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독서학회601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청소년기 독서 수행 및 인식에 관한 실태 조사 : 비독서의 이유와 스마트폰 사용 양상을 중심으로
김혜정 ( Kim Hyejeong ) , 허모아 ( Heo Moah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21] 제59권 9~50페이지(총42페이지)
본고는 초중학교(4, 6, 9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학년별 그리고 독자 집단별로 비독서 원인과 스마트폰 사용 양상을 중심으로 독서 실태 전반을 조사하여, 독서 행위와 독서 태도를 기술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첫째, 독서 수행 양상에 있어서는 독서 태도가 학년이 올라갈수록 낮아지며, 특히 비독자 집단에서 확연히 두드러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독서를 하는 이유로 독자 집단은 내적 동기가 높은 반면, 비독자 집단은 ‘부모님이나 선생님의 강요’와 같은 외적동기가 크게 작용하였다. 반면, 독서를 하지 않는 이유로 학년이 올라갈수록 ‘스마트폰이 더 재미있어서’라는 이유가 많았다. 또한 독서와 멀어지게 된 계기로, 독자 집단에서는 ‘공부량이 증가하면서’가 많은 반면, 비독자 집단에서는 ‘스마트폰을 취득하면서’ 등을 요인으로 들었다. 독서의 어려운...
TAG 비독서, 독서를 하지 않는 이유, 스마트폰 습관, 내적 동기, 독서의 어려움, Non-Reading, Reason For Non-Reading, Smartphone Habits, Internal Motivation, Reading Difficulty
능숙한 독자와 미숙한 독자의 읽기 방식 차이 : 어휘의 난이도와 적절성을 중심으로
신명선 ( Shin Myung-sun ) , 신희성 ( Shin Heeseong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21] 제59권 51~106페이지(총56페이지)
본고는 능숙한 독자와 미숙한 독자의 읽기 방식의 차이를 어휘의 난이도와 적절성에 초점을 두어 분석한 연구이다. 중학교 3학년 학생 9명을 능숙한 독자와 미숙한 독자 두 집단으로 나눈 뒤 이들의 읽기 과정을 시선추적장치, 설문지, 인터뷰 등을 이용하여 비교, 기술하고 두 집단의 차이점을 드러내는 핵심 요소를 분석하였다. 능숙한 독자는 어려운 어휘가 있는 글을 접하자 더 오랜 시간 해당 어휘에 주목하였으나 미숙한 독자는 그러하지 못했다. 미숙한 독자의 읽기 유형은 건너뛰기 유형, 지그재그 유형, 선택적 포기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능숙한 독자는 부적절한 어휘가 있을 때에 해당 어휘가 부적절함을 간파하고 이를 적절한 어휘로 바꾸어 읽었다. 반면 미숙한 독자는 내용 파악이 어려우므로 낯선 어휘의 의미를 확정하지 못하고 혼동스러워했다. 능숙한 독자와 미숙...
TAG 능숙한 독자, 미숙한 독자, 읽기 방식, 어휘의 난이도, 어휘의 적절성, 시선추적장치, 읽기 교육, 어휘교육, Proficient Readers, Inexperienced Readers, Reading Method, Vocabulary Difficulty, Vocabulary Appropriateness, Eye Tracking, Reading Eeducation, Vocabulary Education
만 3-9세 아동의 미디어 이용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지도 행위 연구 : 부모의 미디어교육 경험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양길석 ( Yang Kilseok ) , 서수현 ( Seo Soohyun ) , 옥현진 ( Ok Hyounjin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21] 제59권 107~136페이지(총30페이지)
미디어의 사회적 영향력이 증가하면서 만 3∼9세 아동의 미디어 이용률도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가정에서부터 조기에 교육적 중재를 통해 아동의 바람직한 미디어 이용을 유도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으나 관련 학술 담론은 부족한 형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미디어 리터러시 발달에 있어 가정의 역할을 조명하고 증거기반의 교육적 중재 방안 수립의 필요성을 강조하려는 목적하에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조사 자료를 토대로 미디어교육 경험에 따라 아동의 미디어 이용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지도 행위가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 부모의 미디어교육 경험은 전반적으로 자녀의 미디어 리터러시 발달을 긍정적으로 유도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부모 자신을 위한 미디어교육 경험보다 자녀의 미디어 리터러시 발달을 돕기 위한 목적의 미디어교육...
