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374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프레임’(Frame)의 교육과정적 함의
김승호 ( Seungho Kim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21] 제15권 제2호, 1~28페이지(총28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프레임의 교육과정적 함의를 모색하는 데 있다. 칸트의 ‘선험적 프레임’(카테고리)에 따르면, 인간의 마음속에는 선천적인 인식능력 또는 조건들이 이미 주어져 있으며, 만약 그것을 상정하지 않는다면 프레임의 적용은 애당초 불가능하다. 피아제의 ‘발생적 프레임’(구조)에 따르면, 인간은 프레임 적용의 규칙을 스스로 발달시켜 나갈 수 있는 선천적인 성향을 가진 존재이다. 쿤의 ‘사회적 프레임’(패러다임)에 따르면, 프레임의 적용이 객관적이기 위해서는 사회적으로 이미 합의된 규칙이 있어야만 한다. 프레임을 갖는다는 것은 단순히 프레임의 의미를 언어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프레임을 통해서 어떤 사물이나 현상을 그 사례로서 알아볼 수 있다는 것을 가리킨다. 교육은 한편으로 프레임을 전수하는 일인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프레임의 변화를 유도하...
TAG 프레임, 카테고리, 구조, 패러다임, 복합적 프레임, frame, category, structure, paradigm, complex frame
교사교육과정에서 공통요소(Commonplaces)로 살펴본 주제 개발의 원천 탐구
이원님 ( Wonnim Lee ) , 정광순 ( Kwangsoon Jeo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21] 제15권 제2호, 29~56페이지(총28페이지)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일상화 된 교사의 교육과정 개발 중 주제 개발의 단계에 주목하여 주제 개발의 원천을 분석하고 그 특징과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교사가 개발한 선행 연구를 Schwab의 공통요소(commonplaces)를 기준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가 개발한 주제의 원천은 공통요소가 단일 요소로 활용된 경우와 복합적으로 활용된 경우가 있었다. 이는 주제의 복잡성과 함께 교사교육과정의 심층적 교육과정의 특징을 보여준다. 둘째, 주제 개발의 원천을 출발점 기준으로 분석하였을 때 주제의 원천으로는 교과(S) 요소가 가장 높았다(교과>교사>환경>학생 순). 셋째, 교사가 개발하는 주제의 원천은 공통요소가 모두 반영되고 있었고, 다양한 세부 요소를 포함하고 있었다. 이상의 내용을 통해 교사...
TAG 교사교육과정, 주제, 주제 개발의 원천, 공통요소, 슈왑, Schwab, Teachers’ Curriculum, Subject, Resource for Subject, Commonplace
코로나 19에 따른 과정중심평가 운영에 대한 사례 연구
박일수 ( Ilsoo Park ) , 김민섭 ( Minseob Kim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21] 제15권 제2호, 57~77페이지(총21페이지)
이 연구는 코로나 19에 따른 초등학교 교사의 과정중심평가 운영 경험에 대한 사례 연구를 통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과정중심평가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코로나 19 상황에서 실시된 과정중심평가와 관련하여 초등학교 교사는 학생 피드백의 어려움, 행정적 기능 강조에 따른 형식적 평가, 인지적 영역 중심의 평가, 블렌디드 러닝 환경과 연계한 학생평가를 경험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요구되는 과정중심평가의 방향으로써,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교사의 행위자성 역량 개발 지원, 블렌디드 상황에 부합하는 과정중심평가 자료 개발 및 지원, 과정중심온라인 플랫폼 구축, 학생 자기평가 루브릭 개발 및 보급 등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가 블렌디드 러닝 및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과정중심평가의 방향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
TAG 코로나 19, 과정중심평가, 사례 연구, 블렌디드 러닝, 원격수업, 미래 교육, COVID-19, process-based evaluation, case study, blended learning, distance learning, future education
