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AND 간행물명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167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가풍의 전승 및 정원조영을 통해 본 서유구의 자연관
( Kim Kyou-sub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020] 제18권 1~8페이지(총8페이지)
본 연구는 달성 서씨의 자연관 계승에 따른 정원조영 사실과 이에 따른 서유구의 자연관을 조명하고자 서유구 일가의 정원 관련문집 및 기문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조선후기에는 한양 중심의 사회가 형성되면서 경화세족 주도의 수집문화가 발달하게 되었으며, 특히 장서 취미가 유행하게 되었다. 달성 서씨 대를 이은 장서활동이 확인된다. 달성 서씨 일가의 자연관은 서명응, 서형수, 서유구로 이어졌으며, 달성 서씨 일가는 개방적 학문태도와 부의 축적, 연행 경험 등을 통해 장서의 기반을 바탕으로 각자 자신들의 서재를 세우고 집필활동을 이어나가는 공통점이 확인된다. 둘째, 서명응은 불속재라는 서재를 조성하고 주변에 대나무를 심어 정원을 조성하였으며, 지치헌은 작은 채마밭을 둔 소박한 양식의 정원이었다. 또한 제광정은 자연지형 위에 지은 정자이...
TAG 거연정, 경화세족, 명고정거, 불속재, 자이열재, 제광정, 지치헌, Bulsok-jae, Geoyeon-jeong, Gyeonghwa-sejok, Jaiyeol-jae, Jegwang-jeong, Jichi-heon, Myeonggo-jeonggeo
전라도 지역 문화재 미등록 민가정원 가치발굴
( Shin Hyun-sil ) , ( Lee Kyung-mi ) , ( Jin Hye-young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020] 제18권 9~18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는 전라도 지역 문화재 미등록 민가정원을 대상으로 예비 잠재자원을 추출하고 각 정원에 대한 현황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전라도 지역 민가정원의 역사성은 조선 중기에서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일부 정원들은 대종가의 형태가 현재까지 이어지면서 등록문화재를 넘어 국가지정문화재에 버금가는 역사성을 지니고 있었다. 현존 민가정원들은 대부분 조영자의 후손들이 거주하고 있으며, 일상관리를 통해 전반적인 주거형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아 과거의 모습을 유추할 수 있었다. 둘째, 정원의 입지는 대부분 배산임수 지형을 바탕으로 동족촌 인근 또는 농지로 사용되는 넓은 평야에 위치하고 있었다. 또한 집성촌이나 전통마을, 주요 역사문화자원들과 인접하여 상대적으로 전통공간에 대한 통합적 보호 속에서 현재까지 그 모습이...
TAG 노거수, 잠재자원, 전통정원, 전통주택, 집성촌, Clan Village, Old Tree, Potential Resources, Traditional Garden, Traditional House
전통조경공간에서 조망되는 원도심의 부감경관 특성 - 한양도성에서 바라본 부감경관을 대상으로 -
( Choi Ji-yi ) , ( Lee Jong-sung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020] 제18권 19~27페이지(총9페이지)
본 연구는 한양도성에서의 대표 조망점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시각특성을 분석하였다. 한양도성 구간을 4개 구간으로 구분하고, 32개 예비 조망점 중 각 구간의 대표 조망점의 시각특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경관별 부각 양상을 살펴본 결과 북악산 청운대와 인왕산 범바위는 부각 10° 부근의 중경이 펼쳐지며, 경복궁과 창덕궁, 한옥마을 등이 조망된다. 또한 낙산의 낙산정은 부각 10° 부근에 대학로 일대 낮은 건물군과 관계가 있다. 남산 잠두봉은 부감 영역 모두 건축물이 차단되어 있다. 둘째, 대상경관의 시각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 개방율은 북악산 청운대, 인왕산 범바위, 남산 잠두봉, 낙산의 낙산정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녹시율은 북악산 청운대, 인왕산 범바위, 낙산의 낙산정, 남산 잠두봉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조망점 표...
