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철학회 AND 간행물명 : 기독교철학205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평화주의는 인식론이다: 존 요더의 평화주의 인식론 탐구
김기현 ( Kim Kihyun )  한국기독교철학회, 기독교철학 [2020] 제30권 7~42페이지(총36페이지)
이 논문의 목적은 존 요더의 평화주의를 인식론으로 이해하고 설명하는 것이다. 그의 평화 인식론은 한편으로 역사적으로는 탈콘스탄틴주의이고, 철학적으로는 반기초주의이다. 전통적으로 평화주의는 폭력에 반대하는 사회 윤리로 간주되어 왔다. 하지만 자신의 의지를 강제적으로 타인에게 강요하기를 거부하는 평화주의는 타자의 윤리학이자 타자의 인식론이다. 차이를 인정하고 존중하며, 타자를 타자 아닌 것으로 환원하는 폭력적 태도를 지양하는 실천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를 통해 비폭력 평화주의의 철학적 토대를 구축하고 탄탄한 이론 구성물이라는 점이 입증되기를 바란다.
TAG 존 요더, 인식론, 탈콘스탄틴주의, 반기초주의, John Yoder, Epistemology, Post-Constantanianism, Nonfoundationalism
아우구스티누스의 정의와 그 현대적 함의 연구: 기독교적 관점에서
김영진 ( Kim Youngjin )  한국기독교철학회, 기독교철학 [2020] 제30권 43~71페이지(총29페이지)
현대 사회는 정의(Justice)의 문제가 쟁점이 되고 있다. 한국 사회는 정의(공정)로운 사회를 희구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로마 사회의 정치적 혼란기에 시사했던 아우구스티누스의 정의론을 연구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본다. 아우구스티누스는 그의 저서『신국론』에서 “정의가 없는 국가란 거대한 강도 떼가 아니고 무엇인가?”라고 물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로마와 현대 사회에 있어서 “인간에게 무엇이 문제이고, 무엇이 정의로운 것이며, 어떤 일은 행해야 하고 어떤 일은 행하지 말아야 하는지를” 가르쳐 주고 있다. 이러한 아우구스티누스의 정의는 현대 사회 정의를 이해하는데 초석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정의와 그 현대적 함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먼저 아우구스티누스의 정의론에 근간이 되었던 그의 저서『가톨릭교회의 윤리와 마니 교도...
TAG 아우구스티누스, 정의, 현대사회, 정의실현, 기독교적 관점, Augustine, Justice, Modern Society, Realization of Justice
호락논쟁(湖洛論爭)과 다산(茶山) 정약용의 종교적 인간이해
송의원 ( Song Uiwon )  한국기독교철학회, 기독교철학 [2020] 제30권 73~100페이지(총28페이지)
필자는 조선 중기에 나타난 호락논쟁과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의 인간이해를 살펴보려고 한다. 조선 성리학자들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거치면서 황폐화된 인간성을 보면서 인간과 동물의 성(性)이 같은가 다른가의 문제를 고민했다. 이러한 논쟁의 핵심에서 외암(巍巖) 이간(李柬)과 남당(南塘) 한원진(韓元震)이 있다. 이들은 권상하(權尙夏, 1641-1721)의 문하에서 공부하던 중 인간의 본성이 동물과 같은가 다른가를 논쟁했다. 이들의 논쟁은 전국으로 확대되어 서울 경기 지방의 낙하학파 학자들과 호서 지방의 호서학파 학자들이 동참하면서 ‘호락논쟁(湖洛論爭)’이 되었다. 호락논쟁이 있은 후 실학을 집대성 한 다산은 인간의 성에 대하여 새로운 접근을 시도했다. 그는 호락논쟁을 직접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지만 호락논쟁의 발생 원인을 주자의...
TAG 호락논쟁, 湖洛論爭, , , 천주실의, 天主實義, 영명, 靈明, , , The Debate between school of Ho and the school of Rack, nature, Tianzhu Shiyi, miraculous efficacy, mind
혜암 이장식의 종말론적 신앙과 창조론적 신앙 사이의 통전적 신학: J. 몰트만의 생태학적 창조이해에 관련하여
정인재 ( Jung Injae )  한국기독교철학회, 기독교철학 [2020] 제30권 101~126페이지(총26페이지)
본 논문은 혜암 이장식, 『기독교 사관의 역사』를 중심으로 ‘종말론적 신앙’과 ‘창조론적 신앙’이라는 두 가지 하나님 이해의 통전적 성찰을 도모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혜암의 통전적 신학의 한 예로서 몰트만의 창조론적 신앙을 잇대는 작업을 시도하고자 한다. 먼저 한국교회 제1세대 교회사학자인 혜암 이장식은 그의 저서 『기독교 사관의 역사』에서 인간적 역사법칙으로부터 자유로운 역사의 주님, 즉 인간의 역사성이라는 유한성을 벗어난 하나님의 초월성을 강조한다. 이와 더불어 몰트만은 은총적인 자기 비하로서 역사 안에 내재하시는 하나님이 동시에 역사를 초월해 창조질서의 운행을 경륜하신다는 점을 주장한다. 그럼으로써 두 신학자의 종말론적 신앙과 창조론적 신앙은 이제 통전적 신학의 방식 안에서 만나 초월과 내재의 두 가지를 함께 연결시키게 되며, 이러...
