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화상학회538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아이오도메틸)트리메틸실란을 이용한 2-에티닐피리딘의 무촉매중합
손태관 ( Tae-kwan Son ) , 강병운 ( Byong-yun Kang ) , 제갈영순 ( Yeong-soon Gal ) , 심상연 ( Sang-yeon Shim )  한국화상학회, 한국화상학회지 [2020] 제26권 제3호, 61~69페이지(총9페이지)
(아이오도메틸)트리메틸실란을 이용한 2-에티닐피리딘의 무촉매 중합을 통하여 N-(트리메틸실릴메틸) 피리디늄 아이오다이드를 측쇄로 갖는 새로운 공액구조 고분자를 합성하였다. 이 중합반응은 불균일하게 진행되었으며 중합수율은 95%로 매우 높았지만 생성된 고분자는 중합중 가교화반응으로 대부분의 유기용매에 용해하지 않았다. 합성 고분자의 분자구조를 분석한 결과 이온성 피리딜 치환기를 갖는 해당 고분자가 합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합성 고분자의 열적 특성과 몰폴로지 등을 TGA, EDX 등의 분석장비로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TAG Iodomethyl, trimethylsilane, polyacetylene, synthesis, 2-ethynylpyridine, catalyst-free, polymerization
장거리 보정 범함수 이론을 적용하여 계산한 전하 이동 들뜬 상태 에너지에 대한 말단 작용기 전자 받개의 효과
배한석 ( Han-seok Bae ) , 송종원 ( Jong-won Song )  한국화상학회, 한국화상학회지 [2020] 제26권 제3호, 70~77페이지(총8페이지)
H2N-(CH=CH)3-X과 탄소사슬을 제거시킨H2N-H.....H-X시스템에서 다양한 전자받개(-X)를 치환시키고 B3LYP, long-range corrected(LC)-BLYP, EOM-CCSD의 계산방법들을 사용하여 charge transfer(CT) 에너지 계산을 수행한 뒤 전자받개와 CT에너지간의 연관성과 각각의 계산방법들에 대한 정확성을 비교하였다. 분자내, 분자간 시스템 모두 전자받개의 성향이 커질수록 CT에너지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기존의 LC-BLYP가 분자내와 분자간의 양쪽에서 가장 좋은 CT에너지 값을 보여주었다. 이번 연구에서 실시한 CT 에너지에서는 기존의 예상과 다르게 ...
TAG charge transfer excitation, long-range correction, range separation, electron acceptor, HOMO-LUMO
인쇄전자 기술을 활용한 지능형 반도체 소자 구현을 위한 유기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소자의 광파 어닐링 효과 연구
권미정 ( Mi Jeong Kwon ) , 박운익 ( Woon Ik Park ) , 임영수 ( Young Soo Lim ) , 남수용 ( Suyong Nam ) , 백강준 ( Kang-jun Baeg )  한국화상학회, 한국화상학회지 [2020] 제26권 제3호, 78~85페이지(총8페이지)
본 논문에서는 유연/인쇄 전자 기술을 활용해 고성능의 유기물 반도체 기반 트랜지스터를 개발하고, 이를 통해 인공지능용 반도체 및 폴리모픽 전자회로에 응용하기 위해 공액구조 고분자 반도체 소재의 광파 어닐링 방법에 따른 특성 향상 효과를 연구하였다. 일반적으로 열처리를 위해 가장 많이 활용되는 핫플레이트의 경우 반도체 소자 특성의 균일도 문제와 높은 온도 및 열-용량으로 인한 플라스틱 기판 사용의 제한, 긴 어닐링 시간 등의 문제로 인해 실제 산업에서 활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광파를 활용한 효과적인 유기물 반도체 필름의 열처리 공정을 개발함으로써 Roll-to-Roll 방식의 고속/대면적 인쇄 공정에 적합한 열처리 방법과 반도체 층 전체의 높은 결정화도 유도를 통한 성능 향상과 소자 균일도 개선을 위한 방법을 개발하였다.
