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AND 간행물명 : 명상심리상담129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명상수행에서 심·의·식의 동의분리성과 다원적 마음치유 -초기경전의 주석서를 중심으로 -
남일희 ( Nam Ilhi )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명상심리상담 [2020] 제24권 1~17페이지(총17페이지)
초기불교의 주석적 전통에서는 심(마음)·의(정신)·식(의식)을 동의적 개념으로 보고 있으며, 경전에서 쓰여진 위치에 따라 이들을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면 붓다는 심·의·식을 동의어로 보고 있음에도, 왜 용어상으로 이들을 구분하여 법을 설하였을까? 이렇게 구분되는 심·의·식의 동의 분리성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통한 명상수행에서 마음의 다원적 치유에 대해 살펴보겠다. 이에 대한 심·의·식의 상호관계를 초기경전과 이의 주석서를 통해 알아보겠다. 그래서 심·의·식이 안다는 의미에서 뜻의 동의성을 띄며, 마음의 정서적 측면·이성적 측면·인식적 측면을 중심으로 명상수행에 기능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심·의·식은 마음의 동일한 영역에 있으며, 서로 간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동의분리성을 갖게 된다. 이들이 모두 동시에 일어나는 것 같지만...
TAG Meditation, Synonymous-separability, Healing of mind, Mind, Spirit, Consciousness, 명상, 마음치유, 동의분리성, 마음, 정신, 의식
느낌을 중심으로 한 위빠사나 명상과 치유 -붓다의 사념처와 안토니오 다마지오를 중심으로-
김경선 ( Kim Gyoungsun )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명상심리상담 [2020] 제24권 19~32페이지(총14페이지)
이 논문의 목적은 느낌(vedanā, 受)을 중심으로 위빠사나(vipassanā) 명상의 의미와 치유적 가치를 안토니오 다마지오(Antonio Damasio)의 관점으로 해석하고 재조명해보고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는 대념처경(Mahasatipaṭṭhāna Sutta, D:22)과 안토니오 다마지오의 신체도식 이론을 통해 몸과 마음과 느낌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고찰한다. 붓다와 안토니오 다마지오에게 몸은 soma, 즉 신체와 마음이 서로 조화를 이루는 몸이다. 이러한 몸은 상호 모방하며 서로를 닮아간다. 곧, 신체는 마음으로 확장되고 체화된다. 느낌은 바로 이러한 몸과 마음의 경계에 자리하여 마음을 구성하는 기초가 된다. 중요한 것은 느낌의 호불호에 따라 우리의 생각과 사유가 무의식적으로 영향을 받는...
TAG vipassanā, feeling, The four awakenings of mindfulness, Antonio Damasio, body map, 위빠사나 명상, 느낌, vedanā, 사념처, 안토니오 다마지오, 신체도식
명상에 기반한 감정코칭 프로그램이 가족관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김선일 ( Kim¸ Sunil )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명상심리상담 [2020] 제24권 33~52페이지(총20페이지)
본고의 목적은 MFCT 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가족관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대해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 MFCT 훈련프로그램을 활용해 불편했던 에피소드를 떠올려 명료화 작업을 실시한다. 염지관 명상을 통한 알아차리고, 머물러 지켜보기를 통한 관찰을 한다. 그 이후 자비소통으로 자기공감, 타인공감, 자기감정표현을 충분히 경험한 후 효과성을 정리하여 비교 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전, 후 심리검사를 실시하였다. MFCT 프로그램의 알아차림과 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ACT의 수용, 인지적 탈융합, 맥락적 자아를 탐색 후 가족관계향상을 위한 행동적 방안에 대해 모색한다. 연구결과는 MFCT 훈련프로그램 중 명상하기에서 염지관명상은 호흡과 함께 알아차림하며 머물러 지켜보며 객관적으로 관찰을 통해 문제를 발견하는 것이다. 즉 메타 인...
