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환경생태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1766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고군산군도 일곱섬의 곤충 군집 및 식물상 특징에 관한 연구
황정호 ( Jeong Ho Hwang ) , 임민영 ( Mean-young Yim ) , 안승락 ( Seung-lak An ) , 백운기 ( Woon-kee Paek ) , 이왕희 ( Wang Hee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1] 제2021권 제1호, 3~4페이지(총2페이지)
도서지역은 지리적으로 육지와 격리되어 다윈 이래 많은 생태학자들에게 야외 실험실로써 가치가 높은 공간이다. 주된 연구 방향은 서식 종과 섬의 환경적 특성을 고려하여 그 관계에 대하여 규명하는 연구들이다. 한국에는 약 4,000개의 유ㆍ무인도서가 서해와 남해를 중심으로 분포하나, 아직까지 서식 도서 정보 통합관리 데이터베이스와 도서생물의 지리학적 연구 토대가 부족한 실정이다. MacArthur and Wilson (1967)의 ‘도서생물지리학설(Theory of island biogeography)’ 에 따르면 도서지역 생물상은 외부 (육지)로부터의 유입과 도서 내 멸종을 반복하며 결정되고, 다양성은 섬의 크기와 유전자원의 원천 (Gene pool)인 육지로부터의 거리에 영향을 받아 평형을 이룬다. 일반적으로 도서지역 생물다양성은 육지에 가까울수록, 섬...
한국산 복수초속의 생식 형질 표피 미세형태와 기공복합체 분포
강성연 ( Seongyeon Kang ) , 백운기 ( Woon-kee Paek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1] 제2021권 제1호, 5~6페이지(총2페이지)
도서지역은 지리적으로 육지와 격리되어 다윈 이래 많은 생태학자들에게 야외 실험실로써 가치가 높은 공간이다. 주된 연구 방향은 서식 종과 섬의 환경적 특성을 고려하여 그 관계에 대하여 규명하는 연구들이다. 한국에는 약 4,000개의 유ㆍ무인도서가 서해와 남해를 중심으로 분포하나, 아직까지 서식 도서 정보 통합관리 데이터베이스와 도서생물의 지리학적 연구 토대가 부족한 실정이다. MacArthur and Wilson (1967)의 ‘도서생물지리학설(Theory of island biogeography)’ 에 따르면 도서지역 생물상은 외부 (육지)로부터의 유입과 도서 내 멸종을 반복하며 결정되고, 다양성은 섬의 크기와 유전자원의 원천 (Gene pool)인 육지로부터의 거리에 영향을 받아 평형을 이룬다. 일반적으로 도서지역 생물다양성은 육지에 가까울수록, 섬...
참나무겨우살이(Taxillus yadoriki (Siebold) Danser) 기주식물 다양성 및 부착특성
최병기 ( Byoung-ki Choi ) , 양주은 ( Ju-eun Yang ) , 박민지 ( Min-ji Park ) , 이채빈 ( Chae-bin Lee ) , 서연옥 ( Yeon-ok Seo ) , 임은영 ( Eun-young Yim ) , 최형순 ( Hyung-soon Choi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1] 제2021권 제1호, 7(총1페이지)
겨우살이(Mistletoe)는 교목이나 관목의 가지에 기생하는 단항목에 속하는 현화식물로 우리나라는 단향과의 겨우살이 (Viscum album L. var. coloratum (Kom.) Ohwi), 붉은겨우살이(Viscum album for. rubroauranticum (Makino) Ohwi), 동백나무겨우살이(Korthalsella japonica (Thunb.) Engl.) 등 3분류군과 꼬리겨우살이과의 꼬리겨우살이(Loranthus tanakae Franch. & Sav.)와 참나무겨우살이(Taxillus yadoriki (Siebold) Danser) 등 2분류군을 합하여 2과 4속 5분류군이 분포하고 있다(Kim et al., 2013)...