TAG 미디어 리터러시, 미디어교육, 가정 리터러시, 디지털 육아, 2020 어린이 미디어 이용 조사, Media Literacy, Media Education, Family Literacy, Digital Parenting, Children And Media in Korea 2020
독서 복지의 지역 격차에 대한 인식 조사 : 대학생의 도서관 이용을 중심으로
류보라 ( Ryu Bora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21] 제59권 137~160페이지(총24페이지)
이 연구는 대학생의 도서관 이용을 중심으로 독서 복지의 지역 격차가 어떠한가를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방법은 2개 대학 104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지역의 도서관과 관련된 독서 복지에 대해 좋다는 의견이 85.6%, 지역도서관의 복지 혜택을 받고 있다는 의견이 69.2%로 대학생들은 거주 지역의 도서관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응답자중 비율은 중소도시 및 읍면, 비수도권 지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대학도서관 이용에 불편을 겪었다는 응답이 58.6%였고 불편함의 이유는 열람실 이용, 도서대출, 편의 시설 등이었다. 도서구입비 지출은 전공교재 구입 지출이 높게 나타났고, 필요한 도서는 대여보다는 구입을 하는 응답이 높았고, 대여를 하는 경우 지역도서관을 이용한다...
TAG 독서 복지, 지역 격차, 대학생, 도서관, Reading Welfare, Regional Disparities, University Students, Library
신문기사에 나타난 독서토론 담론의 비판적 분석
김명민 ( Kim Myungmin ) , 정옥년 ( Jung Okryun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21] 제59권 161~189페이지(총29페이지)
본 연구는 빅 카인즈 홈페이지에 게재된 10,522 개의 신문 기사를 '독서토론'을 키워드로 분석하여 한국 사회의 독서 토론 교육 현황을 조사하고자 한다. 푸코의 담론분석 방법에 따라 신문 기사는 연대순으로 조사 되었으나 담화 형성 시기는 대학 수학 능력 시험 전을 1기로, 1993년 이후를 2기로, 그리고 2008년 이후를 3기로 구분하였다. 구체적으로 1차 시기에는 노동 문화를 일구는 독서토론이 확대되었고, 2차 시기에는 선진국 따라잡기로서 대학수학능력 시험이 새롭게 도입되었으며 이에 맞춰 독서토론의 교육 체제 안에 적극적으로 수용되었다. 3차 시기에서는 자기소개서 작성 및 입학사정관 시스템이 자리잡았다. 인적 자본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독서 토론이 교육 격차 해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점도 있지만 다양한 전시 행사와 과열 경쟁등의...
TAG 독서토론, 담론, 신문기사, 입시, 권력, Reading Discussion, Discourse, Power, Newspaper Article
작중인물의 장소 경험과 장소에 대한 정체성 이해에 초점을 둔 소설교육
선주원 ( Seon Ju-won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21] 제59권 191~219페이지(총29페이지)
이 연구는 작중인물의 공간 지각과 장소에 대한 정체성 형성에 초점을 두어 소설교육의 내용을 마련하는 목적을 갖는다. 이 글의 논의 과정에서의 초점은 작중인물의 장소에 대한 정체성을 이해하는 것이 학생들이 실제 삶에서 장소에 대한 정체성을 형성하는 토대가 된다는 것이었다. 이 글에서는 장소 경험과 작중인물의 장소에 대한 정체성 형성의 의의와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작중인물의 장소에 대한 정체성 형성의 양상을 장소의 안과 밖에 따른 정체성, 장소의 이미지에 따른 정체성, 장소에 대한 정체성 형성을 통한 삶의 진정성 구현 등으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작중인물의 장소에 대한 정체성 형성을 이해하기 위한 교육 내용은 장소감을 통한 작중인물의 개별적 정서와 윤리성 이해, 장소감을 통한 작중인물의 타자적 정서와 윤리성 이해, 장소감을 통한 작중인물의 장소에 대한 정체...