TAG Family Relationship Stress, Yeomjikan, 念止觀, MFCT, Self compassion communication, 가족관계 스트레스, 염지관, ACT, 자비소통
한부모 가장의 양육스트레스 경험: 단일 사례연구
권주희 ( Kwon Joohee )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명상심리상담 [2020] 제24권 53~65페이지(총13페이지)
본 연구는 질적 연구로 한부모 가장의 양육스트레스 경험을 개인적 측면, 어린 시절 경험과의 영향, 자녀와의 관계, 경제, 사회적 측면에서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한 개인이 갖는 고유한 경험을 그대로 드러내기 위해서 단일 사례 연구 방법을 채택하였으며, 개인상담을 통한 자료 수집과 축어록을 통한 의미 단위별, 사례별 범주화하는 코딩작업을 거쳤다. 그 결과 한부모 가정이 가지는 양육스트레스의 경험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측면에서 ‘자책감과 강박적사고’, ‘부정적 자기 평가와 감정조절의 어려움’을 경험한다. 둘째, 어린 시절 경험은 ‘치유되지 않은 내면 아이와의 만남’,‘동 반 자살에 대한 충동’으로 양육스트레스를 경험한다. 셋째, 자녀와의 관계 측면에서는 ‘자녀의 태도 변화에 대한 당혹감’, ‘불안에 기인한 자녀 양육 방식 의 미숙함’, ...
TAG Single-parent, parenting stress, qualitative research, single-case study, personal counseling, 한부모 가장, 양육스트레스, 질적 연구, 단일 사례 연구, 개인상담
대염처경의 호흡명상에 대한 해석학적 이해
인경(김형록) ( In-kyung (kim Hyung-rok) )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명상심리상담 [2020] 제23권 1~24페이지(총24페이지)
본고는 대염처경의 호흡절에 대한 ‘과목나누기’라는 체계적 해석방법을 통해서 호흡명상의 의미를 새롭게 이해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이것은 기존의 남방 상좌부 전통적 해석을 검토하면서, 대염처경과 입출식념경에 나타난 ‘호흡절’을 중심으로 초기경전 자체의 구조와 체계를 파악하려고 노력하였다. 그 결과 본고는 전체호흡절의 과목을‘예비수행4단계’, ‘본수행4단계’, ‘비유적설명’, ‘후렴구’로 분류한다. 예비수행은 다시’준 비’, ‘자세점검’, ‘기준점설정’, ‘단지 호흡알아차림 하기’4단계로구분하고, 본수행을 남방 전통적 해석에서는‘긴호흡의앎’, ‘짧은 호흡의앎’, ‘몸 전체를 경험하면서 훈련’, ‘몸의 조건을 가라앉히면서 훈련’으로 4단계로 나누었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기존해석과 다르게‘ 긴호흡의 앎’과 ’짧은 호흡의 앎’을 하나로 묶고, ‘~겠다 호흡명상’을 별도로 ...
TAG Mahāsatipaṭṭhāna Sutta, Breathing Meditation, Southern Buddhism, Early Buddhism, Hermeneutics, 대염처경, 호흡명상, 남방불교, 초기불교, 해석학
유가사지론에 나타난 부정관의 변형과 수용
강명희 ( Kang Myunghee )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명상심리상담 [2020] 제23권 25~39페이지(총15페이지)
부정관은 붓다 최초기의 수행법이다. 붓다는 그의 제자들에게 열반에 이르는 방법으로 부정관을 닦을 것을 권장하였지만 몸의 부정물을 경험한 비구들은 몸에서 나타난 수행현상을 혐오하여 자살한다. 붓다는 부정관법 대신 새로운 수행법 아나파나사띠 즉 수식관을 적극 제시한다. 그러나 부정관 수행법은 아비달마와 대승에 전승되었으며, 유가사지론에 이르면 6종 부정관으로 변형된다. 초기경전에 나타난 부정관은 두 형태를 보이는데, 내신(內身)의 몸 기관과 장기를 관찰하는 것이고, 외신(外身)의 죽은 시신의 여러 모습을 관찰하는 것이다. 전자는 대승에서 전승하였으며, 후자는 아비달마에서 전승하였다. 유가사지론은 내신과 외신 관찰의 부정관을 후예부정관(朽穢不淨觀)이라고 정리하고 그 밖에 고뇌, 하열(下劣), 관대(觀待), 번뇌, 속괴(速壞) 부정관을 시설한다. 후예부정관은 초기불교...
