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673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컴퓨팅 사고에 기반한 융합 수업의 설계 방안에 관한 연구
김지현 ( Jihyun Kim ) , 김태영 ( Taeyoung Kim )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2020] 제25권 1~8페이지(총8페이지)
미래의 교육은 소프트웨어 교육과 연결된 사고력 교육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SW 교육은 국가적 당면과제가 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2015 개정 교육과정을 통하여 컴퓨팅사고력 기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융합적 사고력을 정보교과의 핵심 역량으로 강조한 바 있다. 컴퓨팅사고력(computational thinking: CT)을 기반으로 하는 융합적 사고방식을 통해 예측 불가능성을 띄고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는 것은 4차 산업혁명의 시대를 살아가기 위해 누구나 갖추어야 할 역량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T 요소 중심 융합 학습과정을 구성하여 적용하였다.
TAG Software education, convergence education, computational thinking, convergence thinking, 소프트웨어교육, 융합교육, 컴퓨팅 사고력, 융합사고력
초등학교 3-6학년 학생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인지발달 수준 분석
송욱 ( Song Wook ) , 김효남 ( Kim Hyo-nam )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2020] 제25권 9~17페이지(총9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3-6학년 학생의 인지발달 수준을 분석하고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학생의 인지발달 수준과 관련된 문헌과 선행연구를 참고로 하여 연구 주제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고 연구목적에 맞는 대상학년과 연구 참여자 및 검사를 선정하였다. 서울특별시 소재 공립 초등학교의 3-6학년 학생 19학급 367명을 대상으로 과학탐구능력 검사와 논리사고력 검사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3-6학년 학생들은 기초탐구능력의 정답률은 57.1% 이고 통합탐구능력의 정답률은 40.7%이었다. 분류, 예상, 자료해석, 가설설정, 변인통제, 일반화 능력에서 학년 간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런데 자료변환 능력에서는 학년 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3-6학년 학생들의 인지 발달 수...
TAG level of cognitive development, Test of Science Process Skills, Group Assessment of Logical Thinking, 인지발달수준, 과학적 탐구능력 검사, 논리적 사고력 검사
실제 학교 현장에서의 과학 관련 진로교육과 중학생의 과학 진로 지향도 조사
고은정 ( Eun-jung Ko ) , 천재순 ( Jaesun Chun )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2020] 제25권 18~36페이지(총19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실제 학교 현장에서의 과학 관련 진로교육과 현재 중학생들의 과학 진로 지향도를 조사하여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과학 관련 진로교육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2019학년도 1학기 동안 학교에서 실시된 각종 진로교육 프로그램에서 과학 진로교육과 관련된 활동을 분석하고 과학 교과와 진로 교과 시간에 이루어지는 과학 관련 진로교육을 조사하였다. 현재 중학생들의 과학 진로 지향도를 알아보기 위해 D중학교 1학년 9학급 285명, 2학년 9학급 283명, 3학년 9학급 288명의 남녀 학생 총 85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전반적인 과학진로 지향도는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으나 하위 영역 중 과학 진로 선호도의 점수가 가장 낮았다.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반영한 과학 진로 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과학 관련 직업체험 기회의 확대, 과학...
TAG science-related career education, science-career orientation, science-career preference, 과학 관련 진로교육, 과학 진로 지향도, 과학 진로 선호도
중등 예비교사의 좋은 과학 수업에 대한 인식 및 자신의 수업에 대한 평가
노아름 ( Arum Noh ) , 최혁준 ( Hyukjoon Choi ) , 정선재 ( Sunjae Chung )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2020] 제25권 37~52페이지(총16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좋은 과학 수업에 대해 중등예비교사들의 인식과 좋은 과학 수업 관점에서 그들 자신의 수업에 대한 평가를 조사하고, 좋은 과학 수업에 대한 인식과 자신의 수업에 평가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서 중등 예비교사 48명을 대상으로 좋은 과학 수업에 대한 인식과 교육실습에서 수행한 본인의 수업에 대한 평가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전반적으로 교육 내용, 교육 방법, 교육환경 및 분위기 3가지 영역에서 자신이 실시한 과학 수업에 대한 평가가 좋은 과학 수업에 대한 인식에 미치지 못했다. 또한, 전통적인 방식에서 기본적으로 요구하는 수업 수행에 있어서 원만하였지만, 고차원적인 사고력, 탐구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 등에 있어서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등 예비교사들이 좋은 과학 수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갖는 어려움을 극복하기...
