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무용역사기록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무용기록학회지283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무용작품 에 관한 연구- 몸적학습(Somatic Learning)을 기반으로
김미레 ( Mi Re Kim ) , 조기숙 ( Ki Sook Cho )  무용역사기록학회,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014] 제32권 1~20페이지(총20페이지)
이 논문은 연구자의 무용작품 에 관한 연구로써, 작품의 구상단계부터 연습과 공연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몸의 체험을 통해서 깨달은 내용을 기반으로 그 의미를 탐구한 것이다. 이를 위해 무용계에서 춤추는 ‘몸’을 바라보는 시각의 변화를 역사적으로 고찰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몸학(Somatics)’이 연구의 기초적인 시각으로 제시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실기에 기반을 둔 연구(Practice Based Research)’ 법을 사용하였다. 즉 구상과 연습, 공연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구체적으로 느낀 체험을 기록한 ‘몸적자료(Somatic data)’를 토대로 연구하였다. 작품의 구상단계에서는 시각적인 측면만을 지나치게 강조해서 춤추는 몸을 대상화 시키는 극장무용의 훈련 방법에 문제를 제기한다. 본 연구에서는 무용수가 자신의 춤의 주...
TAG 몸학, 몸적자료, 몸적학습, 실기에 기반을 둔 연구, PBR, Somatics, Somatic Data, Somatic Learning, Practice Based Research, PBR
무용의 공공성: 국내 커뮤니티 댄스 사례를 중심으로
김재리 ( Jae Lee Kim )  무용역사기록학회,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014] 제32권 21~50페이지(총30페이지)
본 연구는 최근 국내 무용 현장에서 활발하게 진행되는 커뮤니티 댄스(community dance) 활동을 살펴보고, 커뮤니티 댄스의 확장이 현대사회에서 갖는 의미와 가치를 규명하여 무용이 지니는 공공성을 밝히는 것에 목적을 둔다. 커뮤니티 댄스는 지역, 계층, 취향 등으로 조직된 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시민들의 무용 활동으로, 최근 다문화주의와 다원주의의 경향 아래 확장되고 있는 공동체 예술(community arts)의 한 분야이다. 커뮤니티 댄스는 과거 무용이 주로 예술가에 의해 창작되고 관객은 이를 수용하는 이분법적인 관계를 넘어 예술가에서 시민으로 예술의 주체가 변화되고 있는 것을 반증한다. 이처럼 예술가 개인의 사적 영역에서 이루어지던 예술은 이제 모든 사회 구성원들이 행위하고 소통하며 모두에게 열려있는 공간, 즉 공공 영역(Publi...
TAG 공공성, 커뮤니티 댄스, 공공 영역, 한나 아렌트, 공동체, 시민, 시민성, 다원성, Publicness, Community Dance, Community Arts, Hanna Arendt, Public Sphere, Citizen, Citizenship, Pluralism
무용공연 선택속성의 중요도-만족도 분석
류가연 ( Ga Yeon Ryu )  무용역사기록학회,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014] 제32권 51~67페이지(총17페이지)
이 연구에서는 무용공연 선택속성을 마케팅믹스(4P) 요인을 중심으로 소비자들이 어떠한 속성을 중요하게 생각하여 공연을 관람하는가를 알아보고, 각 요인별 만족도를 파악하여 무용공연 대중화를 통한 관객의 증대와 공연제작 실무자에게 효과적인 마케팅믹스전략을 설정함에 있어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자료수집은 무용공연을 한번이라도 관람한 관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013년 10월부터 12월까지 총 2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이 중 응답내용이 부적절한 33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217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무용공연 선택속성의 중요도와 만족도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모든 속성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중요도가 만족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IPA 결과, 제1사분면에는 제품(작품)요인, 제2사분면에는 프로모션요인, 제3사분면에는 가격요인, 제4...
TAG 무용공연 선택속성, 마케팅믹스, 4P, 전반적 만족, 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Dance Performance, Choice Attribute, 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Marketing Mix, 4Ps, Overall Satisfaction
조선 초기 정재춤사위의 기록양상
손선숙 ( Seon Suk Son )  무용역사기록학회,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014] 제32권 69~84페이지(총16페이지)
본 연구는 향후 정재춤사위의 실연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의의를 두고『악학궤범』에 세주(細註)로 기록된 정재춤사위를 살펴보았을 때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악학궤범』에 세주(細註)로 기록된 정재춤사위는 30종이다. 종류로는 광수·광수무·광수환장무·광염·금전락무·금척무·농구무·도약무·무릎디피무·발바딧무·발바딧작대무·사수무·수보록무·지선무·수양수무·수양수무릎디피무·수양수오방무·오양선무·인무·입무·절화무·정읍무·첨염·칠무·퇴수무·파자무·팔수무·협수무·홍정도돔무·환장무이다. 이들 용어들은 정재 종목의 명칭을 인용한 용어, 신체를 중심으로 한 용어, 비유적인 표현을 강조한 용어, 상징적인 용어, 음악 제목을 인용한 용어, 춤의 진행을 설명한 용어로 구분되어 있었다. 세주로 기록된 정재춤사위는 당악정재와 향악정재 구분 없이 정재마다 ...
