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일러스아트학회1743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중국 소수민족 백구요족의 복식 특성을 응용한 여성복 디자인 개발 연구
왕야쥔 ( Wang Yajuan ) , 노윤선 ( Roh Youn Sun )  한국일러스아트학회, 조형미디어학 [2021] 제24권 제2호, 1~10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는 소수민족 백구요족의 복식문화를 전승하고 또 새로운 문화가 형성되어 대중이 민족 복식문화를 다시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소수민족의 문화를 계승하고 드높일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주로 백구요족의 복식문화를 응용한 여성복디자인을 연구함으로써 백구요족의 복식 형태, 색채, 문양, 소재 등의 요소를 응용해 4벌의 여성복 상의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독특한 민족적 복식 요소를 현대 여성복에 응용해 현대 여성복 디자인의 기능성뿐 아니라 백구요족만의 독특한 복식문화, 문양기호를 지닌 창의적인 여성복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첫째, 중국 소수민족 백구요족의 역사와 문화를 살펴보았으며, 둘째, 백구요족 복식의 특성을 형태, 색채, 문양, 소재를 중심으로 고찰하여 분석하였다. 셋째, 이를 통해 백구요족 복식의 형태와 문양 도안 등 디자인 ...
TAG chinese minority, baiku yao, women’s wear, fashion design, 중국 소수민족, 백구요족, 여성복, 패션 디자인
비접촉 교감형 텔레마틱스 문화예술콘텐츠 연구
채유리 ( Chae Yu Ri ) , 변현진 ( Hyunjin Byun )  한국일러스아트학회, 조형미디어학 [2021] 제24권 제2호, 11~19페이지(총9페이지)
위드(with) 코로나 시대인 지금, 신체 접촉 행위가 동반되는 상호작용(interaction)성이 내재 된 작품은 문화예술계에서 비선호대상이 되었다. 그러므로 매체와 비접촉하더라도 여전히 감상자가 충분히 상호작용하고 체험하고 교감하며 작품 감상을 이어갈 수 있는 문화예술콘텐츠를 개발해야 하는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코로나 발생 이후 국내에서 실시된 온라인 문화예술콘텐츠 중 비접촉 교감형 텔레마틱스 문화예술콘텐츠 세 가지 사례와 로이 애스콧의 텔레마틱스 이론 관련작품, COVID-19 이전 비접촉 교감형 텔레마틱스 광고와 캠페인 사례를 살펴보고, 그 특징과 핵심 가치를 분석하였다. 그 사례들은 로이 애스콧의 <텍스트의 주름2>(1983), SNCF의 < Europe, it’s just next door >(2013),...
TAG telematics, arts and cultural contents,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convergence, Roy Ascott, interaction, 텔레마틱스, 문화예술콘텐츠, 융복합, 로이 애스콧, 상호작용
국내 비건 화장품 브랜드의 마케팅 전략에 따른 패키지디자인 차별화 연구
강용원 ( Kang Yong Won )  한국일러스아트학회, 조형미디어학 [2021] 제24권 제2호, 20~28페이지(총9페이지)
전 세계적으로 채식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며, 그 속에서 건강한 삶을 추구하기 위해 비건에 대한 관심도 또한 같이 높아지고 있다. 국내에서도 비건 화장품에 대한 관심도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국내 드럭스토어에서 2018년도 기준 2019년도에 비건 화장품 매출이 약 70%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의 비건 화장품 브랜드를 중심으로 진행해 왔던 마케팅 전략에 따른 패키지디자인에 차별화된 전략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국내 비건 화장품 브랜드의 선정범위는 2021년 4월 기준으로 네이버(Naver)쇼핑 리뷰 순위 5위에 해당하는 브랜드 멜릭서, 허블룸, 아르비엔, 톤 28, 아로마티카로 선정하였다. 분석 방법 중 설문조사 대상을 20대 여성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설문지를 온라인으로 배포하여 진행했다. 총 설문지 ...