TAG 혜암 이장식, 종말론적 신앙, 창조론적 신앙, 통전적 신학, J, 몰트만, Hye-Ahm Jang-Sik Lee, eschatological faith, creation faith, conventional theology, J, Motmann
‘군중은 비진리다’: 르네 지라르와 키에르케고어 그리고 무신론적 실존주의 철학에 대한 비판적 성찰
정일권 ( Chung Ilkwaen )  한국기독교철학회, 기독교철학 [2020] 제30권 127~159페이지(총33페이지)
이 논문은 “군중은 비진리다”라고 주장한 실존주의 철학의 아버지 키에르케고어의 기독교 실존주의 철학과 그 이후의 독일 하이데거와 프랑스의 샤르트르와 시몬 드 보부아르에게서 발견되는 무신론적이고 신이교주의적인 실존주의 철학의 차이를 이해하려고 한다. 이러한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우선 ‘군중은 비진리다’라는 화두로 키에르케고어와 르네지라르 사유의 유사성을 비교연구한 이후, 니체와 하이데거 등에 대한 지라르의 연구에 기초해서 무신론적 실존주의 철학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니체와 하이데거의 철학을 허무주의적 실존주의로 파악해서 현대의 새로운 영지주의로 분석한 한스 요나스의 연구도 이 비판적 성찰을 위해서 소개될 것이다. 키에르케고어가 말한 신 앞에서의 단독자와 니체와 하이데거가 자신들의 디오니소스적 메시야주의 속에서 선택한 군중의 신 디오니소스는 대조된다....
TAG 군중, 단독자, 디오니소스, 르네 지라르, 키에르케고어, 니체, 하이데거, 실존주의, René Girard, Søren Kierkegaard, Existentialism, Nietzsche, Heidegger, Satre, mob, Dionysos
한국의 기독교철학자 100년(1): 일제강점기의 기독교철학자
최태연 ( Choi Taeyon )  한국기독교철학회, 기독교철학 [2020] 제30권 161~183페이지(총23페이지)
이 논문은 지난 100년의 세월 동안 한국현대철학사에서 ‘기독교철학자’(Christian philosophers)들이 어떻게 철학을 해왔는지를 정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에서 철학을 전문적으로 공부했거나 대학에서 철학 교수로서 활동한 이들 중에서 개신교(protestant) 신앙을 갖거나 개신교의 영향 아래 철학 활동을 한 모든 이들을 기독교철학자의 범주에 넣는다. 즉, 다음 세 유형의 철학자들 모두가 속한다. (1) 정통적인 기독교 신자로서 철저하게 신앙의 전제 위에서 철학 활동을 한 학자 (2) 정통적인 신앙을 가졌지만 철학적 회의와 비판을 동시에 추구한 학자 (3) 기독교 신앙을 자기 나름대로 해석하여 타 종교나 일반 철학과 접목을 시도한 학자다. 이 세 유형의 철학자들이 모두 기독교철학자로 불릴 수 있는...
TAG 한국 기독교철학자, 개신교, 일제강점기, 채필근, 최현배, 정석해, 한치진, 김기석, Korean Christian philosophers, Protestants, Japanese colonial era, Chae Pil-geun, Choi Hyun-bae, Jeong Seok-hae, Han Chi-jin, Kim Ki-seok
심신과 인과성 : 반사실적 조건문을 중심으로
김완종 ( Kim Wan Jong )  한국기독교철학회, 기독교철학 [2020] 제29권 7~26페이지(총20페이지)
현실 세계에 몸담고 있는 존재자 전체는 단 하나(univocal)의 개별자도 아니며 각기 다른(equivocal) 개별자도 아니며 유사한(analogical) 개별자로 시공간에서 살고 있다. 이 존재들은 시공간 속에서 생성 소멸하며 이 과정 속에서 그것들이 인식하든 인식하지 못하든 통속적인 어떤 원인과 결과의 연쇄 속에 있다. 일반적(통설적으로)으로 우리는 이것을 인과관계, 인과성, 인과, 원인과 결과 등등으로 부른다. 존재하는 모든 것은 들은 통속적 인과성을 배제할 수 없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를 인정할 것이다. 모든 존재자들이 어떤 인과관계 속에 얽혀서 살고 있다면 인과적 관계는 존재자들에게 필연적일 수밖에 없는가? 필연성은 아니더라도 어떤 인과적 법칙들이 존재자들 사이에는 있을 수밖에 없는가? 또한 법칙은 있지 않더라도 일...
