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AND 간행물명 : 미술교육연구논총607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컬러테라피를 활용한 색채 디자인 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스트레스 및 정서안정에 미치는 영향
이예슬 ( Lee Ye-seul ) , 김효정 ( Kim Hyo-jung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21] 제65권 291~323페이지(총33페이지)
본 연구는 컬러테라피를 활용한 색채 디자인 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스트레스 및 정서안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연구주제에 대한 문헌적 고찰 및 사전수업 관심도 분석을 바탕으로 컬러테라피를 활용한 색채 디자인 수업 프로그램을 구상하였으며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양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산청군에 소재한 S고등학교 1학년 114명을 선정하여 총 6차시의 온라인 미술 수업으로 이루어졌다. 수업의 효과성을 입증하기 위해 사용된 검사지는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한 한국판 청소년용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KPSS-A-10)와 윤영채(2007)가 수정ㆍ보완 및 검증한 정서안정 검사지를 사용하여 스트레스와 정서안정 및 각 하위요인에 본 수업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사전·사후 검사로 나...
TAG 컬러테라피, 스트레스, 정서안정, 고등학생, 색채 디자인 수업, 미술 수업, color therapy, stress, emotional stability, teenager, color design classes, art classes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 및 구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은적 ( Lee Eun-jeok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21] 제65권 325~348페이지(총24페이지)
이 논문에서는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을 비판적으로 고찰해보았다. 교육과정에서 학문적인 타당성의 관점에서 제기되는 문제점을 중심으로 이론적으로 논의해보며 관련 내용에 대한 이해를 심화할 뿐만 아니라 문제가 제기되는 이유와 그 개선 방향, 더 나아가 후속 연구로 더 깊은 논의가 필요한 부분을 찾아보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를 ‘핵심역량’과 ‘교과역량’, ‘체험’, ‘표현’, ‘감상’의 미술과 영역 구분, ‘핵심 개념’과 ‘일반화된 지식’ 그리고 ‘체험’ 영역의 핵심 개념 ‘소통’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비판적 고찰을 통해 학회 차원에서나 개인 연구자 차원에서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를 더욱 활성화하고, 또한 이러한 논의를 반영하여 한층 개선된 교육과정 문서화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TAG 국가 교육과정, 미술과 교육과정, 핵심역량, 교과역량, 내용 체계, Art Curriculum, core competencies, subject competencies, content system
초등학생들의 온라인 미술교육 경험에 대한 연구
조원상 ( Cho Won-sang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21] 제65권 349~386페이지(총38페이지)
2020년 1월부터 본격적으로 확산된 코로나19로 인하여 우리 사회 전반적인 것이 변화하게 되었다. 사람들 간의 접촉을 피해 감염을 막아야 하는 상황으로 인하여 모든 만남이 온라인을 통한 비대면으로 진행되기 시작하였고, 학교, 미술관·박물관과 같은 미술을 담당하는 현장 또한 원격 방식으로의 전환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미술교육 담당자들은 온라인에서의 미술교육 및 전시의 효과를 도모해야 하는 어려운 과제를 떠안게 되었다. 위의 상황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거리두기로 인한 비대면의 상황에서 온라인 미술수업에 나타난 학생들의 경험을 관찰하여 온라인 미술교육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논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수업이 교육을 가장 잘 보여주는 사례라는 관점을 토대로 사례연구방법을 이용하여 온라인 미술수업을 관찰하였다. 수업 상황에 드러나지 않은 부분은...
TAG 온라인 미술교육, 비대면 수업, 온라인 전시회, 경험, 사례, online art education, non-face-to-face class, online art exhibition, experience, example
농어촌 지역 학교예술교육 지원 사업 개선 방안 모색을 위한 교사 인식 분석
강주희 ( Joohee Kang ) , 최나영 ( Nayoung Choi ) , 이경진 ( Kyungjin Lee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21] 제65권 1~25페이지(총25페이지)
우리나라는 예술 소외 지역에 있는 단위학교에서 예술교육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단위학교에 맞는 예술교육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학교들에서 교사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교사는 교육과정 개발자, 코치, 촉진자가 되어야 한다. 더 나아가 학교예술교육 확산과 개선을 위해서 교사는 변화주도자로 역할을 해야 한다. 따라서 지역 학교예술교육 지원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 교사가 변화주도자로서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와 교사들이 지역 학교예술교육 지원에 대한 요구를 파악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은 교사의 인식과 역할을 분석해 농어촌 지역의 학교예술교육 지원 사업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 농어촌 지역 예술교육 지원정책과 사업을 소개하고, 농어촌 학교예술교육 지원 사업 실행 과정에서 교사의 역할을 점검하였다. 그리고 농어...
