습과 일몰입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대기업 제조업 사무직의 근속기간과 일몰입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근속기간을 통제한 후, 대기업 제조업 사무직의 무형식학습과 일몰입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대기업 제조업 사무직 28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근속기간은 일몰입과 유의한 정(+)의 관계가 있다. 둘째, 현재직장의 근속기간을 통제한 후, 무형식학습과 일몰입은 유의한 정(+)의 관계가 있다. 무형식학습은 일몰입의 하위변인 명확한 목표, 즉각적인 피드백, 도전과 기술의 균형, 당면과제에 대한 집중, 시간감각 왜곡, 통제감, 자기목적적...
TAG 대기업 제조업 사무직, 무형식학습, 일몰입, 근속기간
일터학습을 위한 논리주도 성과평가 개념화 연구
주경필 ( Kyoung Phil Joo )  고려대학교 HRD정책연구소, 휴먼웨어 연구 [2019] 제2권 제2호, 1~18페이지(총18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조직 내 일터학습 관련 실천이 효과적이고 정확하게 평가되기 위해서 논리주도 성과평가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따라서 개념적 연구를 통해서 일터학습 관련 실천을 위한 논리주도 성과평가의 이론적 기초를 정립하고, 이렇게 마련된 평가모델을 일터학습 관련 실천의 책무성과 타당성을 향상시키는 대안으로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의 주요 내용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첫째는 일터학습에서 평가의 주요 요소와 특성을 살펴보는 것이고, 둘째는 논리주도 성과평가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및 개념화이다. 여기서는 논리주도 성과평가를 가장 기초적인 수준에서 다루었다. 다시 말해, 이 분야의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서 논리주도 성과평가의 개념화에 가장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규명하고, 그 시사점과 활용가능성 및 의의를 논의하는 것을 중심으로 연구가 수행...
TAG workplace learning, theory-driven evaluation, outcome evaluation, 일터학습, 논리주도평가, 성과평가
수도권 소재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윤은주 ( Eun Ju Youn )  고려대학교 HRD정책연구소, 휴먼웨어 연구 [2019] 제2권 제2호, 19~43페이지(총25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특성화고등학교 학생 301명을 대상으로 변수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년이 올라갈수록 진로준비행동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취목표지향성의 하위변인 중 숙달접근목표지향성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수행회피목표지향성은 진로준비행동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성취목표지향성의 나머지 하위변인인 숙달회피목표지향성과 수행접근목표지향성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AG 특성화고등학교, 성취목표지향성, 진로준비행동, Specialized high school,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대기업 사무직 밀레니얼 세대의 직무자율성과 정서적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경력개발지원의 조절효과
이나래 ( Na Rae Lee )  고려대학교 HRD정책연구소, 휴먼웨어 연구 [2019] 제2권 제2호, 45~73페이지(총29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대기업 사무직 밀레니얼 세대의 직무자율성과 정서적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경력개발지원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공정거래위원회(2019)의 공시자료 기준에 근거하여 상위 20개 대기업에 근무하는 밀레니얼세대 295명을 대상으로 변수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자율성과 정서적 조직몰입은 유의한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직무자율성의 하위 변인별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업무방식 자율성이 정서적 조직몰입에 정(+)의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업무계획 자율성, 의사결정 자율성은 정서적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밀레니얼 세대에 대한 경력개발지원이 높을수록 정서적 조직몰입은 향상된다. 경력개발지원의 하위변인인 공식적 지원과 비...
TAG 직무자율성, 정서적 조직몰입, 경력개발지원, 밀레니얼 세대, Job autonomy,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Career development support, Millennials in Large Corporation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