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8965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나라꽃 무궁화 30품종에서 발생하는 해충상 비교
정종국 ( Jong-kook Jung ) , 김만년 ( Mannyeon Kim ) , 이차영 ( Cha Young Lee ) , 장범준 ( Beom-jun Jang ) , 김동수 ( Dongsoo Kim ) , 권해연 ( Hae Yeon Kwon ) , 박윤미 ( Yunmi Park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21] 제110권 제1호, 116~127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는 나라꽃인 무궁화의 주요 품종별 해충상을 조사하고, 무궁화 30품종에서 발생하는 주요 해충의 밀도를 비교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수원과 부산에서 육안조사법으로 해충상을 조사한 결과, 개체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목화진딧물을 제외하고 부산에서는 20종 1,147개체의 해충이 채집되었고, 수원에서는 31종 2,240개체의 해충이 채집되었다. 품종에 따른 종수와 개체수 차이는 없었으나, 지역에 따른 차이는 있었다. 우점종은 목화진딧물, 점노랑들명나방, 왕붉은잎큰나방, 목화명나방, 썩덩나무노린재의 순이었다. 우점종의 발생 역시 품종 보다는 조사 지역과 연도에 따른 차이만 있었다. 결론적으로 무궁화의 품종 차이가 해충상 및 주요 해충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은 확인할 수 없었으며, 무궁화가 식재된 주변 환경의 차이가 해충상에...
TAG insect pest diversity, Hybiscus, Aphis gossypii, Rusicada privata, Haritalodes derogata
단기소득 임산물의 주산지 집적도에 관한 연구
변승연 ( Seung Yeon Byun ) , 구자춘 ( Ja-choon Koo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21] 제110권 제1호, 106~115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는 단기소득 임산물 주산지의 공간적 특성을 밝히기 위해 마련되었다. 산림청의 임산물생산조사 결과 중시군구의 품목별 생산량을 기준으로 Moran's I 방법을 활용하여 주산지의 공간적 집적도와 그 변화를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 단기소득 임산물의 45%의 주산지가 공간적으로 유의미하게 군집화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5대 주요 단기소득임산물의 경우, 지난 10년간 주산지가 확대되었으며, 군집화 정도도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특정 임산물산지종합유통센터 위치와 규모 확정 등 임산물 지원 정책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AG non timber forest product, aggregation, moran i, main producing area, spatiality
백두대간 마루금 선자령순환등산로의 숲길훼손실태 연구
이수광 ( Sugwang Lee ) , 이진규 ( Jinkyu Lee ) , 김명준 ( Myeongjun Kim ) , 방홍석 ( Hongseok Bang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21] 제110권 제1호, 91~105페이지(총15페이지)
본 연구는 백두대간 마루금 선자령순환등산로 4.3 ㎞에서 정성적으로 평가되는 훼손등급을 적용하여 숲길훼손이 발생된 구역의 구체적인 데이터와 조사방법을 제시하고, 조사항목간의 관계를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그 결과, 선자령순환등산로의 평균 노폭(1.7 m)과 나지폭(1.4 m)은 지금까지 보고된 연구에 비해 매우 넓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훼손비율 또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정성적인 기준으로 평가된 훼손등급에 대해 다음과 같이 구체적인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었다. 훼손등급 강의 경사도는 20.1%, 침식깊이는 평균 13.3 ㎝, 중앙 16.1 ㎝, 침식량 16.2 ㎠로 나타났으며 토양경도는 평균 12.3 ㎏/㎠(20.1 ㎜), 최대 39.3 ㎏/㎠(29.6 ㎜)로 나타났다. 훼손등급과 경사도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능선보다 산복에서 평균과 중...