TAG 개방율, 녹시율, 시가지, 주거지역, 조망점, Green View Index, Patency Rate, Residential Area, Urban District, View Point
천연기념물 제27호 제주 무태장어 서식지의 경관분석과 먹이원 분석을 통한 보존 및 관리방안 연구
( Lee Sung-kyung ) , ( Jung Seng-woo ) , ( Son Seok-jun ) , ( Hwang Ho-sung ) , ( Kim Chang-hyun ) , ( Oh Jung-woo ) , ( Hyun Bo-ra ) , ( Kim Dong-hyun ) , ( Min Hong-ki ) , ( Cho Seong-ho ) , ( Kang Jung-hoon ) , ( Byun Seong-hun ) , ( Han Jeong-ho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020] 제18권 28~41페이지(총14페이지)
본 연구는 무태장어 서식지로 지정되어 있는 천지연폭포를 대상으로 어류상 조사를 통해 무태장어의 서식 여부를 확인하고, 서식지 환경 및 무태장어의 먹이원을 파악하여 무태장어 서식지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2019년 7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연외천과 중문천에서 어류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무태장어 서식지 일대는 절벽과 폭포, 용천수, 수성응회암이 형성하는 지질경관이 Geotope에 해당하며,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천지연 난대림과 담팔수 자생지, 무태장어 서식지 외에도 연외천과 서홍천이 관통하는 Biotope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천지연 폭포의 경관현상과 관련된 지명과 전설이 전해지고 있으며, 폭포, 지형경관, 하천경관 및 상록수림이 시각적 경관요소로서 Anthropotope를 형성하고 있다. 무태장어는 연외천 천지연폭포에서만 총 5개...
TAG 경관분석, 먹이원 분석, 연외천, 잠수조사, 중문천, 천지연폭포, 체장-체중 관계, Cheonjiyeon Waterfalls, Food Source Analysis, Jungmun Stream, Landscape Analysis, Length-Weight Relationship, Scuba Survey, Yeonoe Stream
개항기 군산 근대정원의 조영특성에 관한 기초연구 - 군산 사가와 가옥을 중심으로 -
( Jin Hye-young ) , ( Shin Hyun-sil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020] 제18권 42~49페이지(총8페이지)
본 연구는 근대정원의 형성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군산 영화동 일대 조계지 형성 및 변화과정을 분석하고 이곳에 조성된 근대정원인 사가와 가옥의 조영 내용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군산 조계지의 형성은 1899년 『군산마산성진조계장정』 체결을 계기로 이루어졌다. 개항 이전 군산은 일부 상인들이 이용하는 통로로만 이용되는 작은 마을이었으나 개항 이후 각국공동조계가 형성되었다. 조계가 설정되면서 일본인 주도 하에 도시의 모습을 갖추어나갔다. 일제강점기 이후 해안매축공사를 통해 항구의 기능이 강화되고, 군산시가지가 확장되면서 개항장을 중심으로 군산시가지가 확대되었고, 산업시설이 들어서게 되었다. 그러나 광복 이후 일본이 지주와 그들의 자본이 철수하면서 기존 군산시가는 도시의 발전이 정체되어 당시 조계지로 형성되었던 중심가의 주변 지역...
TAG 고산수식 정원, 일본식 석등, 일본식 석탑, 조계지, 쵸즈바치, 手水針, Chōzhivachi, Japanese-Style Stone Lantern, Japanese-Style Stone Pagoda, Karesansui Garden, Settlement
국가정책 및 산업 동향을 통해 본 조경 산업의 전망과 인력양성 방안
( Kim Kyou-sub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020] 제18권 50~60페이지(총11페이지)
본 연구는 조경관련 산업 동향 및 인력양성 현황, 국가정책을 분석하고, 전문가 의견수렴을 통해 조경산업의 발전전망 모색과 관련 인력양성을 위한 방안을 도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조경산업 관련 국가정책은 한국판 뉴딜정책(그린뉴딜)의 중점사업으로 미세먼지 차단, 생태환경 보호, 공공녹지 제공, 첨단기술 적용 신산업 분야, 코로나 19 확산에 따른 핵심기반 시설의 조성에 참여할 수 있다. 또한 기후변화 대응 정책으로 조경산업은 탄소 흡수원 확보를 위한 대표적 수단이 되며, 4차 산업혁명에 부응한 드론 활용, 가상공간 시뮬레이션, 스마트 기술 적용 조경시설물 도입, 효율적 조경관리 서비스, 스마트 공원 조성 등이 추진되고 있었다. 둘째, 조경분야 산업동향을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2015년 이후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세부적으로는 종합조...
TAG 기후변화, 조경전문가, 한국형 뉴딜, 4차 산업혁명, Climate Change, Professional Manpower of Landscape Architecture,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문화재 미지정 민가 정원의 유산적 가치 및 조영특성
( Jin Hye-yeong ) , ( Jeong Mi-ae ) , ( Shin Hyun-sil ) , ( Rho Jae-hyu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019] 제17권 1~10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는 영남지역의 조선시대 조성된 문화재 미등록 민가정원을 대상으로 국가지정문화재로 등록되지는 않았으나 현재까지 전통 민가 정원으로서의 가치가 계승되었을 것이라는 가설 아래 그에 대한 진정성과 완결성에 해당되는 가치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보존이 필요한 현재의 전통민가 정원을 도출하고 이를 보존하여 한국 정원문화의 대중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영남지역에 위치한 문화재 미등록 민가로서 건조물이 최소 50년 이상의 역사성을 지닌 민가를 대상으로 전통정원 공간의 진정성과 완결성에 근거하여 최종 대상지를 추출한 후 연구를 진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대상지 20개소의 민가정원은 최소 70년을 넘는 역사성을 지니고 있다. 정천상 가옥의 경우 약 350년이라는 조영의 역사를 가지고 있어 현재 국가지정 등록문화재의 기준 연...
