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명지대학교 정부혁신연구소 AND 간행물명 : 정부행정87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교통 취약지역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정책연구
기정훈 ( Junghoon Ki ) , 장준철 ( Juncheol Jang )  명지대학교 정부혁신연구소, 정부행정 [2019] 제15권 제1호, 1~20페이지(총20페이지)
교통권은 국민생활에 있어 필수적인 이동할 수 있는 권리라는 교통의 기본권적 성격을 의미한다. 교통에 대한 접근성이 삶의 기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었고 대중교통 취약지역에 관한 논의는 교통권에 대한 인식에 기초하여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기본권, 교통취약지역, 교통취약계층에 대한 이론적 검토와 현황분석, 유형화 및 수요응답형 대중교통(Demand Responsive Transit)의 전라남도 진안군 사례를 통해 현행 교통접근성의 개선방안을 법 및 제도, 교통수단운영과 그리고 중장기적 전략의 세 가지로 전개한다. 첫째, 대중교통에 대한 투자는 건설투자의 개념이 아닌 복지 분야 투자라는 발상의 전환의 관점에서 이를 뒷받침하는 법적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교통수단 운영 측면에서 현행 교통접근성의 개선방안은 교통약자들의 수요에...
TAG 교통권, 교통취약지역, 교통취약계층, 수요응답형 대중교통, Transportation Rights, Transportation Vulnerable Areas, Transportation Vulnerable Classes, Demand Responsive Transit
인공지능 위험대비 정책에 대한 인지된 필요성의 결정요인: 인지된 편익의 조절효과 분석
김기동 ( Kidong Kim ) , 남태우 ( Taewoo Nam )  명지대학교 정부혁신연구소, 정부행정 [2019] 제15권 제1호, 21~40페이지(총20페이지)
본 연구는 한국행정연구원에서 2017년 조사한 인공지능 확산에 따른 위험 인식조사데이터를 활용하여, 인공지능 규제의 필요성, 가치침해, 인지된 위험, 인지된 편익이 인공지능 위험대비 정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인지된 편익인 인지된 일상적 편익과 인지된 건강 편익이 인공지능 규제의 필요성, 가치침해, 인지된 위험과 종속변수인 인공지능 위험대비 정책 사이에서 조절효과를 갖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인공지능 규제 필요성. 가치침해, 인지된 일상적 편익은 인공지능 위험 대비 정책에 유의미한 양(+)의 영향을 미쳤으나, 인지된 위험과 인지된 건강 편익은 인공지능 위험대비 정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또한 조절효과의 경우 오직 인지된 건강편익이 인지된 위험과 인공지능 위험대비 정책 사이에서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AG 인공지능, 인지된 편익, 인지된 위험, Artificial Intelligence, Perceived Benefits, Perceived Risk
안전가치창출의 Co-creation 접근: 안전도시 공인사례를 중심으로
한세억 ( Saeeok Han )  명지대학교 정부혁신연구소, 정부행정 [2019] 제15권 제1호, 41~70페이지(총30페이지)
안전은 시민 삶의 질을 결정짓는 핵심요소로서 지역을 넘어 국제적 수준에서 강조된다. WHO의 안전도시 공인프로그램은 지역공동체 중심의 상향적 접근방법(Bottom-up)을 기본 개념으로 하면서 지역사회 모든 구성원의 참여를 중시한다. 이러한 문제인식의 맥락에서 본 논문은 국내ㆍ외 안전도시의 경험적 공인사례를 비교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사례분석 결과, 선진 안전도시인 Harstad, Dallas, 제주시는 지역구성원의 안전욕구를 반영하여 다양한 안전프로그램과 상호협력네트워크를 구축하였으며 시민참여의 사업집행과정에서 안전가치가 지역주민의 생활에 투영되었다. 아울러 사업 및 체제의 지속가능성이 유지하였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드러냈다. 장차 국내 지역사회의 안전공동체 구축과정에서 기존의 안전 Governance를 넘어서는 안전 Co-cr...