TAG Aśubhabhāvanā, The decomposition and uncleanness aśubhabhāvanā, The 6 kinds of aśubhabhāvanā, the Yogācārabhūmi, The transformation and acceptance of aśubhabhāvanā, 부정관, 후예부정관, 6종부정관, 유가사지론, 부정관의 변형과 수용
프라나야마(Pranayama) 요가 호흡법의 임상적 역할
이경희 ( Lee Kyung-Hee )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명상심리상담 [2020] 제23권 41~49페이지(총9페이지)
프라나야마(Pranayama)는 명상수련과정에 반드시 필요한 요가 호흡법이다. 이 호흡법은 인체의 생리체계에 영향을 주고, 스트레스와 관련된 각종 만성질환의 임상치료과정에서 유효한 역할을 수행한다. 프라나야마의 이런 역할을 주목한 본 논문은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사이트 Medline/PubMed에서 Pranayama, Yogic Breathing, Kapalabhati, Nadishuddhi, Sheetali, Sheetkari, Bhramari, Ujjayi, Bhastrika 같은 키워드로 검색한 1990~2019년에 발표된 관련 연구문건들을 검토하고, 그런 연구문건들에서 확인한 프라나야마의 생리적 효과와 및 임상결과들을 요약하여 평가하며, 그것을 실행한 연구대상자들에서 관찰되거나 측정된 신경인지력, 심리생리학적 상태, ...
TAG pranayama, yogic breathing, kapalbhati bhramari, nadishuddhi, sheetali, sheetkari, bhramari, ujjayi, bhastrika, 프라아야나마, 요가 호흡, 카팔라바티, 브라마리, 나디슈디, 쉬탈리, 쉬트카리, 브라마마리, 우자이, 바스트리카
학교상담에서 호흡명상의 활용방안 -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손강숙 ( Shon Kang Suk )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명상심리상담 [2020] 제23권 51~67페이지(총17페이지)
본 연구는 학교상담에서 호흡명상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사 8명과 명상 수행자 10명, 총 18명을 대상으로 한 포커스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학교상담에서 호흡명상의 필요성, 학교상담에서 호흡명상의 도움, 학교상담에서 호흡명상의 실시 방법, 학교상담에서 명상이 실시되기 어려운 이유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학교상담에서 호흡명상 활용 방안에 대한 교사와 명상 수행자의 인터뷰 분석 결과를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 내용을 종합하여, 학교상담에서 호흡명상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대상, 목표, 방법에 대한 고려와 학생들이 명상의 필요성과 효과에 대해 보다 인식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와 선행연구결과를 비교 ...
TAG school counseling, respiration meditation, focus group interview, 학교상담, 호흡명상, 포커스 그룹 인터뷰
MFCT 영상관법: 염지관 명상과 자비 소통 -명상에 기반한 감정코칭 전문가(MFCT) 훈련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김형록(인경스님) ( Ven. Inkyung )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명상심리상담 [2019] 제22권 1~21페이지(총21페이지)
본고는 넓은 관점에서 보면 알아차림 명상과 자비수행의 관계를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알아차림 명상은 지혜의 길이라면, 자비수행은 선정수행에 포함한다. 심리학적인 측면에서 보면 알아차림 명상이 보다 인지적인 관점이라면 자비수행에 의한 선정은 정서적인 안정을 함축한다. 본고의 연구문제는 MFCT 훈련프로그램 참여자가 스트레스 감정반응의 세 가지 유형에 따라서, ‘영상관법을 통해서 염지관명상과 자비소통을 어떻게 경험하는가?’와 ‘염지관 명상과 자비소통의 효과성 비교할 때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하는 것이다. 본 연구방법은 MFCT 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한 총 25명 가운데 6명을 대상으로 자료 분석을 진행하였다. 가급적이면 자연 상태에서 경험을 그대로 수집하여 분석하는 질적 연구방법론을 선택하였다. 연구결과는 명상과 자비의 소통은 상호보완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TAG MFCT, mindfulness meditation, Yeomjikan, 念止觀, Reflected Image Meditation(RIM), emotional coaching, self compassion, 알아차림, 염지관, 영상관법, 감정코칭, 자기자비
자기자비 연구 동향 및 과제
장우혁 ( Chang Woohyuk )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명상심리상담 [2019] 제22권 23~40페이지(총18페이지)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자비와 관련이 있는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방향성을 제언하는 데 있다. 방법: 먼저 자기자비의 개념, 자기자비의 치유적 기제, 자기자비를 증진시키는 프로그램 등 자기자비와 관련된 다양한 논점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2008년 이후 2019년 6월까지 227편의 국내 논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연구년도, 연구대상, 연구방법 등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2008년 연구가 시작된 이후 자기자비 관련 연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2018년에는 50편의 연구가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으로는 양적 연구가 대다수를 이루었고, 주제별로는 상관성연구가 대부분이었으나 2015년 이후 프로그램 효과성을 검증하는 연구도 많이 나오기 시작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자기자비에 대한...
TAG Self-compassion, Compassion meditation, Loving-Kindness meditation, Research trends, 자기자비, 자비명상, 자애명상, 연구동향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