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1200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환경DNA 기술을 이용한 국내 담수어류종 탐지 가능성 - 경기도 민물고기생태학습관 중심으로 -
김가우 ( Gawoo Kim ) , 송영근 ( Youngkeun Song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환경영향평가 [2021] 제30권 제1호, 1~12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는 환경DNA 기술을 이용한 국내 담수어류종 탐지방법 도입 및 적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환경DNA를 이용한 모니터링 기술은 기존의 현장조사 모니터링 방식에 비하여 교란이 적고 편의성이 높으며 조사에 대한 감도가 높아 급변하는 하천 생태계 모니터링을 위한 효율적인 방법으로 주목 받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지는 경기도 민물고기 생태학습관으로 수족관 내 수조, 생태연못, 양식장에 서식하는 국내 대표적 담수어류종에 대해 7월부터 10월까지 3차례의 물 환경시료를 수집하여 환경DNA 분석을 실시하였다. 국내 담수생태계의 다양한 서식환경을 고려하여 선정된 종에 대해 기 구축된 유전자생물종 DNA 염기서열 특성을 검토하고, 종 검출 여부 확인을 위해 채수된 16개의 환경시료를 Miya et al(2015)에서 제시된 환경DNA 분석 프로토콜...
TAG 담수생태계, 어류군집, 어류종조사, 수생태계 모니터링, Freshwater ecosystem, Fish community, Fish species survey, Aquatic ecosystem monitoring
EN-Simulator를 활용한 안심습지 일원 수달의 주요 이동경로 예측 연구
신지훈 ( Gee-hoon Shin ) , 서보용 ( Bo-yong Seo ) , 노백호 ( Paikho Rho ) , 김지영 ( Ji-young Kim ) , 한성용 ( Sung-yong Han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환경영향평가 [2021] 제30권 제1호, 13~23페이지(총11페이지)
본 연구는 수달의 주요이동 패턴을 예측하기 위하여 EN-Simulator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주요 이동 경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범위는 대구시 안심습지를 중심으로 반경 7.5 km를 최종 범위로 설정하여 시뮬레이션 분석을 하였으며, 모형 검증을 위해 현지조사를 활용하였다. 가상의 수달 개체수는 1,000마리, 이동 스텝 수는 격자 당 1,000 스텝으로 설정하였으며, 총 841개 격자에 대하여 시뮬레이션을 실행하였다. 분석결과, 평균 147.6±112.1 개체가 간격 50m 조건에서 분석범위 경계 지점에 도착하였다. 시뮬레이션 검증결과, 수달의 주요 이동 확률이 높은 지역 가운데 시뮬레이션의 ‘매우 높음 지역’에서 8개 수달흔적 지점(13.1%), ‘높음 지역’에서 9개 지점(14.8%)으로 나타났다. 반면 이동확률이 낮은 지역에서는 ‘...
TAG 야생동물 이동경로 예측, 수달, EN-Simulator, 무작위 이동법, 안심습지, 서식지선택, Wildlife Movement Route, Eurasian Otter, Random-Walker, Ansim-wetland, Habitat Types
국내외 해양생태계 관리계획의 네트워크 분석
정세화 ( Sehwa Jeong ) , 김영하 ( Yeongha Kim ) , 여운상 ( Unsang Yeo ) , 성기준 ( Kijune Sung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환경영향평가 [2021] 제30권 제1호, 24~34페이지(총11페이지)
해양과 연안 지역의 과도한 개발과 이용으로 인하여 해양생태계에 발생하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국가에서 해양생태계 관리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분석법을 적용하여 우리나라와 주요 해양 국가들의 해양생태계 관리 방향 및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외 공통적으로 해양생태계 관리 기반 구축, 국제적 협력 및 파트너십 구축, 기후변화 대응 강화와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strengthen, promote, improve, establish 등의 단어가 많이 사용된 핵심어로 나타났다. 하지만 세부적인 관리계획에서는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국외에서는 특정 종에 대한 관리계획의 제시와 이미 수행 중인 제도적 기반을 개선하는 단계인 반면, 국내의 경우 포괄적인 해양생물 관리 강화 및 해양생태계 관리를 위한 ...
