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551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21세기 안티패션의 특수성에 관한 연구 - 2000년부터 2020년까지 The New York Times의 기사를 중심으로 -
임소영 ( Im Soyung ) , 하지수 ( Ha Jisoo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2021] 제21권 제1호, 1~19페이지(총19페이지)
안티패션은 그 시대에 유행하는 주류 패션과 차별성을 두면서 보편적인 가치와 전통으로부터 독립된 상징체계를 가지고, 한 사회적 그룹의 특성을 나타내는 지표 역할을 해왔다. 또한, 안티패션은 두드러진 특성을 통해 한 사회적 그룹의 정체성을 표현하는데 이는 독창적인 패션 스타일의 창출과 새로운 주류 패션의 창출로도 이어져 패션 디자인에 창의력을 부여하는 아이디어의 원천으로 주목받아왔다. 하지만 최근 안티패션과 주류 패션의 경계는 모호해졌고, 안티패션과 주류 패션은 더 이상 대립적인 관계에 있지 않다. 이처럼 안티패션과 주류 패션과의 관계가 변화함에 따라 최근의 안티패션이 가지는 또 다른 특수성이 있을 것이라는 생각에서 본 연구가 시작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시대적 맥락과 사회적 변화가 반영된 현대 안티패션의 특수성을 밝히는 것에 연구 목적을 둔다. 연...
TAG 안티패션, 뉴욕타임스, 패션의 상징성, 안티패션 스타일, 질적 내용분석, anti fashion, The New York Times, fashion symbolism, anti-fashion styl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패션 커뮤니케이션에서 증강현실의 활용 유형별 인터랙티브 특성과 발전 방향
이은지 ( Lee Eun Jee ) , 이지현 ( Lee Ji Hyun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2021] 제21권 제1호, 21~36페이지(총16페이지)
본 연구는 디지털 패션 환경에서 증강현실의 활용 유형 및 커뮤니케이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패션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증강현실의 작용을 상호작용적 측면으로 분석하고 인터랙티브 패션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증강현실 특성을 규명하였다. 증강현실 활용 목적에 따른 유형은 첫째, 체험 마케팅형으로 증강현실을 체험 마케팅의 툴로 활용한 유형이며 패션 브랜드와 소비자 혹은 소비자 간의 다방향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진다. 둘째, 패션 정보 제공형은 현실 세계에서 보이는 외관으로 전달되는 정보 외에 그와 관련된 추가적인 패션 정보를 가상의 이미지나 텍스트로 증강하여 보여주는 유형으로, 사용자가 가상의 콘텐츠를 직접 조작하고 선택적으로 습득하는 과정이 실시간으로 나타나 양방향적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진다. 셋째, 의복 기능 확장형은 패션 제품에 증강현실을 적용하여 패션의 일반...
TAG 증강현실, 디지털 패션, 인터랙션, 패션 커뮤니케이션, augmented reality, digital fashion, interaction, fashion communication
기능성 소재 개발을 활용한 애슬레저 웨어 스타일 연구
신정경 ( Shin Jeong Kyung ) , 김은경 ( Kim Eun Kyoung ) , 이준화 ( Lee Joon Hoa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2021] 제21권 제1호, 37~51페이지(총15페이지)
오늘날 애슬레저 웨어는 여가 활용에 대한 인식의 변화로 시작되어 홈트레이닝 등의 가벼운 운동과 재택근무나 외출 등 일상생활에서 자유롭게 입고 다닐 수 있는 용도로 그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애슬레저 웨어는 다양한 신소재를 사용하여 기능성, 실용성, 심미성을 모두 갖춘 제품으로 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애슬레저 웨어의 특성을 살려 기능성 소재 개발을 활용한 애슬레저 웨어 스타일을 연구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지역 섬유 업체에서 개발한 기능성 소재를 사용하여 20∼30대 남녀를 대상으로 운동복과 일상복으로 모두 적합한 의류와 마스크 세트를 디자인하고 제품화하여 패션사업 활성화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를 통해 애슬레저 웨어의 개념 및 정의에 대해 알아보고, 실증 연구로 금융감독원의 NICE 평가정보에 따른 2019년 매출액 기준으로...