TAG 악학궤범, 정재춤사위, 조선 초기, 당악정재, 향악정재, Akhakguebeom, Dance Movements of Jeongjae, The Early Joseon Period, Dangakjeongjae, Hyangakjeongjae
대교약졸(大巧若拙)의 미적 지향으로 본 김수악의 춤 -진주교방 굿거리춤을 중심으로
손인영 ( In Young Sohn )  무용역사기록학회,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014] 제32권 85~106페이지(총22페이지)
본 연구는 노자사상과 춤과의 유관성을 연구하여 춤의 가치를 재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노자사상의 핵심 키워드인 대교약졸(大巧若拙)에 주목하여 이것이 김수악의 진주교방 굿거리춤의 미의식과 어떤 식으로 연계되어 있는지를 집중적으로 탐구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과정에서 먼저 노자의 대교약졸(大巧若拙)의 의미파악이 선행될 것이고, 이어 대교약졸의 미적 지향인 ‘무기교의 기교’와 ‘무언’의 미의식을 학문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그런 뒤, 무위자연적인 춤의 미감을 가진 김수악의 내면을 주시하면서 예인의 삶 속에서 드러나는 대교약졸의 근원을 연대기적으로 밝혀내는 작업을 수행할 것이다. 그리고 진주교방 굿거리춤에서 드러나는 노자사상의 특질인 무기교의 기교와 예인의 삶속에서 보이는 ‘무언’과 ‘침묵’이 어떤 식으로 춤에 스며있는지 밝히면서 김수악 춤의 미적...
TAG 대교약졸, 노자사상, 김수악, 진주교방 굿거리춤, 무기교의 기교, 무언, Daegyoyakjol, Lao-tzu, Jinju Gyobang Gutgeori Dance, Kim, Su-Ak
자예(慈藝) 송수남(宋壽男)의 삶과 업적 그리고 춤
송혜순 ( Hye Soon Song )  무용역사기록학회,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014] 제32권 107~123페이지(총17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자예(慈藝) 송수남의 삶과 업적 그리고 춤을 알아보고 그가 평소 강조했던 춤 철학과 송수남 류 ‘산조 춤’에 대한 미적 특성을 살펴보는데 있다. 그 결과 송수남은 한국 춤을 세계에 알려야할 사명감을 가지고 끊임없는 시도로 우리나라 무용학 발전에 초석을 다진 예술가로서 공연 활동뿐만 아니라 학술 활동, 연구 활동에 있어 무용계에 혁혁한 공을 세운바 있는 지적 소양과 능력을 갖춘 교육자였다. 그의 춤 철학을 보면 기존 방식을 탈피한 음악, 극본, 안무, 연출의 분업화로 무용을 종합예술로서의 높은 경지를 이룩하려 노력했고, 통합적 사고를 토대로 총체적인 공연예술의 확장, 무용공연의 대형화로 무대의 형식을 구체화시켰다. 춤의 미적 특성으로는 옛것을 수용하면서도 자신만의 스타일 추구, 자연스러운 선이 겹사위로 이어지는 흥과 멋 강조, 개성 있...
TAG 송수남의 생애, 송수남의 업적, 산조 춤, Life of Song, Soo-Nam, Achievement and Dance of Song, Soo-Nam, Sanjo Dance
화성재인청류 살풀이춤의 미적 특성
신현숙 ( Hyun Sook Shin )  무용역사기록학회,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014] 제32권 125~139페이지(총15페이지)
이 연구는 경기도무형문화재제8호로 지정 된 화성재인청계열의 춤인 살풀이춤를 중심으로 화성재인청에 대한 내용과 춤의 계보에 대하여 조사하였고 그 춤사위의 유형과 특징을 고찰하여 미적특성을 바탕으로 외형적 구조와 내면에서 표출되는 사상과 가치를 고찰하였다. 「재인청(才人廳)」이란 조선시대부터 1921년 일본에 의해서 강제로 해체되어지기까지 무당들의 반주음악을 담당하던 무부(巫夫)들의 무속음악뿐만 아니라 그 당시 백성들을 상대로 펼쳤던 재인이나 광대들의 오락적 예능활동을 행정적으로 관리하던 곳이다. 화성재인청 살풀이춤은 화성재인청의 마지막 예인인 이동안에서 제1대 예능보유자인 정경파와 현재 제2대 예능보유자인 김복련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경기도지방에서만 전하는 설화를 배경으로 무복과 춤사위가 전승되어지고 있다. 다른 류의 살풀이춤과는 달리 수건 두 개를 들고 추어...