TAG forest trail, trail deterioration, Baekdudaegan ridge trail, trail grade
산림치유 효과 검증 연구의 주요어 분석을 통한 치유 발현과정 해석
박경자 ( Kyeong-ja Park ) , 신창섭 ( Chang-seob Shin ) , 김동수 ( Dongsoo Kim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21] 제110권 제1호, 82~90페이지(총9페이지)
본 연구는 산림치유인자를 활용한 숲 활동이 면역력증진과 건강증진으로 이어지는 산림치유 효과의 발현과정을 이론적 그리고 정성적으로 분석하고 산림치유 개념을 정밀화하고 체계화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분석자료는 산림치유관련 기관 웹사이트와 2000년에서 2020년 3월까지 산림치유로 검색되는 33편의 석·박사 학위논문과 33편의 전문학술지논문의 주요어, 2016년 산림치유 체험수기 공모전 입상작에 나타난 명사와 형용사 빈도수에 근거하여 워드클라우드를 생성하였다. 단어 빈도수를 근거로 한 해석으로 산림치유 요인을 도출하고 치유 효과의 발현과정을 추론하여 산림치유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였다. 산림 치유력의 원천은 산림치유인자와 함께 숲에 대한 긍정적 경험과 자연에 대한 태도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치유효과는 산림치유프로그램을 통해 극대화되고, 신체적 정신적 ...
TAG forest therapy, forest therapy factors, Positive experience, Immunity, resilience, systemic flow of forest therapy
수고 및 흉고직경 측정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개발
김동현 ( Dong-hyeon Kim ) , 김선재 ( Sun-jae Kim ) , 성은지 ( Eun-ji Sung ) , 김동근 ( Dong-geun Kim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21] 제110권 제1호, 72~81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는 다양한 임목 정보를 측정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과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eb Application Server, WAS)를 개발하였다. 수고, 방위, 고도, 경사, 위치 좌표는 스마트폰에 내장된 동작센서를 통해 취득된 각도를 삼각법에 적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흉고직경 및 거리는 Google AR Core에서 제공하는 AR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응용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스마트폰이 측정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 조회, 출력하고 수목의 위치를 카카오 맵에 표시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의 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해 인공 침엽수림에서 잣나무 90본, 천연 혼효림에서 무작위로 90본을 선정...
TAG augmented reality, DBH, motion sensor, smartphone, tree height
설악산 국립공원 지역 토석류 발생가능성 평가 기법의 개발
이성재 ( Sung-jae Lee ) , 김길원 ( Gil Won Kim ) , 정원옥 ( Won-ok Jeong ) , 강원석 ( Won-seok Kang ) , 이은재 ( Eun-jai Lee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21] 제110권 제1호, 64~71페이지(총8페이지)
최근의 기후변화는 산지토사재해의 발생을 가속시키고 있다. 산지토사재해 중 토석류는 전파길이가 길고 매우 빠른 거동 특성을 갖기 때문에 매우 위협적으로 인식된다. 본 연구는 설악산 국립공원내 토석류 발생지 263개소를 대상으로 발생 길이(m)에 미치는 영향인자를 구명하고, 수량화이론(I)을 사용하여 발생 길이에 대한 각 산림환경 인자의 기여도 분석을 하여 예방적인 측면에서 국립공원내 토석류 발생 가능성지역에 대한 예측기법을 개발하였다. 각 산림환경 인자의 Range를 추정한 결과, 종단사면(0.9676)이 가장 높게 나타나 설악산 국립공원의 토석류 발생 가능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다음으로는 횡단사면(0.6876), 고도(0.2356), 사면경사(0.1590), 방위(0.1364) 순으로 나타났다. 설악산 국립공원 산악지 토석류 발...
TAG debris flow, landslide, national parks, quantification theory, prediction criteria
다양한 통계분석 기법을 이용한 개느삼(Sophora koreensis Nakai)의 기내 증식 최적 조건 구명
정욱한 ( Ukhan Jeong ) , 이화 ( Hwa Lee ) , 박상희 ( Sanghee Park ) , 정은주 ( Eun Ju Cheong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21] 제110권 제1호, 53~63페이지(총11페이지)
개느삼(Sophora koreensis Nakai)은 우리나라 고유종으로 강원도 일부 지역에 자생하는 식물로 유용 기능성 성분이 포함되어 경제성이 높은 생물자원 식물로 평가된다. 따라서 자원 확보를 위한 대량증식이 필요하다. 조직배양을 이용한 번식은 빠르게 대량증식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유용하여 개느삼을 영양체를 이용하여 조직배양을 통해 증식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줄기 생산에 효과적인 호르몬의 종류와 농도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고 다양한 통계분석법으로 분석하여 줄기생산에 가장 효과적인 생장조절물질의 적정조건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내 식물체 개느삼을 세 가지 생장조절물질을 혼합 처리 후 5주간 배양하여 얻은 생장결과를 분산분석(ANOVA)과 반응표면분석(Response Surface Method, RSM), 퍼지 군집(Fuzz...
