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농공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3850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증발 수요 기반 국내 Flash Drought 특성 분석
이희진 ( Hee-jin Lee ) , 남원호 ( Won-ho Nam ) , 윤동현 ( Dong-hyun Yoon )  한국농공학회,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2020] 제2020권 119(총1페이지)
일반적으로 가뭄은 장기간 동안 물 부족 현상이 누적되어 나타는 자연재해이며, 수개월 또는 수년이 걸리며 천천히 발생하는 기후현상이다. 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온난화 현상으로 인하여 농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기상 및 환경요인의 변화가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극심한 기상 이상으로 몇 주 또는 몇 달 이내 빠르게 발전하는 가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Flash Drought라고 정의하며, Flash Drought는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표면온도의 상승과 비정상적으로 낮고 빠르게 감소하는 토양수분으로 인하여 발생한다. Flash Drought는 농업 및 자연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크며, 발생원인 또한 농업가뭄의 범주에 속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수적이다. 증발 수요 가뭄지수 (Evaporative Demand Drou...
TAG Flash Drought, Evaporative Demand Drought Index, EDDI, 증발 수요, 토양수분, 농업가뭄, 증발산량
농업용 저수지의 공급량 및 수요량 기반 농업용수 가뭄위험도 평가
문영식 ( Young-sik Mun ) , 남원호 ( Won-ho Nam ) , 윤동현 ( Dong-hyun Yoon ) , 이승용 ( Seung-yong Lee ) , 이광야 ( Kwangya Lee )  한국농공학회,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2020] 제2020권 120(총1페이지)
농업가뭄은 작물생육에 필요한 유효수분 부족 또는 관개기 동안 원활한 용수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으로 정의할 수 있다. 특히 농업용 저수지는 수자원 공급 및 확보를 위해 전국 18,000 여개가 건설되었으며, 농업용수는 우리나라전체 물 이용량의 약 47% 이상을 차지하고 있을 만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안정적인 작물생육과 용수공급을 위해 기후변화 및 농업수자원을 복합적으로 고려하는 가뭄위험도 분석을 통해 선제적 농업가뭄 대응 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위험도 평가는 민감도, 노출도, 적응능력을 기반으로 다양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으며, 효과적으로 가뭄을 예측하고 대응할 수 있는 의사결정 지원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 저수지를 기반으로 공급량 및 수요량 기반의 농업용수 가뭄위험도를 평가하였다. 농업용수 가뭄...
TAG 농업용수, 농업용 저수지, 공급량, 수요량, 가뭄위험도, 용수공급능력
원격탐사기술 기반 논 가뭄 모니터링을 위한 현장조사 및 분석
이희진 ( Hee-jin Lee ) , 남원호 ( Won-ho Nam ) , 홍은미 ( Eun-mi Hong ) , 장민원 ( Min-won Jang ) , 박종환 ( Jong-hwan Park ) , 김대의 ( Dae-eui Kim )  한국농공학회,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2020] 제2020권 121(총1페이지)
가뭄은 농업에 직접적인 피해를 주는 자연재해로 전지구적 차원의 농업생산시스템 및 수확량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가뭄을 판단하기 위하여 시간적인 가뭄의 발생과 공간적인 가뭄의 분포를 파악해야하며, 가뭄을 정량화하고 대상 가뭄 지역의 특성을 파악하여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원격탐사기술은 재해 발생지역의 진행과 피해 정도를 신속히 제공할 수 있으며, 주기적이고 동일한 정확도로 접근이 용이하지 못한 지역 또는 광역적인 범위의 지역에 대한 데이터 취득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논 벼 작물 재배지역에 대하여 위성영상을 활용한 농업가뭄 판단의 적정성을 판단하고자 하며, 현장조사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정량적인 가뭄 판단을 위한 가뭄지수로 증발산을 활용한 위성영상 기반 가뭄지수인 ESI (Evaporative Stress Index)를 적용하였으며...