남생이(Mauremys reevesii)의 성별 및 시기에 따른 주간 행동 분석
김지원 ( Ji-won Kim ) , 이정은 ( Jung-eun Lee ) , 함충호 ( Choong-ho Ham ) , 강희진 ( Hee-jin Kang ) , 임양우 ( Yang-woo Lim ) , 장두강 ( Du-kang Jang ) , 성하철 ( Ha-cheol Sung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1] 제2021권 제1호, 8(총1페이지)
동물은 계절, 온도, 먹이, 환경변화 등에 따라 다양하게 반응하며 종 보호와 복원을 위해 그 종의 행동 패턴을 파악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특히 멸종위기종 동물의 행동에 대한 이해는 종 보존과 보호 측면에서 가치가 높기 때문에, 국외에서는 멸종 위기종의 행동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남생이(Mauremys reevesii)는 거북목(Testudines) 남생이과(Geoemydidae)에 속하는 국내에 유일한 토종 민물거북이며 과거에는 전국에서 흔하게 발견되는 종이었으나, 환경오염,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 수가 뚜렷하게 감소하고 있다. 이에 따라 문화재청에서는 남생이를 천연기념물 453호로 지정하였고, 환경부에서는 남생이를 멸종위기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하여 보호 및 관리하고 있다. 또한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은 남생이를 멸종 위...
방사된 이후 번식쌍을 형성한 따오기의 행동권에 따른 서식환경 특성
조봉교 ( Soo-dong Lee ) , 이수동 ( Bong-gyo Cho ) , 오충현 ( Chung-hyeon Oh ) , 진민화 ( Min-hwa Jin ) , 한영섭 ( Young-sub Han ) , 김성진 ( Seong-jin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1] 제2021권 제1호, 9(총1페이지)
섭금류인 따오기는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적색목록(red data book)에 등재되어 있으며(BirdLife International 2000), 국내에서는 멸종위기야생생물Ⅱ 및 천연기념물 제198호로 지정되어 있다. 19세기 중반까지 한반도를 비롯하여 일본, 중국, 러시아 등에 널리 분포하였으나(Li and Li, 1998; Ding, 2004), 1930년대 이후 수렵과 농약 및 화학비료 사용, 서식지 파괴 등으로 한반도와 일본의 야생에서는 멸종된 것으로 밝혀졌다(한 2007; 강 등 2008). 중국에서도 멸종 직전이었으나 1981년 야생에 남아 있던 7개체를 토대로 인공증식과 서식지 복원을 통하여 2,000여 개체까지 증가하였다(Liu et al., 2014). 일본과 한국의 ...
보길도 격자봉 일대 상록활엽수림의 식물군집구조 특성
오충현 ( Chung-hyeon Oh ) , 이수동 ( Soo-dong Lee ) , 조봉교 ( Bong-gyo Cho ) , 진민화 ( Min-hwa Jin ) , 이광규 ( Gyoung-gyu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1] 제2021권 제1호, 13(총1페이지)
남해안에 분포하는 상록활엽수림은 벌채, 연료채취, 개발 등 인위적 영향으로 파괴된 후, 참나무류가 우점하는 낙엽활엽수림 또는 곰솔 등 상록침엽수가 우점하는 군락으로 변형되어 원형이 상실된 상태이다(Oh and Choi, 1993). 이 외에 난온대 지역의 잠재 자연식생을 고려하지 않은 외래종 중심의 조림은 상록활엽수림의 회복을 어렵게 하고 있다(Park and Oh, 2002). 이러한 사유로 도서지역과 급경사지 등 출입이 어려운 일부 지역에만 상록활엽수림이 유지 또는 보전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상록활엽수는 기후변화에 따라 전라남도, 경상남도를 포함하는 도서지방과 서·남해안의 인접지역, 동해안의 강원도 고성까지 분포가 확대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 바 있으나(Yoo et al., 2020), 직접적인 서식지 파괴는 온난화로 인한 상록...
촉진자 프로그램 도입을 통한 학교숲 조성
신해선 ( Hae-seon Shin ) , 최송현 ( Song-hyun Choi ) , 장정은 ( Jung-eun Jang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1] 제2021권 제1호, 14(총1페이지)
학교숲은 국민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학생 청소년과 교직원이 일상생활의 절반 이상을 보내는 생활공간이자 학교의 뜰이자 ‘가르칠 수 있는 순간’에 당장 활용하는데 적합한 환경교육의 장이다. 1999년부터 시작된 학교숲 운동을 통해 학교숲 조성에 대한 사회적 합의와 학교숲 조성에 대한 지향을 갖기 시작하면서 학교숲의 활용에 대한 관심과 지역사회에서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학교숲의 조성은 학교관리자의 관심도에 따라 수목선정과 사후관리가 달라지므로 학교구성원의 참여를 통한 조경에 대한 관심도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학교숲 조성 시 학교 실정 및 주변 여건, 학교별 특색에 적합하지 않은 획일적인 조경계획 및 시공이 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획일적인 학교 조경계획을 지양하고, 학교여건 및 학교 특색을 반영한 교육환경 조성, 학생들의 학교에 대한...
