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도시지리학회656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글로벌도시와 국가: 탈국가화의 글로벌도시 담론 비평
이재열 ( Jae-youl Lee ) , 박경환 ( Kyonghwan Park )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21] 제24권 제1호, 1~15페이지(총15페이지)
이 논문에서는 탈국가화된 공간으로 상식화된 글로벌도시에 관한 지식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러한 지식 형성 계보의 출발점은 프리드먼의 ‘세계도시’ 및 사센의 ‘글로벌도시’ 가설이었고, 오늘날 ‘계산의 중심’에서도 탈국가화는 글로벌도시의 기본적인 전제로 가정된다. 이는 글로벌도시 네트워크를 분석하는 ‘글로벌화 및 세계도시연구 네트워크(GaWC)’의 실증주의적 연구 방법론에 명시적으로 나타나고, 글로벌 금융센터 지수(GFCI)의 방법론에는 암묵적으로 배태되어 있다. 그러나 역설적이게도 GaWC와 GFCI의 최근 분석 결과에서는 글로벌도시의 국가성이 확인된다. 국가적 특수성이 드러나는 글로벌도시 네트워크 ‘서브넷’의 구성과 국가경제 환경에 영향을 받는 GFCI 점수 및 순위에서 국가적 공간성에 대한 근거를 찾을 수 있다. 국가의 영향력은 한 국가 내의 금융센터 간 관계...
TAG 글로벌도시, 금융센터, 계산의 중심, 국가, 자본주의 다양성, global city, financial centre, centers of calculation, state, varieties of capitalism
한국의 지방소멸위험에 대한 설명인자 연구
고문익 ( Munik Ko ) , 김걸 ( Kirl Kim )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21] 제24권 제1호, 17~27페이지(총11페이지)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지방소멸위험에 대한 설명인자를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지방소멸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탐색하기 위해, 상관분석, 회귀분석, 주성분분석을 수행하였다. 종속변수는 지방소멸위험지수였다. 다변량 계량분석의 독립변수는 구득이 용이한 2020년 기준 전국 250개의 시·군·구 행정구역 자료를 토대로 총 12개를 선정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변수는 자연적 증감률, 지역내총생산액, 재정자립도였으며, 강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인 변수로는 독거노인가구 비율, 보험료부담 대비 급여비 비율, 기초연금 수급률이었다.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사회적 증감률, 자연적 증감률, 출생률, 독거노인가구 비율, 지역내총생산액, 재정자립도, 빈집 비율 등 총 7개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주성분분석 결과, 우리나라의 지방소멸 원인...
TAG 지방소멸위험, 다변량 계량분석, 고령화, 저출산, 인구 감소, local extinction risk, multi-variate quantitative analysis, aging, low birth rate, population shrinkage
우리나라 도시 축소의 인구 요인 및 특성 분석
조대헌 ( Daeheon Cho )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21] 제24권 제1호, 29~44페이지(총16페이지)
최근 국내에서 도시축소에 대한 연구가 늘어나고 있지만 인구학적 요인에 대한 실증 분석은 드물다.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우리나라 시급 도시를 대상으로 축소의 인구 요인과 그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먼저 78개 도시를 대상으로 2000년 이후의 인구 변화 경향에 따라 유형을 구분하고 출생, 사망, 인구이동의 측면에서 변화의 요인을 파악하였다. 31개 도시에서 총 10% 정도의 인구가 감소하였는데, 그중 21개 도시는 연속적으로 감소하여 지속성이 강하게 나타났다. 낮은 자연증가에 비해 큰 음의 순이동이 인구감소의 주요인이었는데, 주로 청년층이 대도시 및 인구증가 도시로 빠져나갔다. 인구감소 도시는 인구증가 도시에 비해 출산율, 사망률, 순이동률이 모두 부정적일뿐만 아니라 더 악화되고 있는데, 특히 젊은 여성의 순전출과 출산율 저하가 자연증가의 감소...