TAG school arts education, rural area, teachers, role in arts education, change agent, 학교예술교육, 농어촌 지역, 예술교육에서 교사의 역할, 변화주도자
포스트 코로나 시대 미술교육에서 관계 미술의 의의와 실천 방안
공완욱 ( Kong Wan-wook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21] 제65권 27~57페이지(총31페이지)
본 연구는 COVID 19 팬데믹으로 상당히 오랜 기간 단절과 통제를 경험한 우리사회에서 분열되고 파편화된 학생들의 관계 형성과 관계 회복을 위해 미술교육에서 관계 미술의 의의를 발견하고 실천 방안을 구안하고자 한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학생들에게 가장 필요한 것 중 하나는 관계의 회복이다. 미술교육에서는 시대의 요구에 따라 관계 미술을 통해 단절을 극복하고 관계를 회복하는 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 관계 미술은 부리요의 관계 미학을 이론적 배경으로 하는 한 관객 참여형 예술로 미술교육에서 관계 미술의 실천은 공동체성이 만들어지는 교환의 장을 형성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관계 미술의 요소인 ‘만남’, ‘상생’, ‘관계’, ‘협력’, ‘교환’, ‘상호작용’, ‘상호주체성’, ‘형태’ 등은 미술과 교육과정의 성격, 핵심 역량, 영역 및 핵심 개념과 ...
TAG 포스트 코로나, 관계 미술, 부리요, 미술교육, 관계 회복, post corona, relational art, Bourriaud, art education, relationship recovery
사진교육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권해일 ( Kwon Hae-il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21] 제65권 59~84페이지(총26페이지)
2007개정교육과정에서 사진교육이 등장하였다. 학교 현장에는 다소 혼란이 있었다. 교육 초기에는 이런저런 이유로 사진교육을 제대로 실행되기 어려웠지만, 최근에서 스마트폰이 보급되면서 사진교육에 진전이 있어 보인다. 하지만, 교육 여건이 개선되었다고 학생들에게 나은 사진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본 연구는 연구자가 부산의 작은 초등학교에 부임하여 만난 학생들과 좌충우돌하며 사진교육 실행 과정을 자문화기술지를 통해 진솔하게 드러내고자 한다. 학생들과 사진을 공부하고, 전시를 기획하는 과정에서 ‘사진과 나’, ‘어린이 사진가’, ‘포트폴리오’라는 세 개의 유의미한 사진교육의 지향점을 얻을 수 있었다. 학생들은 제 생각과 위치를 파악하고, 현실에 당당히 맞서는 기회를 사진교육을 통해 경험하였다.
TAG 사진, 사진교육, 자문화기술지, photography, photography education, autoethnography
인성교육을 위한 고등학교 미술과 교수학습 모형 개발 및 효과성 - Bandura의 관찰학습과 시각문화를 중심으로 -
김미화 ( Kim Mi-hwa ) , 김미경 ( Kim Mi-kyung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21] 제65권 85~130페이지(총46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수업을 통한 인성학습을 위해 반두라의 관찰학습과 시각문화를 중심으로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현장 적용을 통해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형 개발 단계에서는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반두라의 관찰학습과 시각문화를 중심으로 모형의 구성요소를 설정하고, 교수학습 초기 모형을 개발한다. 둘째, 타당화 단계에서는 교수학습 모형에 대해 3회의 내적 타당도 검증과 사용성 평가를 시행한다. 셋째, 현장 적용 평가 단계에서는 경기도에 소재한 B고등학교 1학년 16명을 대상으로 개발된 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해 미술수업 6차시를 실행하고 학습자 반응과 교수자 반응을 통해 모형을 확정한다. 넷째, 교수학습 모형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한국교육개발원(KEDI)에서 개발한 인성 수준 검사도구(현주 외, 2014)를 활용하여 사...