TAG 장소 경험, 정체성, 장소감, 윤리성, 진정성, 교육 내용, Place Experience, Identity, Sense of Place, Ethics, Sincerity, Teaching Content
고등학생 학습자의 상호문화적 인식에 대한 조사연구 : 소설 《완득이》에 대한 반응을 중심으로
장현정 ( Jang Hyunjung ) , 장성민 ( Chang Sungmin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21] 제59권 221~244페이지(총24페이지)
이 연구는 고등학생 학습자가 국어과 교실 안에서 상호문화 교육을 어떻게 경험해 왔는가에 대한 인식 양상과 이들이 생각하는 기존 교육의 대안을 살펴보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Bennett & Bennett(2004)의 상호문화적 감수성 발달 모형을 염두에 두어 소설 《완득이》에 대한 반응에 대해 반복적인 질적 코딩을 실시한 결과, 참여자들의 인식은 1-5수준 내에 다양하게 분포하였다. 주목할 만한 결과 가운데 한 가지는, 현재 고등학생 학습자의 인식 수준이 “문화적 차이에 대한 최소화”에 집중되어 있으면서도 이들 스스로가 보다 상위수준의 인식으로 발전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 연구는 고등학생 학습자가 다문화 사회의 주체로 성장하기 위한 토대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AG 상호문화적 인식, 상호문화 교육, 다문화 사회, 상호문화 감수성 발달 모형, 차이, 완득이, Intercultural Perception, Intercultural Education, Multicultural Society, Developmental Model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DMIS, Difference, Wandeugi
듣기와 읽기 수행 간 인지적 차별성 고찰 : 정보전달, 설득, 이야기 텍스트 처리를 중심으로
서종훈 ( Seo Jonghoon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21] 제58권 9~43페이지(총35페이지)
본고는 듣기와 읽기 수행의 인지적 차별성의 문제를 요약문 작성과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두 수행 과정에 적용된 요약 규칙과 요약문 평가에 대한 결과를 토대로 두 수행 간의 인지적 차별성의 문제를 구체적으로 다루었고, 두 가지 가설을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교육적 의의를 이끌어 낼 수 있었다. 첫째, 정보전달과 설득의 비문학 글을 대상으로 듣기에서는 거시 구조 정보와 관련된 선택 규칙이, 읽기 과정에서는 미시 정보와 관련되는 삭제 규칙이 유의미하게 적용되었다. 이야기 중심의 문학 갈래에서는 행위와 사건이라는 틀에서 행위의 통합 과정이라고 할 수 있는 구성 규칙이 듣기 수행 과정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빈도로 발생하였다. 즉 텍스트 갈래에 따라 듣기와 읽기 수행 간 일정한 사고 규칙의 차이가 발생함을 알 수 있다. 둘째, 요약문의 양과 질적인 측면에서는 전반적으로...
TAG 듣기, 읽기, 요약문, 사고 규칙, 요약 규칙, Listening, Reading, Summary, Thinking Rules, Summary Rules
읽기 전략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2011년부터 2020년까지의 연구물을 바탕으로
이용준 ( Lee Yongjun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21] 제58권 45~82페이지(총38페이지)
읽기 전략의 중요성에 입각하여 본 연구는 그간 국내에서 수행되어 온 읽기 전략 관련 연구들의 경향을 체계적 문헌 고찰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이후의 연구 방향을 안내할 어떠한 유의미한 지침이나 제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최근 10년간 읽기 전략 관련 연구들의 수가 전반적으로 줄어드는 경향이 있었고, 특정 연구 주제나 연구 대상, 연구 방법들에 보다 치중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리고 독자의 읽기 전략을 확인 및 파악하는 방법도 검사지나 설문지의 사용에 경도되어 있었고, 연구자가 살펴보고자 하는 읽기 텍스트 과제도 주로 단일 인쇄 텍스트에 바탕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과 특정적 읽기 전략, 읽기 전략 사용과 실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의 부족을 지적하면서 이에 대한 연구가 축적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TAG 읽기 전략, 독서 전략, 체계적 문헌 고찰, 연구 동향, Reading Strategy, Comprehension Strategy,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Research Trend
국어과 교육과정의 역량과 기능의 개선 방향
이경남 ( Lee Gyeongnam ) , 김승현 ( Kim Seunghyun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21] 제58권 83~108페이지(총26페이지)
본 연구는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역량과 기능의 실태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얻은 시사점에 근거하여 역량과 기능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역량과 기능과 관련된 2015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실태를 분석했다. 이를 근거로 향후 국어과 역량은 핵심역량과 연계성보다 국어 교과 특성을 고려한 역량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는 점, 맥락에 따라 언어 사용을 점검하고 조정할 수 있는 상위인지와 관련된 역량을 추가해야 한다는 점, 정서와 관련된 역량이 보완 및 추가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이전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기능과 다르게 역량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 방향에서 제시되었던 기능의 개선 방향으로 역량과 영역의 기능이 복합적으로 연계되어 있다는 점, 기능의 역할을 위해서는 각 영역의 학습 요소와 ...
TAG 국어과 교육과정, 역량, 기능, 듣기·말하기 교육, 읽기 교육, Korean Language Curriculum, Competence, Skill, Speaking, Listening Instruction, Reaidng Instruction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