TAG organic field-effect transistors, light wave, annealing, polymer semiconductors, printed electronics
2-브로모에틸 에틸 에테르를 이용한 2-에티닐피리딘의 중합을 통한 이온형 공액구조 고분자
갈영순 ( Yeong-soon Gal )  한국화상학회, 한국화상학회지 [2020] 제26권 제2호, 43~51페이지(총9페이지)
2-브로모에틸 에틸 에테르를 이용한 2-에티닐피리딘의 무촉매 중합을 통하여 측쇄에 에테르 부분을 갖는 새로운 공액구조 고분자를 합성하였다. 이 중합반응은 비교적 낮은 온도 조건에서도 균일하게 잘 진행 되었으며 89%의 수율로 해당 고분자를 합성할 수 있었다. NMR, IR, UV-visible 분광분석기 등을 이용하여 고 분자의 구조를 분석한 결과 설계한 치환기를 갖는 해당 고분자가 합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고분자는 물을 포함한 DMF, DMSO, DMAc, 메탄올 등의 유기 용매에 완전히 용해하였다. 합성 고분자의 전기화학적 특성과 광발광 특성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TAG conjugated polymer, polyacetylene, synthesis, 2-ethynylpyridine, catalyst-free polymerization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에서 효율적인 정공 수송층을 위한 스핀 코팅 및 블레이드 코팅 방법에 의한 NiO-CuO 나노 복합 필름
( Dilpreet Singh Mann ) , 임수만 ( Sooman Lim ) , 나석인 ( Seok-in Na )  한국화상학회, 한국화상학회지 [2020] 제26권 제1호, 1~10페이지(총10페이지)
정공 수송 층 (HTL)은 PSC의 효율 및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PSC)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PSCs에서 HTL 스핀 코팅 및 블레이드 코팅 방법으로 니켈 산화물 구리 산화물 (NiO-CuO) 나노 입자 (NPs) 박막을 준비하였다. 스핀 코팅 및 블레이드 코팅 된 NiO-CuO 필름의 필름 특성은 원자력 현미경 (AFM)을 사용하여 조사하었고, 장치 성능에 대한 효과는 J-V 특성, 양자 효율 및 광 강도의 Voc 의존성을 사용하여 조사하었다. 결과적으로, 스핀 코팅으로 15.28% 효율, 블레이드 코팅으로 11.18 % 효율을 달성하였다.
TAG Prvoskite Solar cell, NiO-CuO nanocomposite, Spin coating, Blade coating
스트레처블 전극용 나노실버 페이스트 개발
남현진 ( Hyun-jin Nam ) , 남수용 ( Su-yong Nam )  한국화상학회, 한국화상학회지 [2020] 제26권 제1호, 11~17페이지(총7페이지)
신축성 전극은 높은 전도성, 우수한 치수 안정성 및 변형에 대한 낮은 저항 변화를 제공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나노 실버 페이스트를 전도성 물질로 선택하고 신축성 전극을 제작하기 위해 스크린 인쇄법을 사용했다. 두께 125㎛의 PET필름에 탄성 클리어플렉스 폴리우레탄 필름을 경화시킨 후,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와 혼합 된 폴리에스텔 수지를 마스킹층으로 코팅하여 필름의 끈적임을 감소시켰다. 롤링볼택 시험으로 폴리에스텔 마스킹층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제조된 투명 클리어플렉스 필름을 신축성 전극기판으로서 사용하였다. 신축성 폴리우레탄 필름 상에 나노실버 페이스트 및 스크린 인쇄 공정을 사용하여 제조된 신축성 전극은 최대 100%의 변형률 범위에서 높은 전도성를 나타냈다.
TAG Nano silver paste, Clear flex film, Strechable elecrode, Screen printing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의 스크린 인쇄 및 스핀 코팅 정공 수송층 비교
( Pramila Patil ) , 임수만 ( Sooman Lim ) , 나석인 ( Seok-in Na )  한국화상학회, 한국화상학회지 [2020] 제26권 제1호, 18~24페이지(총7페이지)
정공 및 전자 수송층은 페로브스카이트 소자에서 효율 및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NiO가 정공수송층 으로서 태양 전지 장치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연구자들이 태양 전지의 HTL(hole transport layer) 물질로서 NiO를 연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NiO를 스크린 인쇄 및 스핀 코팅 방법으로 각각 제조 및 비교실험 하였으며, 서로의 특이점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스크린 인쇄 기술로 10.65 %의 태양 전지 효율을 달성 한 반면 스핀 코팅 된 HTL로 18.61 % 효율을 달성했으며 또한 AFM 분석을 사용하여 HTL 층의 거칠기를 연구하였다. 스크린 프린팅으로 형성된 필름의 불균일성으로 인해 HTL 필름에서 효율이 감소하는 것...