TAG 안전도시, 재난관리체계, 공동가치창출, Safety City, Disaster Management System, Co-creation
대학지식이전조직의 성과와 장애요인에 관한 사례연구: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을 중심으로
송충근 ( Chung Geun Song )  명지대학교 정부혁신연구소, 정부행정 [2019] 제15권 제1호, 71~103페이지(총33페이지)
우리나라 대학에서 새로운 조직으로서 기술이전조직이 생기기 시작하면서 지식이전이 상업적인 방향으로 흘러온 것이 사실이다. 또 대학의 지식이전이 기술의 확산과 대학의 수익원 증대를 가져다주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와 같이 대학의 지식이전이 대학과 기업 모두에게 많은 성과를 가져다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성과분석과 조직과정에 미치는 영향관계 분석에는 소홀히해왔다. 이에 본 연구는 전남대학교의 산학협력단을 대상으로 대학의 지식이전조직의 성과분석을 위한 양적 접근을 시도한 동시에 성공적인 지식이전의 핵심이슈의 파악을 위한 질적 접근으로서 이해당사자 10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학의 지식이전조직의 핵심 이해관계자들(대학교수과 대학행정가, 기술경영팀, 대학지주주식회사, 기업가)은 첫째, 대학교수가 창업하든, 기업가와 공동연구를 하든 조직으로부...
TAG 지식이전성과, 장애요인, 조직문화, Knowledge Transfer Performance, Barrier Factors, Organization Culture
조직문화가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유수동 ( Soodong Yoo ) , 전성훈 ( Sunghun Jeon )  명지대학교 정부혁신연구소, 정부행정 [2019] 제15권 제1호, 105~131페이지(총27페이지)
본 연구는 지방공기업인 서울주택도시공사 직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조직문화와 직무몰입의 영향관계에서 사회자본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조직문화는 사회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혁신문화, 관계문화, 합리문화는 직무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혁신문화, 관계문화와 직무몰입 간의 관계에서 사회자본의 부분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조직내에서 공유되고 있는 조직문화는 사회자본의 형성을 촉진하게 되고, 더 나아가 조직구성원의 직무몰입 수준을 높이게 된다. 이처럼 조직문화와 사회자본에 대한 조직구성원의 지각은 조직성과와 같은 조직적인 측면에서 유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AG 조직문화, 사회자본, 직무몰입, Organizational Culture, Social Capital, Job Engagement
조직평판(reputation)이 파트너십 체결에 미치는 영향 연구: 지방정부와 대학의 MOU를 중심으로
유은지 ( Eun Ji Yoo ) , 엄영호 ( Young Ho Eom )  명지대학교 정부혁신연구소, 정부행정 [2019] 제15권 제1호, 133~151페이지(총19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평판이 조직 간 파트너십 체결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조직 특성이 유사하지 않은 조직 간의 파트너십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고찰하고자 하며, 구체적으로 지방정부와 대학의 파트너십을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을 위하여, 2014년 244개 지방자치단체와 93개 대학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총 22,448개의 파트너십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지방정부가 대학과 파트너십을 체결하는데 대학의 평판은 중요하며, 이는 대학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즉, 소재지가 불일치할 때 더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유사한 조직들 간의 파트너십을 넘어 조직의 특성이 다른 즉, 지방정부와 대학의 파트너십에 조직 평판이 미치는 영향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의 차별점을 ...
TAG 평판, 조직 간 파트너십, 지방정부, 대학, Local Government, University, Reputation, Local Government-University MOU, Government-Academy Cooperation
한국 국가 재난관리 추진조직의 IT 활용 실태분석: 재난관리 업무 담당 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최호진 ( Ho-jin Choi )  명지대학교 정부혁신연구소, 정부행정 [2018] 제14권 제1호, 1~27페이지(총27페이지)
최근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재난 사태와 관련하여 전문가들은 그 발생 원인으로 의사소통·정보공유부재 및 업무협조 부족을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향후 범국가적인 차원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재난관리 업무를 추진해 나가기 위해서는 업무담당 추진기관 간의 소통 및 협력과 관련하여 무엇이 문제인지를 파악하고, 우리의 강점인 IT를 활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이와 같은 배경 하에서 본 고에서는 우리나라 국가 재난관리 추진조직의 IT 활용 실태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에서 재난관리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국가 재난관리 추진상의 IT 활용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리고 IT를 활용한 국가 재난관리 업무담당 기관들의 소통 및 ...