TAG 도시 축소, 중소도시, 인구감소, 저출산, 순이동, urban shrinkage,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population decline, low fertility, net migration
몽생미셸의 장소성 형성과 변화에 관한 연구
정은혜 ( Eun-hye Choung )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21] 제24권 제1호, 45~60페이지(총16페이지)
본고는 노르망디의 몽생미셸이 고립이라는 지형적 특성, 수도원이라는 종교적 특성, 백년전쟁을 통한 요새와 감옥의 특성, 관광지로서의 특성이라는 복합적 장소성이 여타의 장소와 차별화된 것으로 보고, 이곳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장소성의 형성과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몽생미셸은 신성공간임과 동시에 역사와 시대를 반영하는 장소로서의 역할을 수행해 왔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고는 장소성이라는 지리학의 고전연구와 경관의 기호학적 연구를 결합하여 해석함으로써 이 장소를 하나의 사례로서 제시하고, 장소를 지배한 주체와 권력에 따라 장소성이 변화됨을 증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AG 몽생미셸, 신성공간, 장소성, 기호학, 프랑스 관광지, Mont Saint-Michel, sacred space, placeness, semiotics, tourist sites in France
우리나라 주요 도시의 사회집단별 거주지 분리 특성과 변화 양상
이성호 ( Sungho Lee )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21] 제24권 제1호, 61~76페이지(총16페이지)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요 대도시의 사회집단별 거주지 분리의 특성과 변화양상을 탐색하였다. 전통적인 국적, 소득에 따른 거주지 분리뿐만 아니라 최근 부상하는 1인가구의 공간적 집중 문제를 살펴보기 위해 외국인, 저소득층, 청년 1인가구, 노인 1인가구의 네 사회집단을 대상으로 상이지수와 고립지수 2가지를 활용하여 2010년과 2019년의 공간적인 분리 정도를 측정하였다. 네 집단 중 외국인의 거주지 분리 정도가 다른 집단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강하게 나타났으며, 청년 1인가구의 분리 정도 역시 높은 편이었다. 또한 외국인은 수도권 도시, 저소득층은 비수도권 도시, 노인 1인가구는 도농통합 형태의 도시들에서 상대적으로 분리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2010년과 비교할 때 2019년에는 대부분의 도시에서 네 집단 모두 인구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상이지수의 감소,...
TAG 거주지 분리, 상이지수, 고립지수, 1인 가구, 외국인, residential segregation, index of dissimilarity, index of isolation, single-person household, foreigner
중국동포의 삶에 영향을 끼치는 제도와 사회적 인식에 관한 연구: 중국동포 이주민 밀집지역을 중심으로
이영아 ( Young A Lee )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21] 제24권 제1호, 77~90페이지(총14페이지)
본 논문은 이주와 적응 과정에 작동한 거주국의 사회적 조건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거주국으로서 우리나라의 사회적 조건을, 이주를 제한하거나 지원하는 제도적 조건과 중국동포 이주민의 적응 전략으로 형성된 이주민 밀집지역에 대한 사회적 인식으로 구분하였다. 본 논문은 중국동포 이주민의 인구 변화를 4단계로 구분하여, 단계별로 이민정책의 변화, 이주민의 적응 전략, 중국동포 밀집지역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를 고찰하였다. 분석결과 배제에서 포용으로 방향이 전환되는 이민정책에 대해 중국동포 이주민은 개인에서 가족 단위로 정착하고 다양한 분야에 취업하면서 안정적인 체류로 적응하였다. 반면 중국동포 밀집지역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단계별, 지역별로 차별이 강화되고 뚜렷해지는 경향이 나타나, 이민정책과 사회적 인식 간 괴리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결론적으로 사회적...
TAG 중국동포, 이민정책, 이주민 밀집지역, 적응, 사회적 인식, the Korean-Chinese, immigration policy, ethnic clusters, adaptation, social perception
성매매 집결지의 복합적 이해와 성매매 종사자들의 투쟁: 인천시 숭의동 ‘옐로우하우스’ 사례를 중심으로
황수연 ( Sooyearn Hwang )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21] 제24권 제1호, 91~102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는 한국의 성매매 집결지가 도시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한국에서 가장 큰 성매매 집결지 중 하나이자 두 번째로 오래된 성매매 집결지인 숭의동 일대의 옐로우하우스를 대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식민 후기라는 특별한 역사적 맥락 속에서 우리나라의 성매매 집결지를 바라보고, 아감벤의 ‘호모사케르’와 ‘예외상태’ 개념으로 도시 속에 존재하는 예외성을 띠는 공간, 즉 수용소로서 성매매 집결지를 바라봄으로써 성매매 집결지에 대한 보다 복합적인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이러한 예외상태를 지속시키는 힘으로서 관련행위자들의 위치와 관계를 살펴보고, 호모 사케르로서 성매매 종사자들이 위치한 상태를 보여주고자 한다.
