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무용연구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무용연구574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AI와 인간, 무용 패러다임의 변화가능성
고경희 ( Ko¸ Kyung-hee )  한국무용연구학회, 한국무용연구 [2021] 제39권 제1호, 1~25페이지(총25페이지)
본 연구는 제4차 산업혁명에 따른 예술과 기술의 협업에 대해서 살펴보고, 무용과 AI의 창작 작업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무용과 인공지능의 융합이 주는 시사점과 무용 인식에 대한 변화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무용과 인공지능의 융합은 단순히 움직임 데이터를 수집하고 기록하는데 그치지 않고, 새로운 움직임을 만들어 내고, 안무할 수 있게 되었다. 안무자는 AI 학습으로 생성한 2차원 움직임을 이용하여 3차원 움직임으로 안무하고, 무용수를 통해 재현하였다. 나아가 누구나 빅 데이터와 AI를 이용한 안무가 가능해진 것이다. 그리고 제작자들은 AI를 이용한 창작 작업을 단순한 재현이 아닌 예술 창작물이자 예술작품으로 인식하고자 한다. 이러한 인공지능의 무용 안무는 '무용 본질’에 대한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며, 무용 영역에 대한 재정립과 확장이라는 과제...
TAG AI, 예술, 기술, 무용 창작,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rt, Dance
21세기 <신몽금척(新夢金尺)> 안무를 위한 시론 -금척(金尺)설화의 중층성과 현대적 의미 분석을 중심으로-
권명주 ( Kwon¸ Myung-ju ) , 이경진 ( Lee¸ Kyung-jin )  한국무용연구학회, 한국무용연구 [2021] 제39권 제1호, 27~52페이지(총26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몽금척>의 이론적 배경 및 금척의 중층적 의미를 파악하고, 21세기 <신몽금척>의 현대적 의미와 새로운 안무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그를 위해 도참사상과 금척원 설화를 고찰하고 21세기 <신몽금척>의 현대적 상징을 파악하는 등 단계별 연구를 진행하였다. 조선 초기의 <몽금척>에서 금척이 상징하는 바는 선택 받은 왕의 자격이나 혹은 왕권 등이었다면, 오늘날의 금척은 주권을 가진각 개인으로서의 존엄이면서 동시에 존재 가치 등을 복합적으로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이에 21세기 <신몽금척>에서는 달라진 금척의 상징을 반영해 첫째 대열, 둘째 창사와 구호, 셋째 무구, 넷째 의상에 변화를 두었다. 정재는 당대를 대표하는 전통문화의 꽃으로서 일국의 정치와 사상, 사회 현상 등을 폭넓게 반영하고 있다. 그렇기...
TAG 몽금척, 정재, 도참사상, 금척설화, 신몽금척 Monggeumchuk, Jeongjae, Docham, Geumchukwon, New Monggeumchuk
교육대학 온라인 무용수업 사례와 학습자들의 학습경험에 관한 연구
김소연 ( Kim¸ So-yeon ) , 박지연 ( Park¸ Ji-yeon )  한국무용연구학회, 한국무용연구 [2021] 제39권 제1호, 53~76페이지(총24페이지)
본 연구는 질적사례연구로서 교육대학 무용 수업에서 온라인 수업을 통해 학습자가 경험하는 교육환경을 탐색하고 무용실기의 온라인 학습이 갖는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대상은 국내 K교육대학교 31명의 학생들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 온라인 무용 수업은 15주 중에 8주간 운영하였으며, 온라인 콘텐츠는 교수자가 직접 촬영, 제작하여 학교 시스템의 e-강의실에 탑재하여 제공되었다. 둘째, 온라인 수업운영방식은 학습자의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한 전략과 쌍방향 소통에 주안점을 두었다. 셋째, 학습자의 경험을 토대로 한 진술에서 무용 수업의 온라인 학습에 대한 유용성과 한계성을 탐색해 볼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에서 온라인 무용 수업 설계 시 고려할 요인 및 후속 연구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
TAG 온라인 수업, 온라인 콘텐츠, 무용 수업, 사례연구, online class, online content, dance class, case study
임학선 호흡표기법 실용화 방안
박지선 ( Park¸ Jee-seon ) , 임학선 ( Lim¸ Hak-sun )  한국무용연구학회, 한국무용연구 [2021] 제39권 제1호, 77~99페이지(총23페이지)
본 연구는 ‘임학선 호흡표기법’의 실용화 방안으로, 호흡표기법의 창안자와 공동연구를 통해 ‘호흡 움직임 분석틀’을 제시하여 춤현장의 실증적 연구방법을 세우고자 했다. 임학선 호흡표기법은 태극의 움직임을 형상한 ‘점ㆍ선ㆍ원’의 구조적 원리에 따라 내적 흐름을 중시하는 한국춤에 특성화된 무용기록법이다. 이 표기법은 들숨ㆍ날숨ㆍ멈춤의 기호학적 호흡표기로 호흡의 장단ㆍ대소ㆍ강약을 구분하여 무용의 3요소인 시간ㆍ공간ㆍ힘을 분석할 수 있었다. 또한 호흡표기로 리듬의 변화에 따른 호흡 패턴을 분석하여 움직임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춤동작 재현에 정확성을 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호흡 움직임 분석틀’은 임학선 호흡표기법을 실용화한 구조적 체계로 호흡과 움직임을 동시에 기록하여 움직임 구조와 원리를 규명하는데 용이했다. 이 분석틀은 한국춤의 내적ㆍ외적 구조분석을 통해...