TAG 문화재 미등록 민가정원, 역사적 가치, 완결성, 전통공간 구획, 조경구성요소, Historic Value, Integrity, Landscape Components, Traditional Space Parcel, Unregistered Private Garden of Cultural Heritages
동회별서(東淮別墅)의 조영배경 및 공간구조 분석
( Lee Chang-hun ) , ( Park Jin-wook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019] 제17권 11~20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는 17세기 조선의 문화 활동에 있어서 중심적 인물인 낙전당(樂全堂) 신익성(申翊聖, 1588~1644)이 근기(近畿) 이수(二水, 지금의 양수리) 지역에 선영과 함께 조성한 동회(東淮)별서의 조영배경, 별서 공간의 확장 및 공간구조를 명확히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회별서의 조성 시대 순은 선친의 묘소인 망모정을 시작으로 창연정, 기백당, 왕손곡의 두와, 덕연지역의 청백당 그리고 마지막으로 백운루 순으로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각 공간의 위치 추정은 기백당은 봉안역 주변으로 추정되며, 창연정은 중은동(양평군 양서면 목왕리)과 팔당댐 건설로 수몰된 우천(광주시 남종면 우천리) 일대로 추정된다. 백운루는 남양주 조안면 송촌리 일원과 양평군 양서면 양수리 일원으로, 청백당은 현재 와부읍 도곡리 일원...
TAG 「백운루도」, 선영, 先塋, 신익성, 신흠, 「Baekunrudo」, Family Burial Ground, Shin, Ik-Sung, Shin Heum
익산 왕궁리유적 궁원(宮苑)을 중심으로 살펴본 동아시아 궁원
( Jeon Yong-ho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019] 제17권 21~41페이지(총21페이지)
익산 왕궁리유적의 궁원은 원지의 공간 디자인 측면에서 현재까지 확인된 동아시아의 궁원에서 그 유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 독특한 면모를 보인다. 이런 면모는 궁성 자체의 입지와 함께 조경에서 가장 핵심적인 수원(水源) 확보 자체에 어려움을 극복하려는 백제인의 조원기술(造苑技術)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6~7세기에 백제는 중국의 북조와 남조의 여러 국가를 포함하여 수‧당과 지속적으로 교류를 하여 선진적인 조원기술을 모방하면서 백제 나름의 창조성을 발휘하였다. 이런 결과물이 익산 왕궁리유적의 궁원이다. 익산 왕궁리유적의 궁원이 지닌 한계(수원 확보의 어려움)는 부여 궁남지와 관련된 문헌기록상에 자주 언급된 대형의 원지와 배를 타고 노는 놀이 등은 불가능한 구조였다. 하지만 이런 한계가 동아시아 조경이 이상향을 삼고 있는 독특한 신선세계를 구현한 백제, 특...
TAG 궁원, 宮苑, 동아시아, 백제, 왕궁리유적, 조경, 조원기술, 造苑技術, 중국, Baekje, China, East Asia, Landscape Technology, Landscaping Skill, Royal Garden, Wanggung-ri Site
세계유산 도동서원의 경관 보존 ·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 Choi Jong-hee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019] 제17권 42~48페이지(총7페이지)
본 연구는 도동서원의 토지 소유권, 보호구역 지정, 보호대책의 시행수단, 모니터링을 고려한 보다 종합적인 경관보존 및 관리방안 마련을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재 지정구역 및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을 기초로 문화적 맥락, 가시권분석, 토지이용 현황 등을 분석, 평가하여 보호구역을 제안하였다. 둘째, 수월루는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잇는 매개물이며 외부 경관을 조망하는 기점이 된다. 도동서원의 경관 조망을 위해서는 수월루의 전면에 위치한 독산과 낙동강의 조망이 확보되어야 한다. 셋째, 보존현황 및 유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유산의 보호 및 관리를 위한 요소들에 바탕을 두고 신청유산에 적합한 모니터링 체크리스트를 장소성, 조망성, 마루선, 일체성, 왜소화를 주요 지표로 고려하여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
TAG 문화유산, 역사문화환경, 모니터링, 조망, Cultural Heritage, Historic Cultural Environment, Monitoring, View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