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예술교육학회594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학교 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육부 학교 예술교육 정책의 개선 방안
이경언 ( Lee Kyung-eon )  한국예술교육학회, 예술교육연구 [2021] 제19권 제1호, 1~16페이지(총16페이지)
이 논문의 목적은 교육부 학교 예술교육 정책에 대한 성과와 개선해야 할 점을 살펴보고, 이 결과를 토대로 학교 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학교 예술교육 정책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육부에서 발표한 학교 예술교육 관련 정책 문서와 관련 문헌들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교육부에서 제시한 추진 과제들을 실효성 있게 시행하기 위해서는 관련 부서 간 연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학교 예술교육에 대한 비전과 목표를 공유하는 종합적인 학교 예술교육 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셋째, 정규 교육과정 운영을 실제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학교 예술 교육과정 지원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교육부에서 제시하는 추진 과제들이 미래 사회에서의 학교 예술교육에 대한 전망을 갖고 체계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다섯째...
TAG 학교 예술교육, 예술교육 정책, 정책 연구, school arts education, arts education policy, policy research
온라인 예술교육 회화클래스 플랫폼 현황 및 참여자의 교육 참여후기 분석
이은경 ( Lee Eunkyoung ) , 현은령 ( Hyun Eunryung )  한국예술교육학회, 예술교육연구 [2021] 제19권 제1호, 17~33페이지(총17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변화하는 사회상에 발맞추어 생겨나고 있는 온라인 예술교육 회화클래스 플랫폼에 대한 현황을 살펴보고, 그 참여자들의 교육 참여후기를 수집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 할 수 있다. 첫째, 온라인 예술교육 화화클래스 플랫폼은‘온라인교육, 온·오프라인 혼용, 실습키트(Kit)배송’과 같이 세 가지의 형태로 운영되며, 대다수가 반응형 웹(Responsive Web) 사이트로 구축되고 있었다. 둘째, 온라인 예술교육 플랫폼 내 가장 많이 개설된 회화클래스는 수채화와 색연필 등을 이용한 것으로서, 숙련된 예술 활동보다는 보편성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연구대상 플랫폼 대다수가 교육 참여후기 작성공간과 건의게시판을 따로 개설하여 플랫폼의 성격이 부정적으로 확산되는 요인을 차단하는 장치를 마련하고 있었다. 넷째, 교육 참여 후기작...
TAG 온라인 예술교육, 온라인 예술교육 플랫폼, 회화 클래스, 교육 참여후기, online arts education, online arts education platform, painting class, education participation reviews
뉴노멀시대 예술교육의 파르마콘적 담론
정옥희 ( Jeong Ok-hee )  한국예술교육학회, 예술교육연구 [2021] 제19권 제1호, 35~52페이지(총18페이지)
이 연구는 ‘약’이자 ‘독’이라는 이중적 의미를 지닌 그리스어 ‘파르마콘(pharmakon)’어원이 주는 교훈을 통해 위기이자 기회라는 차원에서 최근 대면과 비대면, 아날로그와 디지털, 감성과 기술 등의 이항대립적인 예술교육 실천 딜레마에 대한 관점들을 논의한다. 뉴노멀 시대를 맞이하여 전통적인 예술교육의 가치를 보존하고자 하는 관점과 디지털화된 예술교육 방식으로의 전환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미래에 대한 다양한 관점에 따라 예술교육의 방법과 내용도 모색될 수 있다. 이 연구의 내용은‘파르마콘’이 가진 어원이 가진 이중적 의미를 디지털의 가속화로 대변되는 미래에 대한 낙관과 비관의 양립적인 관점으로서 살펴보고 트랜스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에 기반하여 전통적인 예술교육의 가치와 디지털화된 예술교육의 장점과 그 문제들을 제시한다. 연구의...