TAG 기능성 소재, 애슬레저, 애슬레저 웨어, 애슬레저 스타일, functional material, athleisure, athleisure wear, athleisure style
현대 패션에 나타난 대량 예술의 특성
박수진 ( Park Su Jin ) , 하지수 ( Ha Jisoo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2021] 제21권 제1호, 53~69페이지(총17페이지)
예술로서 패션의 존재론적 위치와 두 영역의 상호 관계에 관련하여 지속적인 논쟁이 이루어지고 있다. 근대 미학을 바탕으로 예술의 순수성을 주장하는 관점에서의 패션은 예술과는 동떨어진 산업의 한 분야로만 여겨지며 예술로 인정받지 못하였다. 그러나 전통적 예술의 관점에서 벗어나 외연적 확장을 거치며 변화된 현대 예술의 개념은 현대 예술에 대한 현대인의 인식 변화를 이끌었다. 이로 인해 더 이상 패션의 산업적 특성을 패션을 비예술로 인식하게 하는 요인으로 간주하기 어려워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시각으로 현대 예술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 중에서 ‘대량’의 특성에 주목해 현대 예술을 정의한 노엘 캐럴의 대량예술 이론을 바탕으로 대량 예술의 맥락 안에서 현대 패션의 일부를 정의하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는 현대패션 개념을 대량 예술의 관점에서 재정립하는 것이다...
TAG 현대 패션, 대량 예술, 노엘 캐럴, 수동적 시·청감각성, 미적 정신분산성, contemporary fashion, mass art, Noel Carroll, passive spectatorship, dispersion
표피 및 신체 담론에 의거한 현대 패션의 확장 유형과 의미
이재민 ( Lee Jae Min ) , 김혜연 ( Kim Hea Yeon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2021] 제21권 제1호, 71~90페이지(총20페이지)
현대사회에서는 새로운 매체의 등장과 융복합 현상에 의한 기존 형식이 해체되면서 탈경계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인간 신체는 문화 코드의 중심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표피와 신체의 근현대 담론에 따라 현대 패션의 확장 현상의 유형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고찰함으로써 현대 패션디자인의 흐름을 재인식 하는데 있다. 또한 표피와 신체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다양한 현대 패션의 실험적 시도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패션디자인 분야의 확장적 변화에 대한 가능성 및 인식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디자이너 선별과 사례 선정은 국내 패션디자이너 10인을 대상으로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신체와 패션의 관계를 새롭게 설정하고자 시도하는 디자이너의 작품을 연구대상으로 특징을 분석하였다. 표피와 신체 관련 근현대 담론은 현대 미술 및 디자인에서 표피와...
TAG 현대 패션의 확장, 표피와 신체, 매체적 존재, 인터페이스적 존재, 탈경계적 존재, expansion of contemporary fashion, skin and body, media being, interface being, de-bordering being
시대에 따른 미국 흑인 패션의 표현적 특징의 변화에 관한 연구 - 소울을 중심으로 -
박한힘 ( Park Han Him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2021] 제21권 제1호, 91~104페이지(총14페이지)
소울은 백인 주류 사회에 대한 흑인들의 저항 의식의 핵심이었다. 시대가 변화해 나감에도 소울은 다양한 형태와 방법으로 미국의 대중문화에 끊임없이 영향을 미쳐 왔다. 패션 역시 소울의 영향을 많이 받은 분야로써 소울이 가진 저항정신과 격정적인 이미지는 다운타운 패션이나 키치를 모티프로 하는 디자이너 브랜드 등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또, 최근에는 럭셔리 브랜드들도 자신들의 고급스러운 이미지에 맞게 소울스타일을 정제해서 사용하는 등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소울은 음악뿐만 아니라 춤이나 패션과 같은 스타일에서도 저항 의식을 표출하고자 했다. 특히, 패션은 미국 흑인들의 정체성, 가치관, 행동 양식 등 문화적 의미들을 응축한 스타일과 그들의 단결력과 자부심을 드러내는 정치적 의미들을 응축한 스타일의 표현이기도 했다. 소울 패션은 미국 흑인들의 단결과 저항 ...
TAG 저항정신, 민권운동, 대중문화, 소울, 힙합, resistance, human_rights_movement, popular culture, soul, hip-hop
인클루시브 패션디자인을 위한 신체 유형화 및 가상 모델 개발 - 20∼40대 장애 및 비장애 여성을 중심으로 -
이지현 ( Lee Ji Hyun ) , 신미라 ( Shin Mira ) , 우지연 ( Woo Ji Yean ) , 이시헌 ( Lee C Hun ) , 김지은 ( Kim Ji Eun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2021] 제21권 제1호, 105~122페이지(총18페이지)
연령이나 성별, 세대, 장애 유무와 관계없는 ‘모두를 위한 디자인’을 의미하는 인클루시브 디자인의 개념을 적용한 본 연구는 사용자의 신체적 다양성을 패션디자인 개발 단계에서부터 포괄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장애인, 비장애인 그리고 다양한 연령층을 포함하는 체형을 유형화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들 체형 유형화 자료를 바탕으로 3D 패션디자인 소프트웨어 ‘CLO 3D’를 사용하여 인클루시브 패션디자인 프로토타입을 개발을 위한 가상 모델 아바타를 구현하였다. 연구 결과, 인클루시브 패션의 체형 유형화를 위한 요인은 ‘부피’, ‘길이’, ‘상하 비율’이 해당한다. ‘부피’에 해당하는 신체 항목은 ‘허리둘레, 가슴둘레, 가슴 아래 둘레, 엉덩이둘레, 넙다리 둘레’이며 ‘길이’에 해당하는 신체 항목은 ‘샅 높이와 키’이고 ‘상하 비율’에 해당하는 신체 항목은 ‘상하 비...