TAG 원격탐사, 농업가뭄, Evaporative Stress Index, ESI, 논 가뭄, 가뭄 모니터링
2020 용담댐 홍수 유입량 분석
노재경 ( Jaekyoung Noh )  한국농공학회,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2020] 제2020권 122(총1페이지)
2020년은 유난히 장마가 길었다. 무려 54일의 기록을 경신하였고,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켰다. 기후변화로 앞으로 이 개연성은 충분하다. 이 중 2020년 8월 7일∼8일 폭우로 인한 용담댐 유입량은 2001년부터 댐을 운영한 이래 최대 방류량을 야기하였고, 하류 지역에 많은 침수 피해를 가져왔다. 그 홍수 규모를 10분, 1시간, 일, 월, 년 단위로 비교, 분석하는 것은 의미가 크다. K-water 공공데이터개방포털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큰 그림 순서의 년, 월, 일, 시간, 10분 단위로 강우량, 유입량, 방류량을 3위까지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분석기간은 2001년부터 2020년 까지며, 10분 단위는 2006년부터다. 첫째, 연 단위로 강우량은 1위 2020년 2,045.3mm(9월까지), 2위 2003년 2,044.8m...
TAG 다목적 댐, 홍수, 강우량, 유입량, 방류량
소규모 농업용 저수지 유역단위 관개회귀수량 추정
남원호 ( Won-ho Nam ) , 문영식 ( Young-sik Mun ) , 신용철 ( Yongchul Shin ) , 김종건 ( Jonggun Kim ) , 이광야 ( Kwang-ya Lee ) , ( Ha-young Kim )  한국농공학회,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2020] 제2020권 123(총1페이지)
수리시설물에서 공급되는 농업용수는 4월부터 10월 관개기에 집중적으로 공급되고 있지만, 전량 작물에 의해 소비되는 것이 아니며, 포장으로 공급되지 않고 용수로를 통해 배수되기도 한다. 포장으로 공급된 수량은 작물소비수량을 제외한 상당부분의 용수는 물꼬를 넘어 배수 되기도 하고, 일부는 침투되어 지하수를 통해 하천으로 회귀하게 된다. 이처럼 농업용수 공급량 중 소모되지 않고 하천으로 유입되어 재이용 가능성을 갖고 있는 수량을 관개회귀수량 (irrigation return flow)으로 정의하고 있다. 농업유역의 하천 유량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인 관개회귀수량을 조사하고 추정하는 것은 용수공급계획 수립 및 취수시설의 설계와 관개조직의 운영, 용수수급계획, 하천 건전화 방지, 환경용수 방류량의 결정 측면에서 중요한 가치가 있다. 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서는 농업용수 ...
TAG 농업용수, 관개회귀수량, 회귀율, 공급량, 하천유지용수, 농업용 저수지, 신속회귀수량
GRACE 위성영상 기반 토양수분자료를 활용한 밭가뭄 분석
전민기 ( Min-gi Jeon ) , 남원호 ( Won-ho Nam ) , 옥정훈 ( Jung-heun Ok ) , 황선아 ( Seon-ah Hwang ) , 허승오 ( Seung-oh Hur )  한국농공학회,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2020] 제2020권 124(총1페이지)
최근 전 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로 인해 기상재해의 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최근 10년간 매년 국소적으로 가뭄이 발생하였으며 가뭄의 발생 빈도와 피해가 증대되고 있다. 농업수리시설물에서 관개용수를 공급받는 논과 비교하여 밭작물의 경우 관정을 통해 용수를 공급받고 있으나 밭 관개전의 비율이 18.5%에 그쳐 가뭄에 더욱 취약하다. 자연 강우를 통해 필요한 용수량을 공급받는 천수답이 대부분이고 관개시설이 부족하기 때문에 강우로 인한 밭작물의 수분 공급에는 한계가 있으며, 충족되지 못한 수분 부족량은 관개를 통해 공급하여야 한다. 이 경우 공급해야 하는 양은 작물의 증발산량 뿐만이 아니라 토양내 수분의 이동을 고려하여 산정해야 한다. 토양수분을 소비함으로써 생육하는 밭작물은 작물의 생육 시기와 기후, 농업 환경에 민감하며, 토양...
TAG 위성영상, 토양수분, GRACE, 밭가뭄, 취약성
순환형 농업용수관리를 위한 양수저류 추정 및 물 공급 의사결정방안
방나경 ( Na-kyoung Bang ) , 남원호 ( Won-ho Nam ) , 김한중 ( Han-joong Kim ) , 강구 ( Ku Kang )  한국농공학회,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2020] 제2020권 125(총1페이지)
최근 우리나라 농업 환경은 가뭄 등 기후변화로 인해 매년 가뭄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대부분 관개 시설의 용량부족 등으로 발생한다. 농업용수의 주요 공급원인 저수지 등 주요 수리시설의 용수공급 능력의 부족과 노후된 시설의 증가로 기후변화 및 기상이변에 따른 가뭄 등 재해에 취약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선제적인 대응책이 필요하다. 농업용 저수지의 주수원공만으로 농업용수 공급이 부족할 경우, 양수저류를 통한 순환형 물관리를 적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저수지로 유입되는 수량을 파악하고 양수장 등의 보조 수원공에서 공급가능한 수량과 공급일수 등을 분석하여 관리자가 효과적으로 농업용수를 공급할 수 있는 실행 기술의 개발 등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양수저류형 저수지의 물수지 분석은 기존 저수지의 물수지 분석과정에 양수시설 관련된 사항이 추가적으로 고려되어야...
