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수학교육학회 AND 간행물명 : A-수학교육1415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초등학생들의 비구조화된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공간 추론 능력과 문제 해결 능력
최주연 ( Choi Jooyun ) , 김민경 ( Kim Min Kyeong )  한국수학교육학회, A-수학교육 [2021] 제60권 제2호, 133~157페이지(총25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생활과 밀접한 공간을 기반으로 한 비구조화된 문제를 개발하고 수업에 적용하였다. 이 과정에서 6학년 학생들의 공간 추론 능력으로는 외적 추론에 비해 내적 추론에서 어려움을 표했으며, 공간 추론이 수와 연산, 측정 등의 영역과 연계되어 활용될 때 그 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 문제 해결 능력에서는 반성 요소가 미흡하게 나타났으며 초등 현장에서 온라인 환경에서의 협력과 수학적 모델링 학습이 적용 가능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를 통해 수학 교육 현장에 공간 학습과 실생활 문제 해결에 관한 의미 있는 시사점을 도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TAG 비구조화된 문제, 공간 추론 능력, 문제 해결 능력, ill-structured problem, spatial reasoning ability, problem-solving ability
전개도 과제에서 지오픽스와 Cabri 3D를 활용한 학습의 효과 비교
서화진 ( Seo Hwajin ) , 이광호 ( Lee Kwangho )  한국수학교육학회, A-수학교육 [2021] 제60권 제2호, 159~172페이지(총14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조작 교구와 탐구형 기하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전개도 학습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공간 감각에 주는 영향을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 실험집단은 조작 교구인 지오픽스를 한 실험집단은 탐구형 기하소프트웨어인 Cabri 3D를 활용하여 전개도를 학습하였다. 비교 집단은 교구나 소프트웨어의 사용 없이 학습지만으로 학습을 진행하였다. 사전과 사후에 공간 감각 검사를 실시하여 그 수준을 파악하였고, 시선 추적 검사를 실시하여 전개도 과제를 해결하는 학생들의 전략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조작 교구인 지오픽스를 활용한 전개도 학습이 공간 감각에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Cabri 3D 또한 전개도를 학습하기 위한 좋은 도구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전개도 학습 이후 학생들의 해결 전략은 가장 효율적인 전략이었던 분석...
TAG 공간 감각, 전개도, 조작 교구, 탐구형 기하 소프트웨어, spatial sense, the nets of solid, physical manipulative, dynamic geometry software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의 지속가능발전 내용 분석
김정원 ( Kim Jeongwon )  한국수학교육학회, A-수학교육 [2021] 제60권 제2호, 173~190페이지(총18페이지)
지속가능발전 교육은 현재와 미래 세대의 지속가능한 발달을 위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1학년부터 6학년의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지속가능발전 교육의 내용을 혼합연구의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지속가능발전에 관한 내용의 관련 차원 및 수학 내용 영역, 수학과의 연결성 등을 양적 연구의 방법으로 분석하였고, 관련된 하위 내용 및 교과서에 구체적으로 어떻게 제시되는지를 질적 연구의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는 지속가능발전의 세 가지 큰 축인 환경, 사회, 경제 차원에 관한 내용이 여러 학년에 걸쳐 다양하게 다루어지고 있었다. 환경 차원과 관련하여 자연 자원, 에너지, 기후 변화 등의 하위 내용이, 사회 차원과 관련하여 평화와 안전, 문화 다양성, 건강 관리 및 증진의 하위 내용이, 경제 차원과 관련하여 지속가능한 생...