TAG 성매매 집결지, 성매매, 예외상태, 호모 사케르, 아감벤, red light district, prostitution, state of exception, homo sacer, Agamben
보행친화성을 적용한 택지개발지구의 보행환경 평가: 대구 율하2지구를 중심으로
이소영 ( So Young Lee ) , 김은정 ( Eun Jung Kim )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21] 제24권 제1호, 103~117페이지(총15페이지)
본 연구는 보행친화성을 적용한 택지개발지구인 대구율하2지구가 실제 보행환경이 얼마나 양호한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계획단계에서부터 보행친화를 감안한 대구율하2지구를 대상으로 여타 지리적·환경적 특성이 유사한 대구지산지구와의 보행환경을 비교분석하기로 한다. 이를 위해 크게 편의성, 안전성, 쾌적성, 접근성 4개부문의 20개 보행환경 평가요인을 GIS 분석 및 현장조사를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대구율하2지구의 경우, 접근성을 제외한 편의성, 안전성, 쾌적성 항목에서 대구지산지구에 비해 보행환경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특히 보행자 전용도로 및 공원면적, 하천까지의 거리의 요인이 가장 우수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계획단계에서 보행친화를 감안한 택지개발지구가 실제로 보행친화적인지를 검증한다는 것에서 학술적인 의의를 가진...
TAG 보행친화성, 보행환경, 평가, 대구율하2지구, pedestrian friendliness, walking environment, evaluation, Daegu Yulha 2 district
공간정보와 스마트시티 이슈 분석을 통한 국토정보통합운영센터의 도입기능 제안
장환영 ( Hwanyoung Jang ) , 정원주 ( Wonju Jung ) , 김종진 ( Jongjin Kim )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21] 제24권 제1호, 119~133페이지(총15페이지)
세종 5-1생활권이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로 지정되면서 해당부지에 자리잡게 될 국토정보통합운영센터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논의가 주목받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공간정보 및 스마트시티와 관련한 이슈 분석을 통해 향후 국토정보통합운영센터에 도입가능한 기능을 제안하는 것이다. 국토정보통합운영센터는 전 국토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수집, 분석, 활용하고자 하는 근본적인 목적이 존재하기 때문에 기존에 지자체에서 개별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통합센터와는 다른 방향으로 접근하여야 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이론적 고찰, 빅데이터 분석, 정책 및 제도적 이슈 도출, 전문가 심층인터뷰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유형화하여 향후 국토정보통합운영센터의 운영방향을 설정하고 도입가능한 세부 기능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국내 스마트시티의 핵심거점으로 자리잡게 될 국토정보통...
TAG 공간정보, 국토정보, 스마트시티, 통합운영센터, spatial data, territorial data, smart city, integrated operation center
농촌지역의 유휴부동산 현황 파악을 위한 마이크로공간데이터 조사방법론
이호상 ( Ho-sang Lee ) , 손재선 ( Jae Soen Son ) , 김익회 ( Ik-hoi Kim )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21] 제24권 제1호, 135~147페이지(총13페이지)
본 연구는 농촌이 당면하고 있는 문제를 데이터 기반으로 해결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마이크로공간데이터의 유용성을 구체적인 사례지역에 적용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마이크로공간데이터는 가능한 최소의 공간정보가 담겨 있는 일종의 빅데이터로 다양한 공간 단위로 변환 및 활용을 할 수 있다. 최근의 빈집문제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유휴부동산 데이터를 사례지역의 가용 행정데이터 검토와 현장조사를 통해 구축하였고, 유휴부동산의 종류별로 분포, 밀도, 건축연령 등을 분석하였다. 사례지역의 경우, 노후·불량주택의 수나 면적이 다른 유휴부동산보다 매우 많고, 오래된 주택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어, 농촌 주택문제의 심각성을 보여준다. 국가적인 인구감소시대를 대비하여 지속가능한 농촌개발계획, 지역정비계획 등을 데이터 기반으로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행정데이터와 현장조사를...
TAG 마이크로공간데이터, 유휴부동산, 빈집, 농촌, 조사방법론, micro-spatial data, idle real estate, unoccupied house, rural area, survey method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