TAG 파르마콘, 뉴노멀, 포스트휴먼, 디지털화, pharmakon, new normal, post-human, digitalization
대학의 비대면 음악 수업환경에서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이 비대면 음악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교수 실재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가영 ( Han¸ Ga-young ) , 조성찬 ( Jo¸ Seong-chan )  한국예술교육학회, 예술교육연구 [2021] 제19권 제1호, 53~68페이지(총16페이지)
본 연구는 대학의 비대면 음악 수업환경에서 효과적인 음악교육을 제공하기 위하여 학습자와 교수자의 상호작용이 비대면 음악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검정하였다. 나아가 교수 실재감의 매개효과를 검정하여 비대면 음악 수업의 질적 향상 및 변화된 교육 환경이 요구하는 목표 달성의 기초연구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경남의 대학에서 음악 교과를 비대면으로 수강한 전공자 19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수업 안내 및 학습 촉진과 교수적 지원 요인이 비대면 음악 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이 영향관계에서 수업의 체계적 실행·학습 촉진 및 점검·의사소통 등 교수실재감 요인의 매개효과가 있음을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비대면 음악 수업환경에서 수업 및 학습 관련지원에 대한 교수자의 노력이 학...
TAG 대학 비대면 음악 수업,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 교수 실재감, 비대면 음악 수업 만족도, University, s non-face-to-face music classes,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 Teaching Presence, non-face-to-face music class satisfaction
코로나 시대 비대면 무용교육의 수업모형 개발 및 효과: 박금슬 기본무를 중심으로
유혜진 ( You Hyejin )  한국예술교육학회, 예술교육연구 [2021] 제19권 제1호, 69~85페이지(총17페이지)
Covid-19의 특수상황 속에서 제작된 비대면 수업 모형을 중심으로 진행된 본 연구는 박금슬 기본무를 주제로 기본춤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비대면 한국무용 교육을 위한 플랫폼으로써의 가치를 확립하기 위한 목적에서 출발한다. 실제 온라인 무용 교육 현장에서 개발된 수업 모형을 중심으로 경기도 소재 K 예술 중학교에 재학중인 한국무용 전공 2학년 8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10주 동안 온라인 교육을 진행하였다. 이 후 기초평가를 위한 설문과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고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대부분의 학습자는 수업의 품질과 효과 인식에 대해 긍정적이었으며, 연구자가 장점으로 인식한 박금슬 기본무의 특징에 대해 학습자들도 동일하게 장점으로 인식하였다. 비대면 무용 실기교육에서 가장 큰 장점은 반복 학습을 통한 집중 탐구 및 자기 주도 학습이었으며,...
TAG 코로나 시대, 비대면, 무용교육, 수업모형, 박금슬 기본무, Corona Era, Non-face-to-face, Dance education, Class model, Park Geum-seul basic dance
창의적 설계 기반 과학·예술 융합프로그램이 초등 저학년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황세아 ( Hwang Se-a ) , 태진미 ( Tae Jin-mi )  한국예술교육학회, 예술교육연구 [2021] 제19권 제1호, 87~104페이지(총18페이지)
미래사회는 다양한 문제들을 능동적으로 해결하고 사회구성원들과 협력하고 조화를 이루며 친사회적으로 역량을 발휘하는 창의 융합인재 육성이 중요하다. 그 전략으로 과학·예술 융합교육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그간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디자인 씽킹의 절차(공감, 정의, 아이디어 발상, 시제품, 테스트)를 활용한 창의적 설계 기반 과학·예술 융합프로그램이 초등 저학년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친사회적 행동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중 적절한 탐구문제 선택하기, 해결책 생각하기, 창의적 문제해결 계획 세우기, 해결방법 확인하기 요인에서 유의한 향상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친사회적 행동의 하위요인 중 돕기, 나누기, 협력하기 등의 요인에서 ...
TAG 창의적 설계, 창의적 문제해결력, 친사회적 행동, 디자인 씽킹, 과학·예술 융합프로그램, creative design, creative problem solving, prosocial behavior, design thinking, convergence program of science, arts
4차 산업혁명시대의 유아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사회적 인식
김근혜 ( Kim Geun-hye )  한국예술교육학회, 예술교육연구 [2021] 제19권 제1호, 105~120페이지(총16페이지)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의 유아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회적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B시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3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빅데이터 분석프로그램인 Textom 사이트를 통해‘4차 산업혁명시대 +유아 문화예술 교육’을 검색어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 문화예술교육은 유아의 감성발달 및 정서적 안정을 위해 중요하며, 주제를 중심으로 통합되어 교사와 문화예술 전문 강사가 함께 진행되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유아교사는 유아에게 적합한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교재 및 교구와 문화예술 강사 지원이 필요하고, 연수 내용으로 프로그램 사례소개 및 문...