TAG 한국춤, 임학선호흡표기법, 호흡움직임분석틀, 무용기록법, 무보법, korean dance, Lim Hak Sun Breathing Notation, respiratory motion analysis framework, dance notation
『남옹지』에 전하는 ‘수수지례’ 춤사위의 미의식 고찰
유혜진 ( You¸ Hye-jin )  한국무용연구학회, 한국무용연구 [2021] 제39권 제1호, 101~126페이지(총26페이지)
요순의 ‘흠’을 통해 공자와 안자에게 전해진 ‘수수지례’는 우리가 본받고 이어가야 할 예의 표본으로써 현세에서의 이상사회 실현을 위한 함의를 담고 있다. 본 연구는 예의 전형으로써 미의 극치를 표방하는 수수지례 춤사위의 미의식 탐구를 통해 그것의 가치와 정신문화 규명을 목적으로 한다. 서로 마음을 주고 받는 예, 수수지례의 춤사위는 예법에 맞는 몸가짐과 바른 뜻을 품어 위엄의 자태로써 최고의 예를 표현한다. 공경과 사양의 예로써 공손히 절하는 일관된 모습으로 표현되는 춤사위는 성현의 가르침을 함의한 은유와 상징을 통해 발현되는 유현미를 보여주며, 춤의 형식과 구조의 팔일을 상징하는 춤의 법도와 질서에서 우아미를 발견하게 된다. 성현의 큰 뜻을 품은 춤사위는 일부러 드러내지 않아도 훌륭한 덕성을 표상하는 엄숙하고 위대한 숭고미를 드러낸다. 이상 유현미, 우...
TAG 남옹지, 수수지례, 유현미, 우아미, 숭고미, Namongji, Susuji-Rye, profound characteristic, elegant characteristic, the sublime
무용에서 파토스적 충동과 표현
윤혜성 ( Yun¸ Hye-sung ) , 박미영 ( Park¸ Mi-young )  한국무용연구학회, 한국무용연구 [2021] 제39권 제1호, 127~153페이지(총27페이지)
이 연구는 파토스와 에로스의 의미와 개념을 고찰함으로써 무용에서 관객의 감정적 변화를 이끌어 내기 위한 예술가의 예술적 충동과 표현에 대해 고찰한 논문이다. 파토스의 개념은 많은 학자들에 의해서 다양한 의미로 조명되고 있으나, 아리스토텔레스는 파토스를 ‘괴로움과 즐거움’의 두 대립으로 구분하고 비극과 연관하여 관객의 감정을 불러일으켜 환기시키는 것을 중요시 했다. 반면 헤겔은 파토스를 인간의 영혼을 움직이는 보편적인 ‘힘’이라고 언급했고, 벨린스끼는 파토스를 ‘살아있는 열정’으로 보았다. 무용에서 무용수는 몸과 마음의 통합을 이루는 것이 상당히 중요하다. 몸은 파토스이며, 마음은 에로스라고 할 수 있으며, 마음은 무용수의 춤을 통하여 느끼게 되는 에로스의 욕망이고, 몸은 예술작품 속에서 무용수와 관객이 함께 지각하는 파토스의 대상이라고 할 것이다. 우리는 예술...