TAG 반실적 조건문, 심신인과, 인과폐쇄성, 법칙적, 심신상호작용, 수반, 과잉인과 결정, counterfactuals, mental-to-physical causation, causal closure, nomological, mental-to-physical interaction, supervenience, causal overdetermination
영(Spirit)과 공간
김유신 ( Kim Yoo Shin )  한국기독교철학회, 기독교철학 [2020] 제29권 27~59페이지(총33페이지)
현대물리학의 공간은 빈 공간이라기보다도 장으로 충만한 공간이다. 현대 물리학적 존재는 단순히 물체라기보다는 복잡한 존재적 특성을 갖는다. 데카르트의 연장을 본질로 하는 물체는 아니다. 현대의 물질은 미결정성, 이중성 등을 가지고 시공간화가 되는 신비하다. 이 논문은 영(spirit)을 공간과 연결시켜 이해해 보려 한다. 영에 대한 주관적 이해를 다루고 폴 틸리히의 객관화로서의 영 개념과 판넨베르크의 장 개념과 영의 임재, 샤르뎅의 우주의 진화, 생명의 자기 초월성 등을 하나님의 영과 관계 지어 통합하려는 것을 다루었다. 끝으로 뉴턴의 공간 개념을 다루면서 삼위일체론적 신 관념에서 공간과 영의 관계가 뉴턴의 일신론적 신 관념 보다 더 분명하다는 것을 논증했다.
TAG 공간, 데이야르 드 샤르뎅, 볼프하르트 판넨베르그, 뉴턴, , Space, Teilhard Chardin, Wolfhart Pannenberg, Newton, Spirit
코나투스(conatus)와 스피노자 연구의 현실주의 동향
소민재 ( So Min Jae )  한국기독교철학회, 기독교철학 [2020] 제29권 61~91페이지(총31페이지)
이 논문을 통해 필자는 스피노자의 ‘코나투스(conatus)’ 개념을 중심으로 현대 철학의 스피노자 연구 동향을 개관하고 스피노자의 주요 사상가운데 코나투스 개념이 현대 스피노자 연구자들의 현실주의 동향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가를 개괄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또한 스피노자 철학에 대한 관심이 연구자들의 현실주의(Realism) 경향과 밀접하다는 점을 전제하고 널리 알려진 스피노자 연구 자료 분석을 통해 이를 입증하고자 한다. 이와 함께 현대 철학의 현실주의 연구 경향에도 불구하고 실증적 추론이 설명할 수 없는 형이상학적 난제와 관련하여, 코나투스 개념을 중심으로 합리적 추론 방식을 통해 문제에 접근하고자 했던 스피노자 철학의 고유성이 현재 다시 주목 받고 있다는 점도 지적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코나투스 개념이 기독교 철학(Christian Philosoph...
TAG 코나투스, 실체, 실재, 정념, 현실주의, Conatus, Substance, Existence, Emotions, Realism
뇌과학과 심리학의 학제간 접근을 시도한 인간 이해: 베르그손의 철학적 방법론을 중심으로
양선진 ( Yang Sun Jin )  한국기독교철학회, 기독교철학 [2020] 제29권 93~125페이지(총33페이지)
인성교육법이 통과되면서 인성에 대한 논의가 철학계에서 재점화되었다. 인간의 본성은 전통적으로 철학의 중요한 주제였지만 최근의 생명공학기술의 발전과 신경과학의 발전을 통해서 새롭게 인간을 이해할 수 있다는 사고가 생겼다. 생명공학과 뇌과학에서 인간이란 기본적으로 DNA 또는 신경세포덩어리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따라서 전통적으로 인간의 고유한 정신적 활동이라는 것을 부정하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그리고 19세기 이후 분과학문으로서의 심리학과 진화심리학 및 진화론은 인간을 동물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다고 인식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최근의 학문적 경향성에 귀 기울이면서도 생리학, 생명공학 또는 뇌과학에 함몰되지 않고 동시에 최근의 자연과학에 귀 기울이면서도 독자적인 학문적 방법론을 주장한 베르그손의 철학적 방법론을 논의하려고 한다. 본 논문은 베르그손의 사유 자체보다...
TAG 인성교육, 학제적 접근, 융합적 사고, 인간 본성, 생명공학, 뇌과학, DNA, 진화심리학, 다윈주의, , 기억, personality educatio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he human nature, biotechnology and brainscience, DNA, evolutionary psychology, darwinism, brain, memory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