교과 간 연계·융합형 국악 수업에 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분석 : A교육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민하 ( Minha Kim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21] 제15권 제2호, 79~111페이지(총33페이지)
본 연구는 타 교과와 연계·융합하여 국악 수업을 실행한 경험에 대한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76명의 예비교사들의 교수·학습 과정안과 자기평가서, 수업 영상을 분석하였으며,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범주는 ‘수업 전략, 어려움과 약점, 교육적 효과와 필요성, 수업 실행 경험의 의미’로 설정하였으며, 각 범주에 따라 하위 범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교과간 연계·융합형 국악 수업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교과용 도서 개발, 교수·학습 자료와 방안 제시, 교사 양성과정에서의 연계·융합형 국악 수업 경험 제공의 세 가지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TAG 교과 간 연계·융합, 국악 수업, 예비교사, 교사 인식, connection and convergence between the subjects, Gugak class,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teachers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일체화를 위한 통합교과 평가 루브릭 개발
홍소영 ( Soyoung Ho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21] 제15권 제2호, 113~141페이지(총29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저학년 통합교과의 과정 중심 평가에서 활용할 수 있는 평가 루브릭을 개발하여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일체화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1학년 통합교과 ‘가을’ 영역(대주제)의 ‘가을 모습’ 핵심개념(소주제)에 대한 평가 루브릭을 개발하였다. 교육과정-수업-평가 일체화, 평가 루브릭에 대한 선행연구 등을 이론적으로 고찰하였으며, 이론적 배경에 따라 ‘가을 모습’에 대한 평가 요소와 평가 준거를 도출하고, 기준별 수행 준거와 성취 수준을 기술하였으며, 이에 대한 현장 적합성을 평가하는 과정을 거쳐 초등학교 1학년 ‘가을 모습’에 대한 평가 루브릭을 개발하였다. 평가 루브릭 개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 교육적 활용 방안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AG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일체화, 평가 루브릭, 통합교과, curriculum-instruction-assessment integration, evaluation rubric, Integrated subject
교육대학교 학생의 원격수업 경험 분석
김영주 ( Youngjoo Kim ) , 김인숙 ( Insook Kim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21] 제15권 제1호, 1~26페이지(총26페이지)
이 연구는 코로나19 감염병의 확산으로 시행하게 된 원격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경험을 C교육대학교의 사례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자료는 다섯 명씩 구성된 두 개의 초점집단에 대한 면담을 통해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참여자들은 주로 동영상 녹화 강의와 실시간 화상 강의를 통해 수업을 받고 있었다. 동영상 녹화 강의는 강의 수강의 편의성이 크고 반복 재생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었던 반면, 학습동기와 집중력이 저하되기 쉽고 강의 참여자 간 의사소통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실시간 화상 강의의 경우 대면 강의와 비교적 유사한 학습환경을 제공해 주지만 시간의 흐름에 따른 피로감 증가가 높았다고 하였다. 참여자들은 원격수업을 받으며 대면 수업을 받을 때와는 다른 몇 가지의 현상을 경험하였는데, 그것은 보고서 형태의 과제 증가, 과제에 대한 개별 피드백 증가, 그리...