TAG 인성교육, 교수학습 모형 개발, 반두라, 관찰학습, 시각문화 미술교육, character education, development of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Bandura, observational learning,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초등교사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미술수업의 상과 현실적 어려움에 대한 연구
김지수 ( Kim Ji-su ) , 고홍규 ( Koh Hongkyu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21] 제65권 131~160페이지(총30페이지)
본 연구는 경력 10년차 전후 초등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그들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미술수업에 대해 살펴보고, 수업 운영에 있어서 그들이 느끼는 현장에서의 고충을 탐구하였다. 교사들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미술수업은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방향과 일치하는 부분이 많았다. 초등미술수업은 기능보다 기초개념 및 능력 위주로 지속적인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지도를 하고, 학습자에게 자율성을 부과하여 개개인의 개성과 창의성이 작품을 제작하는 과정에 반영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나아가 일상생활과 연계하여 삶 속에서 미술을 보고 느낄 수 있도록 수업을 구성하고 싶어 하였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미술과 교육과정ㆍ미술 교육의 제반 환경ㆍ미술 지도교사로서의 질적 측면 등에서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이상적인 미술수업이 구현되기 힘든 실정이다. 미술수업의 ...
TAG 미술수업, 초등미술교육, 미술수업실태, art class, elementary art teacher, art education, elementary art education
PP(폴리프로필렌) 포장용 끈의 물성을 활용한 입체조형 수업사례 연구 - 예비 초등 교사 2학년을 대상으로 한 결과물을 중심으로 -
나상세 ( Na Sang-se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21] 제65권 161~192페이지(총32페이지)
교사가 새로운 미술 재료의 물성을 탐구하여 적용한 입체조형 표현 활동 수업은 학생들에게 유희적인 흥미도와 몰입도를 향상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 초등 교사 2학년을 대상으로 포장용 끈을 활용하여 입체조형 표현 활동에 적용한 사례를 분석하였다. 포장용 끈은 창의적인 노작활동에 용이하고 점재, 선재, 면재, 양재의 변형적 표현이 가능하며, 친환경적 리사이클 소재로서도 장점이 있다. 이러한 포장용 끈을 활용한 수업 현장에서 학생들이 쉽게 입체조형의 원리를 탐색하고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경험하게 하였다. 이 과정에서 제작한 결과물과 에세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교육적 의미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포장용 끈의 재료적 장점인 점재, 선재, 면재, 양재적 물성의 변화는 입체조형 활동에 있어 자유롭고 다양한 표현활동을 기대할 수 있다. 둘째, 재료의 물성 탐색과...
TAG 포장용 끈, 입체조형, 노작활동, 교육적 의미, packing strings, modeling, work-oriented activity, educational meaning
은유적 사고에 기반한 데이터 예술 활동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박은진 ( Park Eun-jin ) , 손지현 ( Jihyun Sohn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21] 제65권 193~222페이지(총30페이지)
현대 사회는 데이터가 인간의 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정보 사회이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해 누구나 쉽게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데이터를 적재적소에 활용하고 결합하여 새로운 개념을 창출할 수 있는 창의적 사고가 중요한 경쟁력이 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 속에서 현대 작가들이 데이터를 창작의 재료로 사용하여 예술 작품으로 변형시킴으로써 데이터 예술(data art)이 등장하였다. 창의성 교육 측면에서 서로 다른 영역을 연결하고, 다른 영역에서 유래한 지식을 이해하기 위해 은유가 사용된다. 데이터의 의미를 추상화하여 작품으로 만드는 데이터 예술 활동은 은유적 사고와 관련되며, 이는 학생들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친다. 기존의 관련 연구는 주로 데이터의 효율적인 시각화 기술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데이터 예술의 관점에서 초등 미술 교육에 ...
TAG 데이터 예술, data art, 은유적 사고, 창의성, 융합 교육과정, metaphorical thinking, creativity, convergence curriculum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