TAG 무용, 파토스, 에로스, 충동, 표현, dance, Pathos, Eros, impulse, expression
스캠퍼(SCAMPER)기법을 활용한 움직임 창작 프로그램 참여경험의 의미
이지현 ( Lee¸ Ji-hyun ) , 윤수미 ( Yoon¸ Su-mi )  한국무용연구학회, 한국무용연구 [2021] 제39권 제1호, 155~186페이지(총32페이지)
본 연구는 스캠퍼(SCAMPER)기법을 활용하여 움직임 창작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수업에 적용함으로서 참여를 통한 변화의 의미와 창의적 사고의 효과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본 연구는 무용전공대학생 10명을 프로그램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여 총 10차시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질적 연구 방식을 적용하여 수업영상, 경험일지, 관찰일지, 심층면담 등의 수집된 자료의 내용을 근거이론방법을 통해 원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캠퍼기법 움직임 창작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김화숙(2000)의 구성모형, 이연수(2016)의 창의적 문제해결모형을 프로그램에 적합하게 구성하여 총 10차시, 60분으로 프로그램 개발하였다. 둘째, 새로운 아이디어 창출,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창의적 표현력을 움직임 창작에 적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발전...
TAG 스캠퍼, SCAMPER, 기법, 창의성, 아이디어 발상법, 움직임 창작프로그램, 사례연구방법, 근거이론방법, SCAMPER Technique, Creativity, Idea Conception, Technique, Motion Creation Program, Case Study Method, Grounded, Theory Method
MBSR기반 요가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강선옥 ( Kang Sun-ok )  한국무용연구학회, 한국무용연구 [2020] 제38권 제4호, 1~27페이지(총27페이지)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MBSR기반 요가프로그램 참여가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북부지역 소재 대학에서 비확률 표집(non pro-bability sampling)방법 중 목적적표집(purporsive sampling)방법을 이용하여 120명을 표집,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신뢰성이 떨어진다고 판단되는 대상을 제외한 113명을 선정하였다. 자료처리방법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검사에 χ2 검정과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고, 사전 검사를 공변인으로 통제하여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자아존중감은 사전 검사에서 통제집단의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사후 자아존중감 향상은 있으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
TAG MBSR, 요가,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대학생, Mindfulness Based Stress Reduction Program, Yoga, Self-esteem, Stress
매체생태론으로 본 온라인 무용교육
김정은 ( Kim Jeong-eun ) , 신현군 ( Shin Hyun-kun )  한국무용연구학회, 한국무용연구 [2020] 제38권 제4호, 29~48페이지(총20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무용교육과 관련하여 컴퓨터 매체에 대한 구조적 접근을 인간과 기계라는 이분법적 시각이 아닌 유기체적인 관점에서 상호관계성을 조명해 보는데 있다. 이러한 접근은 지극히 생태학적인 관점에서의 상호 현시로서 매체 존재론이 논점이며 Levi Bryant의 매체생태론을 근거에 두고 철학적 논의를 시도하였다. 이 연구의 쟁점은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 기계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은 기존 유물론을 어떻게 재해석하고 있는가이다. 둘째, 컴퓨터 매체와 무용 간의 커넥터이다. 이는 ‘상호 매체되기’, ‘상호 확장되기’, ‘상호 학습하기’라는 논제를 통해 접근되었다. 셋째, 컴퓨터와 무용교육, 친밀함의 설계는 기계매체를 통해 어떻게 학습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이다. 이러한 논의의 바탕에는 컴퓨터와 무용 간의 상호 매개적 특질과 학습역량에 대한 구조...
TAG 매체생태론, 기계, 상호관계성, 온라인 무용교육, 역능, media ecology, machine, interrelation, online dance education, puissance
장홍심 바라승무의 춤사위 분석
백현순 ( Baek Hyun-soon )  한국무용연구학회, 한국무용연구 [2020] 제38권 제4호, 49~70페이지(총22페이지)
본 연구는 승무 중에서 바라를 들고 추는 춤인 장홍심류 바라승무에 대한 연구이다. 한성준- 장홍심- 이성자로 내려온 장홍심류 바라승무가 이북5도 무형문화재춤을 보유하고 있는 이성자에 의해 전승됨으로써 독자적인 관점의 춤사위 분석이 필요하다고 본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홍심 승무는 들숨과 날숨이 비교적 정형적으로 쉬어지며 춤의 호흡에 따른 묘미가 없다. 따라서 이 춤은 어깨춤에 호흡이 있는 민속무에 영향을 받지 않았을까 생각된다. 둘째, 팔을 사용하는 춤사위가 많다. 한 박에 장삼을 뿌리면서 또 다른 한 박에 춤사위를 바꾸는 등 한 장단 안에 사용되는 춤사위가 비교적 많다. 이는 최승희의 춤이 빠른 템포의 춤으로 유난히 동작이 많은 것과 비슷하다. 셋째, 장홍심류 바라승무는 바라를 치는 것 외에 몸통의 기교 역시 단순하다. 엎드린 동작을 제외하고...
TAG 장홍심, 바라승무, 춤사위분석, 춤사위특징, Jang Hong-Shim, Bara Seungmu, Analysis of the dan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nce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