TAG 순환형 농업용수, 양수저류, 용수공급, 순환효율, 의사결정
농업용수관리자동화사업 시행성과 분석
방나경 ( Na-kyoung Bang ) , 남원호 ( Won-ho Nam ) , 김한중 ( Han-joong Kim ) , 이남호 ( Nam-ho Lee ) , 신안국 ( An-kook Shin ) , 강문성 ( Mun-sung Kang )  한국농공학회,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2020] 제2020권 126(총1페이지)
기후변화 가속화에 따른 국지성 가뭄과 집중호우로 인한 수자원의 계절적·지역적 수급 불균형에 따라 농업용수의 관리방식을 계측정보 기반의 과학적 물관리 방식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한국농어촌공사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KRC)에서는 2001년부터 본격적으로 농업용수관리자동화사업을 시행하였다. 농업용수관리자동화사업은 체계적인 농업용수 관리, 농업생산성 향상 도모, 물관리 비용 및 용수 절감 등을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으며, 사업시행 초기 농업기반시설 무인계측 및 원격제어 시스템 보급으로 수리시설의 관리 효율성이 크게 향상되어 용수 수급이 개선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농업용수관리자동화사업의 최초 시행 이후 영농환경과 기후의 상당한 변화가 발생하였고 이를 반영한 사업의 시행성...
TAG 농업용수관리자동화사업, AHP, 용수관리, TM, TC, 의사결정
농업용 저수지 수위자료 품질관리를 위한 강우-유출-수위 자료의 연계방안
양미혜 ( Mi-hye Yang ) , 남원호 ( Won-ho Nam ) , 김한중 ( Han-joong Kim ) , 신안국 ( An-kook Shin ) , 강문성 ( Mun-sung Kang )  한국농공학회,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2020] 제2020권 127(총1페이지)
최근 농업환경의 변화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농업용수 관리 정보화 및 과학화의 필요성이 증대되어 실시간으로 저수지 저수량과 농업용수 공급량을 파악하기 위해 자동 수위계측시설이 도입되었다. 한국농어촌공사에서는 과학적인 물 관리를 위해 자동수위계측시설을 도입하였으며, 현재 저수지 1,734개소, 수로부 1,880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농업용수의 경우 농업용 저수지와 수로 수위를 10분 간격으로 계측하여 물 관리 시스템을 통해 수위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만, 저수지 및 수로의 수위 자료는 품질관리 방안이 미비하여 자료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농업용 저수지 수문자료의 공인지점은 2016년 6개소에서 2019년 49개소로 증대되고 있으며, 자동수위계측시설을 통해 생성된 농업용 저수지 수위자료의 품질관리 방안이 요구된다. 농업용수의 공급은 대부분 농업용 저수지를 ...
TAG 농업용수, 농업용 저수지, 유출량, 저수지 수위, 품질 관리, 딥러닝, LSTM
물절약 교육 전·후 농업인 의식 변화 연구
이슬기 ( Lee Seulgi ) , 김상현 ( Sanghyun Kim ) , 최경숙 ( Choi Kyungsook )  한국농공학회,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2020] 제2020권 128(총1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농업인을 대상으로 물절약 교육 실시 전·후의 의식변화를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농업인의 물절약 유도를 위한 교육의 필요성과 제도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지구는 농어촌공사 경주지사 내남지소 관할지역으로, 물절약 교육 프로그램은 한국농어촌공사 농업가뭄센터(2016)에서 개발한 농업인 대상 물절약 교육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이해단계교육과 적용단계교육으로 총 2회 실시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은 물절약 교육 전·후 설문을 동일문항으로 구성하여 1차교육 실시 전과 2차교육 실시 후에 조사하였다. 물절약 교육에 참여한 농업인은 1차 38명과 2차 28명이며, 본 연구에서는 1차와 2차 교육 모두 참석한 농업인의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전·후 의식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설문에 참여한 농업인은 60세 ...
TAG 농업인, 물절약 교육, 설문조사, 의식변화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