노을공원 쓰레기매립지 식생복원을 위한 아까시나무 천이방향 연구
위사양 ( Wei-siyang ) , 오충현 ( Oh-choong Hyeon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1] 제2021권 제1호, 15(총1페이지)
쓰레기 매립지는 일정 높이로 고체화시킨 쓰레기 더미 위에 토양을 복토하고 매립작업을 반복한 후 최종 복토를 한 인공 생태계이다. 사용 종료 쓰레기 매립지는 안정화사업을 통해 공원, 체육시설, 농경지, 야적장 등으로 조성되어 지역주민들이 이용하고 있다. 난지도는 쓰레기 매립지가 공원화된 대표적인 사례지역이다. 난지도 쓰레기 매립지는 1978년부터 1993년까지 15년 동안 서울시에서 발생한 생활 쓰레기가 매립되었다. 이후 1996년부터 2002년까지 매립지 안정화 사업을 진행하였다. 매립지 안정화 사업을 완료하기 위해서는 복토된 토양 위에 수목을 식재하는 것이 필요하다. 수목을 식재할 때는 유지관리를 쉽게 하고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자연적인 천이를 고려하여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쓰레기 매립지는 내부에 있는 쓰레기의 부패로 인해 발생하는 침출...
보길도 격자봉 능선부에 분포하는 회양목군락의 식생구조 특성
진민화 ( Min-hwa Jin ) , 이수동 ( Soo-dong Lee ) , 조봉교 ( Bong-gyo Cho ) , 오충현 ( Chung-hyeon Oh ) , 배순형 ( Soon-hyoung Bae ) , 김한 ( Han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1] 제2021권 제1호, 16(총1페이지)
우리나라에서 회양목의 천연분포는 소백산, 단양, 삼척 등 북위 40° 부근까지인 것으로 확인되었는데(Kim, 1980), 세부적으로는 제주도, 전남 보길도, 경북 주왕산, 충북 단양, 강원도 영월 등에서 자생하고 있으며, 낙엽활엽관목으로 수고 7m까지 자란다고 알려져 있다(Lee and Oh, 1970; Lee, 1993; Lee et al, 2020; Lee, 2003). 충북 단양에 자생하는 회양목의 토양환경을 분석한 결과 pH 7.8~8.4로 높은 석회암지대에서 생육이 양호한 것으로 밝힌 바 있으나(Kim, 2003), 4 내외의 낮은 pH에서도 내성을 가진다고 하였다(Lee et al., 2012). 연구자료를 분석한 결과, 회양목의 분포는 토양의 물리성 및 화학성, 지형구조, 교란, 다른 수종과...
우리나라 도시농업 10년의 성과와 과제
오충현 ( Choong-hyeon Oh ) , 최지원 ( Ji-won Choi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1] 제2021권 제1호, 17~18페이지(총2페이지)
우리나라는 세계에서도 도시 인구집중이 매우 높은 국가이다. 2020년 현재 92% 이상의 국민이 도시에 거주하고 있다. 이와 같은 도시화로 인해 도시농업 활동이 활발해지고 있다. 1차 세계대전이 취약계층에게 신선한 농산물을 제공해주기 위해 시작된 서구의 도시농업과는 달리 우리나라는 1980년대 이후 농업에 대한 향수와 안전한 농산물 생산을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서구 도시농업의 기반으로 영국의 얼롯먼트와 독일의 분구원이 있다면 우리나라에는 주말농장이 있다. 하지만 최근 도시농업이 활성화되면서 주말농장에서 진행되는 도시농업보다 생활권에서 진행되는 상자텃밭, 베란다 텃밭 등의 활동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흐름을 반영하여 2010년 서울시 강동구는 도시농업조례를 제정하였고, 2011년 도시농업지원법이 제정되어 지방정부와 중앙정부 차원에서 도시농업 활...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