TAG PSCs, Efficiency, Spin coating, Screen printing and AFM
톱니모자반 주정추출물로 제조된 oil-in-water 나노에멀젼의 항염증, 미백 및 주름개선 효능 연구
박한솔 ( Hansol Park ) , 임수진 ( Sujin Lim ) , 오철웅 ( Chul-woong Oh ) , 김형락 ( Hyeung-rak Kim ) , 임권택 ( Kwon Taek Lim ) , 박상혁 ( Sang-hyug Park )  한국화상학회, 한국화상학회지 [2020] 제26권 제1호, 25~33페이지(총9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높은 항산화, 항염증, 피부 미백 및 멜라닌 생성억제 활성을 지닌 톱니모자반 추출물(학명 Sargassum serratifolium, ESS)의 저장 안정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oil-in-water (O/W) 나노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톱니모자반으로부터 추출되어 농축, 탈염 및 탈당 과정을 거친 ESS의 주성분은 지용성 성분으로 높은 항산화 활성 때문에 산화가 쉽게 일어남으로써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써의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전의 연구에서 확립된 PEG 400, 폴리옥실 캐스터오일 (EL) 및 Poloxamer 407의 농도를 적용하여 MES가 함유된 O/W 나노에멀젼을 제조하였다. 확립된 조건에서 제조된 나노에멀젼의 평균 크기는 16 ~ 22 nm로 나타났으며, 나노에멀젼은 항산화, NO 생...
TAG Nano-emulsions, Anti-oxidant, anti-inflammation, anti-wrinkle, Sargassum serratifolium
Pyrazinoquinoxaline 그룹을 함유한 공액 고분자의 합성 및 응용
이석우 ( Seok Woo Lee ) , 정미진 ( Mijin Jeong ) , 이지민 ( Ji Min Lee ) , 양문호 ( Mun Ho Yang ) , ( Analia D. Orazio Colman ) , 김주현 ( Joo Hyun Kim ) , 장동욱 ( Dong Wook Chang )  한국화상학회, 한국화상학회지 [2020] 제26권 제4호, 95~100페이지(총6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두 종류의 도너-억셉터 (D-A) 타입 고분자들을 Stille coupling 반응을 통하여 중합한 뒤, 이들을 고분자 기반 유기 태양전지의 광활성 층으로 적용하였다. Benzodithiophene 전자 주게와 pyrazinoquinoxaline 전자 받게를 활용하여 고분자들을 합성하였고, 전자 주게와 전자 받게가 직접 연결된 고분자를 PB-TMPQ 그리고 둘 사이에 티오펜 π-bridge가 도입된 고분자를 PB-TTMPQ라 각각 명명하였다. 기본적인 화학 구조의 검증과 더불어, 고분자들의 광학적 및 전기화학적 특성에 대한 분석 또한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inverted-type 구조의 소자를 이용하여 고분자들의 광전지 특성들을 분석하였으며, PB-TMPQ와 PB-TTMPQ의 전력변환 효율은 ...
TAG Polymer solar cell, Benzodithiophene, Pyrazinoquinoxaline
스마트건설 지원을 위한 실시간 이동 측위 드론 기반 항공측량 정밀도 비교분석 연구 -2.5D 기반 토공량 체적산출을 중심으로-
류정림 ( Jungrim Ryu ) , 이상복 ( Sangbok Lee ) , 이광훈 ( Kwanghun Lee ) , 김혜리 ( Hyeri Kim ) , 이지수 ( Jisoo Lee ) , 김화영 ( Hwayoung Kim )  한국화상학회, 한국화상학회지 [2020] 제26권 제4호, 101~110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는 스마트건설 지원을 위한 드론 활용의 활성화를 위해 RTK 드론 기반의 항공측량 정밀도를 분석하고자 GPS만을 사용하는 방식, GCP를 설치하는 방식, RTK 드론을 이용한 방식의 정사영상의 위치정확도를 분석하였고 사업의 목적과 대상지의 형태에 따른 드론 활용의 기준을 제시하였다. 또한 상용 드론을 이용한 체적기반의 토공량 산출을 2.5D 환경에서 산출하여 기존 방법과 비교해서 드론영상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로 대규모 건설현장의 작업효율 및 드론 활성화가 기대된다.
TAG Smart Construction, Earthwork Volume, Accuracy analysis, Aerial survey, RTK drone, 2, 5D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