TAG Good science teaching,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Evaluation of teaching, 좋은 과학 수업, 중등 예비교사, 수업 평가
과잉확신 인지편향에 따른 교수 실행 사례 연구 : 과학교사의 진화 수업을 중심으로
손정열 ( Jeongyeol Son ) , 차희영 ( Heeyoung Cha )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2020] 제25권 53~72페이지(총20페이지)
이 연구는 과학 교사가 갖는 과잉확신편향이 교수 실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교사 교육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중학교 및 고등학교에서 진화 수업이 예정되어 있는 과학 교사들을 목적 표집하여 진화 개념에 대한 이해도 및 과잉확신편향 정도를 조사하였다. 과잉확신편향 검사 결과, 수업 자료 및 심층 면담을 비교, 분석하여 각 교사의 이해도 및 과잉확신편향 정도를 측정할 수 있었다. 각 교사의 이해도 및 과잉확신편향 정도에 따라 교수 실행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네 가지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과학적인 개념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고 하여도 과잉확신 인지편향이 높은 교사는 교수 실행 과정에서 다양한 오류를 보임을 알 수 있다.
TAG Overconfidence, cognitive bias, evolution, teaching practice, case study, 과잉확신, 인지편향, 진화, 교수 실행, 사례 연구
초등학교 소인수 학급의 과학과 학습 개선을 위한 사례연구
장인광 ( In-gwang Jang ) , 김효남 ( Hyo-nam Kim )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2018] 제24권 제2호, 1~15페이지(총15페이지)
이 연구는 초등학교 소인수학급의 과학과 학습 개선을 위한 방법을 모색하는 연구이다. 연구는 8주간 Action Research의 방법으로 플립러닝과 Peer instruction을 이용한 수업을 진행한 초등학교 4학년 과학과 수업에서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플립러닝을 활용한 수업에서 학생들은 수업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졌고, 이를 통해 서로 간의 의사소통 및 발표 횟수가 확연히 증가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리고 교실 밖 수업 이후에 실제 수업에서 복습 및 심화학습을 통해 의사소통의 기회가 늘어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Peer Instruction의 Concept Test 문항 질문 이후의 동료토론에서 과학적 의사소통의 양적 증가와 질적 개선이 이루어짐을 관찰할 수 있었다. Concept Test 문항 질문에 ...
TAG small class size, peer instruction, flipped learning, 소인수 학급, 동료 교수 기법, 플립 러닝 기법
초등학교 과학에서 자연체험학습자료 개발과 적용효과에 대한 정성적 분석
김효남 ( Hyo-nam Kim )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2018] 제24권 제2호, 16~30페이지(총15페이지)
초등학교에서 기본적인 과학 교수학습방법 중 하나가 자연체험학습이다.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자연체험학습활동의 유형을 제시하고, 자연체험학습활동지를 개발하여, 초등학생들에게 적용한 다음 그 학습 효과를 분석하였다. 자연체험학습활동의 유형은 과학교수학습이론을 바탕으로 도출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1학년 학생 2명과 4학년 학생 1명으로 구성된 A팀과 4학년 학생 13명으로 구성된 B팀이 있다. A팀에는 나무체험활동지, QR코드 활용 나무활동지, 물의 순환활동지를 적용하였다. B팀은 꽃-초본활동지, 열매활동지를 적용하였다. 학생들이 자연체험하면서 작성한 자연체험학습활동지, 지도교사의 지도일지, 연구대상 학생들의 소감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자연체험학습활동의 유형은 서술적, 발견적, 가설연역적, 그리고 제작과 생산 강조의 자연체험학습활동과, 교육목표별, 역량목표별, ...