TAG Sophora koreensis nakai, In vitro propagation, fuzzy k-means clustering, response surface method
소나무재선충병 피해지에 식재된 편백의 낙엽· 낙지에 의한 탄소 및 질소 유입량
강현철 ( Hyeon Cheol Kang ) , 백경원 ( Gyeongwon Baek ) , 최병길 ( Byeonggil Choi ) , 하지석 ( Jiseok Ha ) , 김춘식 ( Choonsig Kim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21] 제110권 제1호, 43~52페이지(총10페이지)
소나무재선충병 피해목을 모두베기하거나 미피해 곰솔을 잔존하고 편백을 수하식재 한 15년생 편백 조림지를 대상으로 1년 동안(2018년 12월∼2019년 12월) 낙엽·낙지에 의한 탄소 및 질소 유입량을 조사하였다. 편백의 평균 흉고직경은 모두베기구가 12.10 cm로 수하식재구의 9.42 cm에 비해 유의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편백 낙엽의 유기탄소 및 질소 농도는 모두베기구나 수하식재구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P > 0.05)가 없었으나, 낙엽의 C/N비는 8월∼10월에 유입된 낙엽이 93으로 12월∼3월 사이에 유입된 낙엽의 143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낙엽·낙지 구성 성분의 탄소 농도는 곰솔 가지, 편백낙엽, 곰솔 낙엽 등의 탄소 농도가 활엽수나 기타 물질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질소 농도는 활엽수 잎, 편백 녹엽(gre...
TAG carbon, double-layer forest regeneration, Japanese cypress, litterfall, nitrogen, pine wilt disease
솜대 조림지와 확산지의 바이오매스, 임상, 토양의 양분 특성
곽유식 ( You Sig Kwak ) , 백경원 ( Gyeongwon Baek ) , 최병길 ( Byeonggil Choi ) , 하지석 ( Jiseok Ha ) , 배은지 ( Eun Ji Bae ) , 김춘식 ( Choonsig Kim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21] 제110권 제1호, 35~42페이지(총8페이지)
본 연구는 대나무 확산에 있어서 토양 성질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매년 시비가 실시된 솜대 조림지와 미시비 확산지를 대상으로 바이오매스 부위별 양분 농도와 임상 및 토양 30 cm 깊이의 양분 특성을 비교하였다. 솜대 조림지의 잎, 가지, 줄기 내 질소와 인 농도는 확산지에 비해 유의적으로(P < 0.05) 높았으나, 임상의 양분 농도는 조림지와 확산지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토양 0∼30 cm 깊이의 평균 유기탄소는 조림지가 30.80 mg g-1으로 확산지 15.64 mg g-1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평균 전질소 농도의 경우 조림지 2.47 mg g-1, 확산지 1.24 mg g-1, 인은 조림지 10.27mg kg-1
TAG bamboo, bamboo spreading, bamboo nutrient, forest soils, nutrition distribution
매개중심성 분석을 활용한 서울시 미집행공원 내 사유지 보전 우선순위 평가
황병묵 ( Byungmook Hwang ) , 고동욱 ( Dongwook W. Ko ) , 강완모 ( Wanmo Kang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21] 제110권 제1호, 22~34페이지(총13페이지)
2020년 7월 공원일몰제 시행을 앞두고 도시자연공원구역 지정과 관련 법률 개정을 통해 서울시 미집행 도시공원의 실효 시점이 연장되었다. 그러나 미집행 도시공원의 개발이 여전히 가능한 상황에서 공원녹지의 추가적인 토지개발이 예상된다. 이 연구에서는 서울시 미집행 도시공원을 대상으로 향후 공원 내 사유지의 토지전용이 일어날 상황을 가정하고 예상되는 경관 연결성 변화에 따른 우선매입 대상지를 선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공원일몰제 시행 전과 후의 토지피복 변화와 생물의 이동능력을 반영한 4가지 경관투과성 시나리오(PB100, PB1, PA100, PA1)를 작성하였다. 이들 시나리오에 기반하여 Connectivity Analysis Toolkit의 전류흐름 매개중심성(current flow betweenness centrality) 방식으로 경관 연결성을 ...
TAG urban ecosystem, urban green space, spatial analysis, graph theory, urban habitat fragmentation, urban wildlife, urban ecological connectivity, landscape permeability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