TAG 지속가능발전, 지속가능발전 교육,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다문화학생의 수학학업성취도 변화와 계층분류
김형원 ( Kim Hyung Won ) , 고호경 ( Ko Ho Kyoung )  한국수학교육학회, A-수학교육 [2021] 제60권 제2호, 191~207페이지(총17페이지)
본 연구는 다문화 학생들의 수학학업성취도 변화의 양상을 파악하고 예측하기 위하여 성장혼합모형의 잠재성장모형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수의 다문화 학생들이 학년이 높아갈수록 성취도가 하향하고 있음과 성취도의 변화가 부모의 소득수준이나 교육수준과 연관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초기 성취도가 낮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급격히 감소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공교육적 차원에서의 다문화 학생지원을 강화할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TAG 다문화 수학교육, 잠재성장 모형, 잠재계층차이, mathematics education for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latent growth model, classification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수학과 평가 문항의 역량 및 표현 형식 특성 분석
박지현 ( Park Ji Hyun )  한국수학교육학회, A-수학교육 [2021] 제60권 제2호, 209~228페이지(총20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과 교육과정에 기반한 평가 문항을 출제할 때 핵심적으로 고려되는 수학 역량 및 표현 형식특성을 규명하고, 수학과 평가 문항에서 수학 역량 및 표현 형식 특성이 나타나는 양상을 밝히는 것이다. 선행 연구분석 및 2차에 걸친 타당성 조사를 통해, 수학과 교육과정에 기반한 평가 문항의 특성으로 수학 역량 범주는 12가지, 표현 형식 범주는 8가지를 추출하고, 이 특성들로 구성된 문항 특성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또한 문항 특성 분석틀을 활용하여 201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을 분석한 결과, 중 고등학교의 수학 역량 및 표현 형식 특성에 대한 출제 경향에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TAG 수학 문항 특성, 문항 특성 분석, 수학 평가, 타당도, Mathematics item features, Item feature analysis, Mathematics assessment, validity
학생의 문제해결전략에 대한 교사의 노티싱 역량 분석: 이분모 분수의 덧셈과 뺄셈에서 나타난 오류를 중심으로
손태권 ( Son Taekwon ) , 황성환 ( Hwang Sunghwan )  한국수학교육학회, A-수학교육 [2021] 제60권 제2호, 229~247페이지(총19페이지)
학생의 수학적 사고는 다양한 형태의 산출물로 나타나며, 교사는 이를 통해 학생의 수학적 사고를 추론하고 반응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분모 분수의 덧셈과 뺄셈을 중심으로 오류가 포함된 문제해결전략에 대한 39명의 현직초등교사의 노티싱 역량을 분석하였다. 그로부터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교사의 노티싱 역량은 식별하기, 해석하기, 반응하기 순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반응하기는 교사의 의도와 문제 유형에 따라 범주화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교사 노티싱 연구의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TAG 문제해결전략, 수학적 사고, 오류, 교사 노티싱, 이분모 분수의 덧셈과 뺄셈, 학생 산출물, problem-solving strategy, mathematical thinking, error, teacher noticing, fraction addition and subtraction with uncommon denominators, student materials
초등학생들의 측정으로서 분수에 대한 이해 : 공학도구를 활용한 기호적 중재
여승현 ( Yeo Sheunghyun )  한국수학교육학회, A-수학교육 [2021] 제60권 제1호, 1~19페이지(총19페이지)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이 공학도구를 활용하여 측정으로서의 분수의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분석하고 해결전략의 변화 과정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초등학생 13명을 대상으로 과제 중심의 임상면담을 실시하였고, 특히 분수를 처음 학습한 3학년 학생들의 측정 문제 해결 전략을 심층분석하였다. 그 결과, 추측하기에서 반복적인 분할하기, 임의의 단위 사용에서 주어진 단위 사용과 같은 두 가지 프로파일이 발견되었다. 각 프로파일의 대표적인 사례를 바탕으로, 공학도구의 활용이 역동적인 단위 개념을 형성하는데 기여하고 또한 분수와 관련된 의미형성과정에 드래깅과 같은 수학적 조작 활동이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분수의 다양한 의미를 탐구하고 학습하는 후속 연구를 위한 밑거름이 되길 기대한다.