TAG 원격수업, 원격강의, 온라인 강의, 동영상 강의, 실시간 화상 강의, online instruction, untact lecuture, pre-recorded video instruction, synchronous video instruction
교육과정 자율화를 위한 기반 탐색
정광순 ( Kwangsoon Jeo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21] 제15권 제1호, 27~48페이지(총22페이지)
이 연구는 교육과정을 자율화하기 위한 학교와 국가 두 차원의 기반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그리고 이런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자율화를 위한 지역(시도 교육청과 교육지원청) 차원에서 할 수 있는 역할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교 차원에서는 새교육-열린교육-혁신학교 운동을 해 오는 동안 교사들이 차시나 단원을 재구성하고 개발하는 경험을 축적해 왔다는 점에서, 교육과정을 자율화 하는데 필요한 로컬에서 교육과정을 개발해서 실천할 만한 준비를 어느 정도 갖추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국가 차원에서는 그 동안의 교육과정 정책을 교육과정분권화-교육과정 지역화 및 교육과정 다양화하는 방향으로 추진해 왔다는 점에서, 교육과정 자율화를 위한 정책적 기반을 어느 정도 조성해 왔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TAG 교육과정 자율화, 상향식 체제, 교사의 교육과정 개발, Autonomy of curriculum, Bottom-up system, Teachers’ curriculum development
교육과정 외적 변화를 통해 본 통합교과 교육과정 구조의 변화 가능성 탐구
김세영 ( Seyoung Kim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21] 제15권 제1호, 49~78페이지(총30페이지)
본 연구는 통합교과 교육과정이 코로나 19와 그에 따른 교사의 교육과정적 조치라는 교육과정 외적 변화에 의해 어떻게 변했으며, 이 변화로부터 통합교과 교육과정 구조가 어떻게 변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찾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 과정에서 텍스트학은 내적 세계와 외적 세계라는 분석의 틀을 제공함으로써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현 구조와 외부자의 사용 양상을 분석하는 도구가 되었다. 교사는 코로나 19라는 외적 상황에서 교과 목표 및 성취기준이라는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거시구조를 중심으로 수업을 운영하였으며, 각 통합교과의 기능을 중요시 여기며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초구조를 변화시키는 모습을 보였다. 교사의 이러한 행위는 성취기준 중심의 미시구조 변화와 함께 즐거운 생활의 새로운 거시구조, 통합교과 교육과정 거시구조의 일원화 등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구조를 변모시키...
TAG 통합교과, 교과 교육과정, 텍스트학, integrated subject, subject curriculum, textwissenschaft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시 초등교사가 겪는 어려움 및 개선방안 탐색
이윤미 ( Yunmi Lee ) , 김두겸 ( Dugyum Kim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21] 제15권 제1호, 79~106페이지(총28페이지)
본 연구는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시 초등교사가 겪는 어려움과 이를 해소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범교과 학습 주제와 행사 활동의 배정으로 인해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자신이 자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순수 재량시간’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둘째, 외부에서 요청되는 교육의 대부분이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고, 교사들은 창의적 체험활동 실행 여부를 증명하는 것에 대해 부담을 갖고 있었다. 셋째, 학교교육과정 문서와 실제 실행을 일치시키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들은 각종 인프라와 예산의 한계로 인해 창의적 체험활동을 내실 있게 운영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다섯째, 초등 단계에 적절하지 않은 영역이 편성됨으로써 의미 있는 창의적 체험활동을...
TAG 창의적 체험활동, 범교과 학습 주제, 교육과정 자율성, 교육과정 편제, 학교교과목,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cross-curricular theme, teachers, curriculum autonomy, curriculum structure, school subject
교사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교육적 환영’ 개념 탐구
김현규 ( Hyunkyu Kim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21] 제15권 제1호, 107~131페이지(총25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교육적 환영 개념을 교사교육과정 개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지의 문제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교사교육과정 개발에서 수업 연구들이 가지는 의의와 한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교육과정 문해력 연구는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관을 확장하였고, 수업 비평 연구도 수업을 질적을 관점으로 보는 길을 열었다. 그러나 일부 연구들에서 볼 수 있듯이 여전히 출발점과는 다르게 교수학적 접근의 연구 방향으로 이어지고 있었다. 이에 연구자는 교사교육과정 개발 분야에서의 교육과정적 연구 범위를 넓히고자 교육적 환영의 개념을 검토하였다. 결과적으로 교육적 환영이라는 개념은 일상적인 내용을 교육적 내용으로 볼 수 있도록 하는 느낌이자 동시에 아직 현실적으로 생성하지 않은 교육내용을 환영으로서 떠올리고 이것과 어울리는 성취기준을 연결할 수 있는 느낌이었다. 이를 통해 교육...
TAG 교육적 환영, 교사교육과정, 교육과정 문해력, educational illusion, teacher’s curriculum, curriculum literacy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