TAG Vegan Cosmetics, Cosmetics Package Design, Marketing Strategies, 비건화장품, 화장품패키지디자인, 마케팅 전략
화장품 용기에 적용된 움직임 구조에 관한 연구
임희숙 ( Lim Hee Suk ) , 신재욱 ( Shin Jae Wook )  한국일러스아트학회, 조형미디어학 [2021] 제24권 제2호, 29~37페이지(총9페이지)
사용편리성을 향상시키는 움직임 구조를 통해 디자인된 화장품용기는 사용자의 제품 만족도와 경쟁력을 높여준다. 국내 화장품의 신기능 용기디자인 개발기술은 세계 최고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화장품 용기의 움직임 구조를 설명하는 방법이나 원리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공학적 측면에서의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기능 화장품용기 개발에 적용될 기구 및 운동역학적 원리의 기반을 형성하고 움직임 구조를 해석하여 제품에 적용되는 개발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화장품용기의 기능성이 요구되는 디스펜서 펌프용기, 쿠션 파운데이션 용기, 마스카라 용기를 선정하였다. 각 기능별 화장품 용기의 기본 구조를 파악하고 특허 등록된 신기능 화장품용기의 사례를 통해 기계요소가 갖는 기구와 운동역학의 움직임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화장품용기에 적...
TAG Cosmetic container, Kinematics, Structure, 화장품 용기, 기구학, 구조
장소를 활용한 영도지역 공간 스토리텔링 적용 방안
금진우 ( Keum Jin Woo )  한국일러스아트학회, 조형미디어학 [2021] 제24권 제2호, 38~47페이지(총10페이지)
지역 문화를 기반으로 하는 콘텐츠의 주요 가치는 지역 경제와 지역 문화 발전에 있다. 따라서 지역 문화를 배경으로 하는 콘텐츠 개발에는 다른 지역과 구별이 되는 고유한 개성을 담아야 한다. 우리나라에서 콘텐츠 개발은 주로 경제적 가치 창출의 수단으로 활용되었을 뿐 그것의 문화적 가치에는 관심을 두지 않았다. 지역의 공간과 이 공간에서 축적된 문화를 활용하여 지속 가능하고 개성이 있는 콘텐츠를 개발해야 지역이 살아날 수 있다. 각각의 의미있는 장소와 대중의 관심을 끄는 이야기를 결합하는 일은 결코 쉽지 않다. 단순히 특정 장소에 이야기를 입히거나 장소를 소재로 하는 이야기를 찾는 것만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들이 있기 때문이다. 말 혹은 글로 된 이야기를 장소라는 물리적 공간에 구현하기 위해서는 이야기 자체의 구성이나 작법이 달라져야 한다. 이 연구의...
TAG place storytelling, contents, Yeongdo island, 공간 스토리텔링, 콘텐츠, 영도
프리브리핑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의 효과 -불안, 실습만족도 및 임상수행능력을 중심으로-
김현주 ( Kim Hyun-ju ) , 김건희 ( Kim Kon Hee )  한국일러스아트학회, 조형미디어학 [2021] 제24권 제2호, 48~56페이지(총9페이지)
시뮬레이션 실습교육 전 주어지는 프리브리핑이 간호대학생의 불안, 실습만족도와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향후 시뮬레이션 수업설계 및 프로그램 적용에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일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4학년 학생으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연구이다. 실험군(n=49)은 구조화된 프리브리핑을 제공받았고 대조군(n=51)은 시뮬레이션 구동 전 시나리오와 관련된 간호과정, 토론 및 역할극 등을 시행하지 않았다. 연구결과, 실험군의 불안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았고(t=1.09, p=.070), 실습만족도는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t=-3.75, p=.<001). 또한 임상수행능력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t=5.83, p=.<001). 결론적으로 시뮬레이션 교육 전 주어지는 프리브리핑은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교육에 ...
TAG simulation, orientation, anxiety, satisfaction, clinical performance, 시뮬레이션, 오리엔테이션, 불안, 만족도, 임상수행능력
카카오 이모티콘의 표현 유형에 따른 연령별 소비자 호감도 비교 연구
이희주 ( Lee Hee Ju )  한국일러스아트학회, 조형미디어학 [2021] 제24권 제2호, 57~65페이지(총9페이지)
본 연구는 이모티콘의 연령에 따른 유형별 호감 요인과 각 연령별 인기 이모티콘에 사용된 호감어휘를 비교하여 10-40대 인기 이모티콘을 비교 분석해 보았다. 연구결과 10대는 동물형과 간단한 라인 드로잉 스타일의 추상적 대리물 형태의 이모티콘을 선호하였으며, 구매로 이어진 감성어휘 유형은 다소 냉소적인 어휘들이 인기 상위권을 이루는 것으로 유희성과 심미성이 호감요인으로 분석되었다. 20대는‘연애와 사랑’이 가장 활성화 된 시기이기 때문에 같은 표현이라도 '사랑' '애정' '호감' 등의 이미지가 담긴 이모티콘이 주를 이루었다. 감성어휘 역시 일상적으로 연인사이 사용이 많이 되는 대화체의 어휘들을 선호하는 것으로 유용성, 심미성 요인이 호감요인으로 분석되었다. 30대는 표정이 다소 과하게 표현된 살아 있는 이모티콘등 유희성 요인이 호감을 주는 주된 역할을 ...