TAG 측정으로서의 분수, 공학도구, 기호적 중재, fraction as measure, dynamic technology, semiotic mediation
유리수 지수 정의에 대한 교사 이해 분석
신보미 ( Shin Bomi )  한국수학교육학회, A-수학교육 [2021] 제60권 제1호, 21~39페이지(총19페이지)
본 연구는 유리수 지수 정의에 대한 교사의 이해 특징을 분석하여 교사 교육에의 시사점을 구체화하고, 지수의 확장을 지도하는 수업에서 정의의 본질 및 그 이면의 사고를 다루기 위해 고려할 필요가 있는 교수학적 쟁점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지필검사 도구를 개발하여 현직 고등학교 교사 50명의 답변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유리수 지수 정의에 대한 교사의 이해 특징이 교사 교육에 주는 시사점 및 교수학적 쟁점을 기술하였다. 또한 이러한 시사점 및 교수학적 쟁점을 국내 교과서 전개 방식에 비추어 해석하여 수업을 통해 지수의 확장과 관련된 정의의 본질을 의미있게 다루기 위해 교사 및 교과서가 좀 더 주목할 필요가 있는 측면을 제언하였다.
TAG 유리수 지수 정의, 지수가 유리수일 때의 지수법칙, 교사 지식, Definition of rational exponent, Formulae of exponentiation with rational exponents, Teacher knowledge
메타분석을 통한 또래교수 수업이 수학 학업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조창호 ( Jo Chang Ho ) , 최송희 ( Choi Song-hee ) , 김동중 ( Kim Dong-joong )  한국수학교육학회, A-수학교육 [2021] 제60권 제1호, 41~59페이지(총19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또래교수를 활용한 수학 수업이 학생의 인지적·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를 종합하는 데 있다. 이에 총 61편의 개별연구 결과를 메타분석하여, 또래교수가 학생의 수학 학업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또래교수를 활용한 수학 수업의 인지적·정의적 교육효과가 전반적으로 중간 효과크기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또래교수를 활용한 수학 수업이 학생의 인지적·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에서 학교 급, 학생 유형, 학습 장소, 수업 시간, 또래교수자 훈련 또는 사전교육 실시 유·무를 중요한 변수로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 수학 수업에서 또래교수의 설계와 운영에 대한 다양한 변인들을 바탕으로 구체적 아이디어를 제안할 수 있다.
TAG 또래교수, 메타분석, 효과크기, 수학 학업성취도, 수학과 정의적 영역, peer tutoring, meta-analysis, effect size, mathematics learning achievements, mathematics affective domains
수학 예비교사들이 과제의 인지적 노력 수준 변형에서 겪는 오류와 어려움
강향임 ( Kang Hyangim ) , 최은아 ( Choi Eunah )  한국수학교육학회, A-수학교육 [2021] 제60권 제1호, 61~76페이지(총16페이지)
본 연구는 수학 예비교사들이 과제의 인지적 노력 수준 변형에서 겪는 오류와 어려움을 분석하여, 수학 과제 변형과 관련한 수학 예비교사 교육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4명의 수학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수직이등분선의 성질에 대한 추론 과제를 높은 수준과 낮은 수준으로 변형하는 활동과 이에 대한 반성 및 수정 기회를 제공하였다. 변형 과제를 중심으로 예비교사들이 과제의 수준 변형에서 겪는 오류와 어려움을 분석한 결과, 과제 수준의 판단 관점에서 PNC와 PWC 과제의 구분에 제한된 이해를 보였으며, 과제의 외형적인 요소에 의존하는 간섭 현상을 확인하였다. 과제 수준의 변형 관점에서 예비교사들은 과제의 목표와 수직적 위계를 간과하거나 변형 유형의 편향성을 보였다. 한편 예비교사들은 반성 및 수정 활동을 통해 자신들의 변형 ...
TAG 예비교사, 과제 변형, 인지적 노력 수준, 학습 위계, 수직이등분선, 오류와 어려움, pre-service teachers, task modification, cognitive demand, learning hierarchy, perpendicular bisector, errors and difficultie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