TAG 해양생태계, 관리계획, 키워드 분석, 네트워크 분석, 중심성 분석, Marine ecosystem, Management plan, Keyword analysis, Network analysis, Centrality Analysis
영가철/바이오 복합처리제를 이용한 질산성 질소 오염 지하수의 현장 지중정화 적용성 평가
주완호 ( Wan-ho Joo ) , 장윤영 ( Yoon-young Chang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환경영향평가 [2021] 제30권 제1호, 35~48페이지(총14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예산군에 위치한 질산성 질소 오염 지하수 부지를 대상으로 오염지하수의 지중정화 현장 적용성 평가를 수행하고자, 영가철/바이오 환경정화소재를 이용한 Injected PRB(Permeable Reactive Barrier)와 관측정을 현장 오염지하수부지에 적용하고 주요 정화지표에 대한 변화를 모니터링하였다. 질산성질소, 아질산성질소, 암모니아성질소, 철 이온, TOC, 탁도 등의 항목 등을 조사하고 미생물 분석을 실시하여 지중정화기술의 현장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연구대상 부지는 농경지역으로 북쪽 경계는 하천이 서쪽에서 동쪽으로 흐르며 하천 경계를 형성하고 남쪽은 불투수 경계로 이루어져 있다. 질산성질소는 전반적으로 지하수 흐름과 유사하게 하천으로 흐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모델링 결과, 약 3년에서 5년 정도 경과 후 ...
TAG 질산성질소, 지하수 오염, 지중정화, 투수성반응벽체, 생물학적 환원, Nitrate, groundwater contamination, in-siu remediation, permeable reactive barrier, biological reduction
한국 환경영향평가 제도에 대한 이해관계자의 인식 조사
김민경 ( Minkyung Kim ) , 이상돈 ( Sangdon Lee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환경영향평가 [2021] 제30권 제1호, 49~60페이지(총12페이지)
환경영향평가 실무자들은 환경영향평가 정책을 수립하는데 매우 중추적인 역할을 하며, 환경영향평가 시행 시에는 이해관계자와의 정보공유, 의견조율 등을 통하여 환경 갈등을 예방하고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환경영향평가 정책 및 시행 등 시스템 전반에 대하여 실무자를 포함한 이해관계자의 인식을 파악하는 것은 환경영향평가의 개선 방향 및 정책 방향 설정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한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환경영향평가 제도 및 운영에 대한 이해관계자의 인식 및 이해에 대한 정보는 부족한 상황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의사결정 수단이며, 환경 정보 분석기법을 통해 악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사전예방적 기법인 환경영향평가 제도에 대해서 운영 및 절차상의 문제점들을 진단하고, 향후 환경영향평가 제도의 개선점과 시스템의 보완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37개의 질문의 온...
TAG 환경 정책, 환경영향평가서, 인식, 제도, 설문조사, Environmental policy,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port, Awareness, System, Questionnaire
해양환경 평가지수를 활용한 환경영향평가서 및 사후환경영향조사결과 통보서 개선 방안 연구
이어진 ( Eojin Lee ) , 김태윤 ( Taeyun Kim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환경영향평가 [2021] 제30권 제2호, 61~74페이지(총14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해양에서 진행되는 개발사업으로 인하여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효율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평가지수들을 비교·검토하였다. 해양수질 분야에는 수질평가지수(WQI), 해양저질 분야에는 유해화학물질 정화지수(CIHC), 부영양화 정화지수(CIET), 농축계수(EF), 해양저서생물 분야에는 저서건강도지수(BHI), 저서오염지수(BPI)를 선정하였다. 개발사업에서 관측된 자료를 각각의 평가지수에 적용하여 평가지수의 특성 및 효용성을 파악하였다. 수질평가지수, 유해화학물질 정화지수, 저서건강도지수가 평가방법 및 평가기준이 명확히 정의되어 있으며, 통합적인 환경영향 분석이 가능하였다. 동 연구에서 제시된 지수이외에도 해양환경을 평가하는 다양한 지수가 있으며, 사업별 특성에 따라 적합한 지수를 활용하는 것도 중요하다.
TAG 해양환경, 평가지수, 환경영향평가, 사후환경영향, Marine Environment, Assessment Index,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Post-environment Impact
물환경측정망 자료를 활용한 금강수계 수질 유사도 평가
김지현 ( Jeehyun Kim ) , 채민희 ( Minhee Chae ) , 윤조희 ( Johee Yoon ) , 석광설 ( Kwangseol Seok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환경영향평가 [2021] 제30권 제2호, 75~88페이지(총14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금강 수계의 자동측정망 중 6개 지점을 선정하고, 이와 동일하거나 인근에 위치해 있는 수질측정망 지점을 대상으로 두 지점의 수질특성 파악하고 통계 분석을 통하여 상관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수질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수질 지수로 변환하고 등급으로 표현해 비교하였다. 연구에 필요한 자료는 최근 4년간(2016-2019)의 국가물환경측정망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수온, pH, EC, DO, TOC, TN, TP를 평가항목으로 선정하였다. 수질 분석 결과, 자동측정망과 수질측정망의 수질농도는 일부 측정값의 차이는 보였지만 대부분 지점에서 일정한 비로 변동하는 경향을 보였다. 항목 간 상관분석결과 수온, EC, DO 항목은 측정망간 상관성이 매우 높았고, TOC, TN, TP 항목은 기본항목에 비해 낮은 상관성을 보였으나 일부 측정망을 제외하고 0.7...