TAG 4차 산업혁명시대, 유아 문화예술교육, 유아교사 인식, 빅데이터 분석, 4th industrial revolution, early childhood culture and arts education, early childhood teacher perception, big data analysis
유아교사의 문화자본과 감성지능이 미술 교수내용지식에 미치는 영향
강규리 ( Kang Gyu Ri ) , 윤지영 ( Yoon Ji Young )  한국예술교육학회, 예술교육연구 [2021] 제19권 제1호, 121~134페이지(총14페이지)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미술교수내용지식과 관련된 변인으로서 문화자본, 감성지능, 미술 교수내용지식의 수준과 관계를 알아보고 상대적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개인적 특성에 따른 문화자본, 감성지능, 미술 교수내용지식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교사의 근무기관과 전공은 문화자본, 감성지능, 미술 교수내용지식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사의 연령, 학력, 경력은 문화자본, 감성지능, 미술 교수내용지식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문화자본, 감성지능, 미술 교수내용지식 간의 상호관련성으로 문화자본과 감성지능에서 감성지능의 하위영역인 감성조절을 제외한 모든 부분에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으며 문화자본과 미술 교수내용지식, 감성지능과 미술 교수내용지식 전체에서도 매우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유아교사의 문화자본과...
TAG 유아교사, 문화자본, 감성지능, 미술 교수내용지식, Early Childhood Teachers, Cultural Capital, Emotional Intelligence, Art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초등학교 저학년 기본교과 연극 수업에 나타난 수행적 특성 고찰: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여행 이야기를 중심으로
염창선 ( Yum Chang-sun )  한국예술교육학회, 예술교육연구 [2021] 제19권 제1호, 135~162페이지(총28페이지)
이 연구는 체험중심 연극 수업 강화로 연극의 ‘수행성’이 강조되는 가운데 수행성을 중심으로 연극 수업 개발 및 연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연극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해 본 결과, 초등학교 저학년 연극 수업에 나타난 수행적 특성은 매체성, 물질성, 기호성, 심미성의 관점에서 놀이를 통한 신체적 공동 현존, 자기-지시성, 창발성, 경계성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를 통해 저학년들이 고학년보다 더욱 창발성이 두드러지며, 행위를 하는 과정 중에 새로운 의미를 만들게 됨을 알게 되었다. 또한 연극수업은 변환의 체험을 통해 참여자들을 성장하게 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TAG 초등학교 저학년, 교육연극, DIE, 구조와 즉흥, 퍼포먼스, performance, 수행성, performativity, 놀이, play, 신체적 공동 현존, bodily co-presence, 자기-지시성, self-reference, 창발성, eme rgence, 역치성, liminality, Educational theatre, drama class, emergence
국악 제재 곡에 대한 청소년의 정서 반응이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이수연 ( Yi¸ Soo Yon )  한국예술교육학회, 예술교육연구 [2021] 제19권 제1호, 163~181페이지(총19페이지)
본 연구는 교과서 국악 제재 곡에 대한 청소년의 정서 반응이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친숙도와도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인천, 경기도 소재 A, B 중학교 1, 2, 3학년 남녀학생 10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교과서에 수록된 장르별 국악 제재 곡 18곡에 대한 부정과 긍정, 이완과 자극의 정서 반응과 선호도 및 친숙도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악 제재 곡에 대한 부정과 긍정의 정서가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며 친숙도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악 제재 곡에 대한 진정과 각성 반응은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친숙도와도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악 제재 곡에 대한 학습자의 정서 반응에 대한 이해를 돕고 선호도를 높일 ...
TAG 국악 제재 곡, 청소년, 정서 반응, 선호도, 친숙도, Korean traditional music, adolescents, emotional response, music preference, music familiarity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