TAG 화성재인청, 경기도무형문화재제8호, 살풀이춤, , Hwaseong-Jaeincheong, The Eighth Intangible Cultural Asset of Gyeonggi Province, Salpuri, Filial Piety
통합과 분리를 통해본 가,무,악(歌,舞,樂)의역사적 흐름 연구
윤영숙 ( Young Suk Yun )  무용역사기록학회,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014] 제32권 141~162페이지(총22페이지)
이 연구는 문화예술의 활성화를 위해 조상대대로 전승되어온 한국 문화 양식을 탐색하고 그동안의 고정된 전통예술 시각에서 벗어나 새로운 의식의 전환을 꾀하는데 목적이 있다. 오늘날 문화예술은 사회 환경이 변화하면서 세분화되었고 그 시스템은 총체적 형태로 변화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한국의 총체예술인 가·무·악(歌·舞·樂)의 세부적 본질에 대한 이론적 연구가 부족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세부적으로 가·무·악의 이론적 개념을 짚어 본다. 그리고 종합예술형태의 가·무·악에서 가(歌)와 무(舞)와 악(樂)의 분리, 변화양상을 시대적으로 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역사 속에서 종합예술 형태로 지금까지 전해져 오는 <항장무(項莊舞>에 대해 살펴보고, 현재 종합예술 형태로 공연 되는 정동극장 <미소- 춘향연가>을 통해 종합예술을 활용하여 문화상품으로 발전된 사례를 검토...
TAG 가무악, 歌舞樂, 종합예술, 무용, 통합, 분리, 항장무, 미소-춘향연가, Gamuak, Miso-Chunhyangyeonga, Hangjangmu, Total Art, Dances, Integration, Separation
심신통합적 움직임 교육으로서의 무브먼트 리츄얼(Movement Ritual)에 관한 고찰
이정명 ( Jeong Myung Lee )  무용역사기록학회,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014] 제32권 163~184페이지(총22페이지)
본 연구는 미국의 움직임 교육자이자 아방가르드 예술가인 안나 할프린에 의해 만들어진 무브먼트 리츄얼이라는 동작 교육법이 어떻게 심신통합적 관점을 구현하는가를 개괄적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움직임 교육을 통해 마음과 몸을 긴밀히 연결시키는 교육 분야인 소매틱 교육의 역사를 조망했다. 그리고 이들 교육법의 핵심 철학과 관점이 무브먼트 리추얼 디자인과 교육법에 실제로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를 알아보았다. 무브먼트 리추얼은 움직임을 통해 인간의 신체, 감정, 심리, 이미지, 상상력, 창조성 등의 모든 경험을 수용하려는 교육적 노력으로 확장되고 있다. 이를 위해 심신통합적 교육과 치유법들이 지향했던 인간의 전인적 경험을 촉진하는 교사의 현장 전략을 자세하게 살펴 심신통합 이론들과의 관련성을 설명했다.
TAG 무브먼트 리추얼, 심신통합적 움직임 교육, 소매틱, 안나 할프린, 타말파 연구소, Movement Ritual, Body-Mind Integral Education, Anna Halprin, Tamalpa Institute
교육과 예술의 통합적 실천도구로서의 타말파 표현예술치료의 현상학적 관점에 관한 연구
임용자 ( Yong Ja Lim )  무용역사기록학회,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014] 제32권 185~202페이지(총18페이지)
이 연구는 전인적 인간 형성을 돕기 위해 치료와 교육적 방법론으로 대두된 타말파 표현예술치료의 통합성과 현상학적 특성에 대한 개관이다. 타말파 표현예술치료는 예술행위로서의 춤으로부터 철학, 심리학, 심신학 등의 이론적 배경을 흡수하고 구체적 실천 방법으로 그림, 동작 같은 비언어적 표현과 언어적 표현을 통합적으로 사용한다. 그래서 개인적의 인지, 감정, 신체 수준의 조화로운 발달, 그리고 관계를 통한 사회적 발달을 촉진시키기는 우수한 통합교육의 모델로 간주 된다. 타말파 표현예술치료가 전통적인 심리치료인 정신분석의 분석적인 영향에서 자유롭기 위해 교육학과 심리학의 새로운 철학들을 끊임없이 수용해 오면서 하나의 학문으로 형성된 점. 또 분석에서 자유롭기 위해 개인의 체험을 의미 있는 현상으로 확장시키는 실천도구들로 형성되는 방법론들을 개발시켜왔다는 점....
TAG 타말파 표현예술치료, 현상학, 예술교육, 통합, Tamalpa Expressive Arts Therapy, Arts Education, Phenomenology, Integration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