TAG 재난관리, 국가 재난관리 추진조직, IT 활용, 설문조사, 소통 및 협력 강화, Disaster management,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promotion organization, Utilization of IT, Surveys, Strengthening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한국 여성이 일과 삶의 균형 정책을 활용할 수 없는 이유: 남성 중심의 조직 문화와 성 차별을 중심으로
김화연 ( Hwayeon Kim )  명지대학교 정부혁신연구소, 정부행정 [2018] 제14권 제1호, 29~48페이지(총20페이지)
최근 높은 교육수준을 가진 여성들의 사회참여가 활발해졌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사회는 여전히 여성인력을 활용하는데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실제로 한국은OECD국가 중 유리천장이 가장 두터운 나라로 꼽히고 있으며, 승진을 비롯한 고용, 임금 등에서 많은 성차별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정부에서는 여성의 경제활동을 보장해주고 일과 가정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유연근무제, 출산휴가, 육아휴직과 같은 다양한 제도적 지원을 제공해주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도적 지원에도 불구하고 실제 근로자들은 이러한 제도를 자유롭게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의 조직들은 오랫동안 유교주의에 기반 한 집단주의 문화와 남성중심 문화를 바탕으로 하고 있기에 ‘가정’보다는 ‘일’에 집중하는 근로자를 바람직하게 바라보고 있다. 이러한 문화 때문에 가정의 의무를 ...
TAG 조직문화, 성 차별 인식, 일과 삶의 균형 정책, Organizational Culture, Gender Discrimination, Work-life Balance Policies
정부혁신 제도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과관리제도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
한승주 ( Seungjoo Han )  명지대학교 정부혁신연구소, 정부행정 [2018] 제14권 제1호, 49~61페이지(총13페이지)
정부혁신을 위해 도입된 제도가 공직사회에 수용·활용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찾기 위해, 지난 20여 년간의 대표적인 정부혁신 시도였던 성과관리제도를 대상으로 공무원의 수용성을 분석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2000년부터 2018년 학술지에 게재된 총 17편의 관련 논문의 연구결과를 취합·정리한 결과,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난 것은 리더의 관심, 조직문화와 제도의 정합성, 제도설계의 적절성·공정성, 제도운영의 소통·이해·보상 체계 마련 등이었다. 이러한 결과가 정부혁신 제도의 수용에 주는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TAG 정부혁신, 성과관리제도, 수용성, Government Innovation,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Acceptance
Montjoy & O’Toole의 조직내적 집행이론의 적용: 보건복지부의 아동 관련 사업을 중심으로
유수동 ( Soodong Yoo ) , 이진실 ( Jinsil Lee )  명지대학교 정부혁신연구소, 정부행정 [2018] 제14권 제1호, 63~90페이지(총28페이지)
정책집행에 대한 관점은 다양하고, 집행과정은 복잡하기 때문에 정책집행에 관한 체계적인 이론의 개발 및 형성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정책집행 연구가 시작된 이후 연구의 관점은 지속적으로 확대되었으나, 실용주의적 관점이 정책집행 분야에서도 나타나면서 학문적인 관심은 쇠퇴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Montjoy & O’Toole(1979)의 조직내적 집행이론의 한국적 적용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감사원의 ‘결산검사 보고서’를 중심으로 보건복지부 아동 관련 사업의 집행 상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보건복지부의 아동 관련 사업은 Montjoy & O’Toole(1979)의 조직내적 집행이론이 제시하는 각 유형별로 분류될 것이라는 가설은 대체적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책집행 문제의 복잡성과 특정한 위임사항과 관련된 집행조직 내 관...
TAG 조직내적 집행이론, 정책집행 연구, 보건복지부 감사, inter organizational implementation theory, policy implementation research,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udit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