TAG nature experiential learning, interest in science learning, out-door science learning, 자연체험학습, 과학 학습흥미, 현장 과학학습
2009 개정 중학교 과학교과서 물리 영역에서의 창의성 문항 분석 연구
차상현 ( Sang-hyun Cha ) , 류광수 ( Kwang-su Ryu )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2018] 제24권 제2호, 31~37페이지(총7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전 학년 물리영역 단원에서의 창의성 문항 분석을 수행하였다. 창의성 문항을 요소별로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창의성 요소들의 분포가 고르지 않았으며, 그중에서도 융통성에 해당하는 문항이 많았고 독창성의 문항이 가장 적었다. 교과서별로는 이 분포는 약간씩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과학교과서 구성 요소에 따른 창의성 문항 분포는 살펴본 결과 탐구나 읽을거리보다는 평가 문항에 많은 수의 창의성 문항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새로운 교육과정의 교과서는 창의성 문항이 탐구에 더 많이 포함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TAG creativity, science textbook,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 창의성, 과학교과서, 중학교, 과학교사
‘영재교육’*에 함축되어 있는 ‘교육’ 개념의 해체
김신지 ( Shin-ji Kim ) , 최성욱 ( Sung-wook Choi )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2018] 제24권 제2호, 38~50페이지(총13페이지)
이 글은 ‘영재교육’ 분야에서 사용되는 ‘교육’ 개념의 이론적 토대를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영재교육’의 담론을 주도해 온 대표적인 저작에서 말하는 ‘교육’의 의미와 거기에 전제된 교육관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적절성을 비판적인 시각에서 논의하였다. ‘영재교육’에서 사용되는 ‘교육’의 개념은 크게 관습적 교육관, 용병학문적 교육관, 기능주의적 교육관이라는 세 가지 교육관에 의거 한다. 관습적 교육관은 교육을 학교태와 동일시하고, 용병학문적 교육관은 교육을 교육과 이질적인 맥락에서 배태된 외래학문의 의미로 규정하며, 기능주의적 교육관은 교육을 그것이 가져오는 결과에 관한 기능으로 치부하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영재교육’에 사용된 ‘교육’은 학교안의 수업을 말하거나, 학생들의 학업성취 내지 정서적 반응으로 설명되거나, 교육의 실체가 ...
TAG ‘gifted education’, Deconstruction, Conventional view of Education, Hired-soldiers disciplinary view of education, Functionalistic view of education, ‘영재교육’, 용어 해체, 관습적 교육관, 용병학문적 교육관, 기능주의적 교육관
중학생의 진화 개념 이해 향상을 위한 논변 프로그램 개발
서은희 ( Eunhee Seo ) , 차희영 ( Heeyoung Cha )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2018] 제24권 제2호, 51~59페이지(총9페이지)
본 연구는 중학교 학생들의 진화개념 향상을 위한 논변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진화개념 검사와 논변활동 글쓰기, 담화를 분석하여 그 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와 교육 과정을 분석하여 진화 핵심 개념을 ‘변이’, ‘변이의 유전’, ‘경쟁’, ‘차등적 생존’, ‘종분화’의 5가지 하위 개념으로 선정했다. ADI 모형을 수정하여 진화프로그램 안내, 사전 온라인 글쓰기, 소집단 논변활동, 소집단 간 논변활동, 개인별 논변정리, 교수자 내용정리 단계를 적용했다. I 광역시 소재 중학생 194명 중 110명은 논변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84명은 강의식 진화수업으로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전 번역된 AAAS 진화개념 사전검사를, 프로그램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논변프로그램에 참여한 중학생의 진화개념이 향상되었다....
TAG Biological Evolution, Argumentation, Conceptual Change of Middle School Students, Evolution Concepts, 생물진화, 논변활동, 중학생의 개념변화, 진화개념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