TAG Emoticon, Expression Type, Emotional Vocabulary, 10-40, s, preference factors, 이모티콘, 표현유형, 감성어휘, 10-40대, 호감요인
교육적 미술비평교육의 방법에 관한 연구
이안근 ( Lee An-keun )  한국일러스아트학회, 조형미디어학 [2021] 제24권 제2호, 66~75페이지(총10페이지)
미술비평은 미술작품뿐만 아니라 다양한 시각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시각적 문해력의 영역이다. 물론 미술교육의 본질은 창작과 향수활동이지만, 비평교육의 필요성은 다양한 시각매체의 정보를 바르게 수용하기 위한 관점에서 강조되어야 한다. 그동안 학교미술교육에서는 표현영역에 비해 감상비평 영역을 소홀히 다루었으며, 감상비평 교육은 대부분 작가 소개나 미술사적인 이론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원인은 감상교육에 관한 방법론이 체계적으로 정립되지 못한 부분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본다. 미술비평 방법에 대한 견해는 학자마다 관점을 달리하지만, 최근까지도 우리 교육 현장에서 가장 널리 적용되고 있는 비평이론은 펠드만(E. B. Feldman)의 비평적 담화이론이다. 하지만 펠드만의 이론이 형식주의 관점으로 지식전달에 치중될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여러 학자에 ...
TAG Art appreciation & criticism, educational art criticism, Tom Anderson’s art criticism, critical writing, 미술 감상 및 비평, 교육적 미술비평, 앤더슨 미술비평, 비평문 쓰기
포스트코로나시대의 교육동향과 블렌디드러닝 모델연구 -초등디자인교육을 중심으로-
민재윤 ( Min Jaeyoon ) , 김민 ( Kim Min )  한국일러스아트학회, 조형미디어학 [2021] 제24권 제2호, 76~85페이지(총10페이지)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개학을 시작으로 비대면 교육이 일상화되고, 이에 따른 학습, 지도, 평가 등의 교육패러다임이 새롭게 변화되었다. 이 연구는 교육의 전환점에 서서 현황조사를 통해 현재 교육체제의 동향을 이해하고, 초등교육의 콘텐츠와 교육방법에 대한 수요를 파악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혼합형 교육(블렌디드 러닝)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으로는 교육부나,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교육통계 연구센터등 공공기관의 분석 및 결과의 도출, 시기별 변화를 제시한 그래프나 발표 자료, 각종기사들을 차용하여 연구하였다. 전체적인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를 알아보고 교육대책과 함께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전문가의 논문과 논평을 기반으로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특히 비대면 환경에서의 미술과 디자인교육의 교육프로그램과 콘텐츠에 대한 연구는 자기주도성학습과 창의적사고,...
TAG Post Corona Era, Blended Learning, Elementary Design Education, Design Process Model, Edu-tech, 포스트코로나시대, 블렌디드러닝, 혼합형 교육, 초등디자인교육, 온라인수업, 에듀테크
표준색이름의 활용에 관한 연구 -KS A 0011에 의한 계통색을 중심으로-
문은배 ( Moon Eun Bae )  한국일러스아트학회, 조형미디어학 [2021] 제24권 제2호, 86~96페이지(총11페이지)
우리는 빛이나 물체의 색을 이야기할 때, 색의 정보를 전달하고자 할 때 색이름을 사용한다. 이러한 색이름을 산업에서 사용할 때에는 정확한 전달을 위해 표준색이름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우리나라와 미국, 일본 등이 각 나라에 맞게 색이름을 표준화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1964년 최초 제정된 한국산업표준 KS A 0011 물체의 색이름을 기준으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많은 교육 현장과 산업현장에서 본래의 규정을 정확하게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산업표준에서 색이름을 규정하는 KS A 0011이 처음 제정되었던 1964년부터 마지막으로 개정된 2015년까지 변화를 고찰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색이름은 기본색이름과 계통색이름을 중심으로 우리말 색이름의 대응 영어에 대한 수정과 개정이 가장 많았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2015년 이전 개정...
TAG Korea Industrial Standard, Color names, Object Colors, Systematic Color Names, KS A 0011, 한국산업표준, 색이름, 물체색, 계통색이름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