TAG 인클루시브 디자인, 인클루시브 패션, 신체 유형화, 가상 모델 체형, CLO 3D, inclusive design, inclusive fashion, body type, virtual models
잠재소비자의 명품 브랜드 SNS 관계 혜택 지각이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 SNS 관여도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
김지은 ( Kim Chi Eun ) , 이진화 ( Lee Jin Hwa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2021] 제21권 제1호, 123~141페이지(총19페이지)
현대사회는 사용자의 취향과 요구가 다양해짐에 따라 마케팅 시장이 더욱 세분화되고 있으며, 특정 주제 및 상품에 관심을 두고 지속적으로 반응하는 잠재소비자를 발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게 여겨진다. 본 연구는 명품 브랜드의 SNS에 자발적으로 방문하는 소비자를 잠재소비자로 선별하여 그들을 대상으로 관계마케팅 관점에서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명품 브랜드의 잠재소비자의 SNS를 통한 관계 혜택이 지각이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함이며, 더 나아가 지각된 관계 혜택이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SNS 관여도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명품 브랜드 잠재 소비자의 지각된 관계 혜택의 하위차원은 심리적 혜택, 정보적 혜택, 경제적 혜택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혜택, 정보적 혜택, 경제적 혜택은 모두 구...
TAG 잠재소비자, SNS 마케팅, 관계 혜택 지각, SNS 관여도, 명품 브랜드, potential consumers, SNS marketing, perceived relationship benefits, SNS involvement, luxury brands
글로벌 럭셔리 패션 브랜드의 언택트 패션 커뮤니케이션 연구 - 코로나19 팬데믹 이후를 중심으로 -
심은희 ( Shim Eun Hee ) , 김진영 ( Kim Jin Young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2021] 제21권 제1호, 143~156페이지(총14페이지)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선언 이후 지속해서 성장해온 글로벌 럭셔리 패션 브랜드의 매출 감소가 이어지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글로벌 럭셔리 패션 브랜드에서는 대면 방식으로 이루어지던 패션 커뮤니케이션을 언택트 방식으로 전환하여 팬데믹 이전에 볼 수 없던 새로운 방식의 패션 커뮤니케이션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글로벌 럭셔리 패션 브랜드에서 새롭게 선보인 언택트 패션커뮤니케이션 사례를 분석하고 그 특성을 도출하고자 함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글로벌 럭셔리 패션 브랜드는 기존 대면 시스템에서 벗어나 비대면 매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소비자와의 직접적인 소통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소비자와의 시·공간을 초월한 소통은 브랜드를 알리며 친밀감과 선호도를 높였다. 둘째, 실험적인 플랫폼...
TAG 글로벌 럭셔리 패션 브랜드, 패션 커뮤니케이션, 언택트, 언택트 패션 마케팅, global luxury fashion brands, fashion communication, Untact, Untact fashion marketing
오스카 슐레머의 『Triadic Ballet』의 영향을 받은 현대 아티스트 무대의상의 조형적 특성 - 아힘 프라이어, 안드레이 바르테네브, 어슐러 색스를 중심으로 -
손주희 ( Son Ju Hee ) , 전재훈 ( Chun Jaehoon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2021] 제21권 제1호, 157~173페이지(총17페이지)
무대예술은 고대부터 지금까지 인간의 유희적 본능을 만족시키기 위해 발전해온 시각 예술이다. 20세기초부터 지금까지 무대예술 분야에 한 획을 그은 오스카 슐레머는 1922년 선보인 『Triadic Ballet』 무용공연에서 기하학적 실루엣의 복식우선형 의복을 선보여 화제를 모았고, 이후 현대 아티스트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매체에서 그로부터 영향을 받았다고 언급된 세 명의 아티스트인 아힘 프라이어, 안드레이 바르테네브, 그리고 어슐러 색스가 연출한 무대의상의 조형적 맥락이 오스카 슐레머와의 유사점과 차이점은 무엇인지를 비교·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오스카 슐레머의 『Triadic Ballet』 무대의상의 조형적 특징은 첫째, 색채의 측면에서 칸딘스키가 주장한 삼원적 색채론이 주를 이뤘다는 것과 둘째, 형태적 측면에서 기하...
TAG 오스카 슐레머, Triadic Ballet, 무대의상, 조형적 특성, 현대 아티스트, Oskar Schlemmer, triadic ballet, stage costumes, formative characteristics, contemporary artist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