TAG 금강, 수질, 수질측정망, 수질자동측정망, 수질지수, Geum River, Water quality, Water quality monitoring, Real-time Water Quality monitoring, Water Quality Index
국립공원 이용 및 관리 방안에 대한 시민 인식
이성훈 ( Seonghun Lee ) , 구경아 ( Kyung Ah Koo ) , 임창민 ( Changmin Im ) , 윤태경 ( Tae Kyung Yoon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환경영향평가 [2021] 제30권 제2호, 89~104페이지(총16페이지)
본 연구는 최근 국립공원을 찾는 사람들이 많아짐에 따라 국립공원 관리의 정책 방향을 검토·결정하는데 필요한 국립공원 이용·보전 관리에 대한 시민의 여론을 확인하고자 진행하였다. 지금까지 국립공원 이용 및 인식과 관련한 설문 조사, 빅데이터 분석 등이 수행됐으나 공원 관리의 쟁점 사항 및 이용에 관한 조사 문항 등이 부족하며 조사 대상이 탐방객으로 국한되는 등의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시민들의 국립공원 이용과 현재 운영되고 있는 제도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기 위해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탐방객을 상대로 진행된 선행연구들과는 달리 일반 시민들은 고지대 탐방보다는 저지대 탐방을 선호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국립공원에서는 산정부 탐방 금지 정책에 대해 일반 시민들은 현재의 정책을 유지하거나 탐방예약제를 소폭 도입하는 것을 선호...
TAG 국민인식조사, 탐방예약제, 저지대 방문, 일반시민, 국립공원 타당성조사, Public survey, Visitor-reservation system, Bottom-area visit, Ordinary citizen, National park feasibility study
서울 도심 공지의 개발 시나리오에 따른 미기후 영향 분석 - 풍속 및 기온 비교 -
백지원 ( Jiwon Baek ) , 박찬 ( Chan Park ) , 박소민 ( Somin Park ) , 최재연 ( Jaeyeon Choi ) , 송원경 ( Wonkyong Song ) , 강다인 ( Dain Kang ) , 김수련 ( Suryeon Kim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환경영향평가 [2021] 제30권 제2호, 105~116페이지(총12페이지)
건물이 밀집되고 인구밀도가 높은 도시는 열섬현상이 가중되고 열쾌적성에 취약하다. 도심에서 방치되고 있는 공지는 주거환경과 도시미관을 저해하고 지역 전체의 경제적 활력이 낮아지며 도시를 쇠퇴하는 하나의 요인으로 다루어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 종로구 송현동의 공지를 대상으로 개발 시나리오에 따라 주변 미기후 영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현 상태 유지, 녹지 중심, 건물 중심, 녹지-건물 절충시나리오를 설정하고, ENVI-met을 사용하여 개별 시나리오별로 대상지와 대상지 주변 1 km 내 변화되는 풍속, 기온, 평균복사온도를 개발 시나리오별 내·외부 영향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지 내·외부는 녹지 중심의 시나리오가 현 상태 유지 시나리오와 비교했을 때 계절별 평균 기온은 낮아졌고, 풍속이 빨라진 것으로 도출되었다. 여름철 최대 -0.73 ℃가 낮...
TAG 공지, 의사결정, ENVI-met, 열쾌적성, 바람길, Vacant Land, Decision Making, Thermal Comfort, Ventilation Corridor
도시개발 시나리오에 따른 농업지역의 생태계서비스 변화 분석 - 3기 신도시 남양주 왕숙1지구를 대상으로 -
김수경 ( Sukyoung Kim ) , 최재연 ( Jaeyeon Choi ) , 박찬 ( Chan Park ) , 송원경 ( Wonkyong Song ) , 김수련 ( Suryeon Kim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환경영향평가 [2021] 제30권 제2호, 117~131페이지(총15페이지)
현재 도시개발은 택지공급의 안정화를 위하여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도시개발에 따른 토지이용 변화는 생태계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므로 다양한 도시 공간구조를 고려한 생태계서비스 평가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도시개발에 의한 농업지역의 생태계서비스 변화를 고찰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개발에 따른 농업지역의 생태계서비스 변화를 분석하고, 향후 도시계획 단계의 의사결정 지원에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남양주 왕숙1지구를 대상으로 도시개발 전과 개발 후에 대한 시나리오를 설정하였으며, InVEST 모델을 활용하여 생태계서비스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도시개발 이전의 생태계서비스 분석결과, 서식처 질과 수자원공급량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증가하는 양상이 나타난 반면, 탄소고정량과 작물생산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AG 도시화, 농업생태계, 공간계획, InVEST, Urbanization, Agroecosystem, Spatial Planning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