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북한연구학회596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코로나19에 대한 북한의 대응: 『로동신문』 보도를 중심으로
오승준 ( Seungjun Oh ) , 하승희 ( Seunghee Ha )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학회보 [2020] 제24권 제2호, 1~37페이지(총37페이지)
이 연구는 코로나19에 대한 북한의 대응을 살펴보기 위해 노동당 중앙위원회 기관지 『로동신문』에 보도된 ‘코로나19’ 관련 기사의 양적 특징과 주요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북한은 첫째, 국제사회의 보건의료협력과 같은 보편적 대응과 달리 ‘봉쇄와 통제라는’ 고립된 방역체계를 고수하고 있지만, 둘째, 제한된 환경과 상황 속에서 필수적 방역물품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자력 생산을 통한 공급을 시행하고 있으며, 셋째, 국제사회 동향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한 정책 결정 등 코로나19 지속에 따른 일상의 변화에도 비교적 유연하고 안정된 상황관리를 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그러나 이러한 북한 당국의 방역 강화 기조에도 네 번째 특징인 기강 해이가 발생하고 있는 것을 고려할 때 지도부의 관리·감독 등 통제에 대한 영향력이 일정 부분 감소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어, ...
TAG 북한, 코로나19, 전염병, 로동신문, 보건의료협력, North Korea, COVID-19, Infectious Diseases, Rodong Sinmun, Health and Medical Cooperation
김정은 시대 비평양지역 가계경제활동에 대한 연구: 북한이탈주민 조사를 바탕으로
채수란 ( Sulan Chae )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학회보 [2020] 제24권 제2호, 39~74페이지(총36페이지)
본 연구는 북한의 ‘지방’에 해당하는 비평양지역에 초점을 두고 김정은 시대 탈북한 주민 중 비평양출신 23명의 심층인터뷰를 바탕으로 소득원의 특징, 개략적인 가처분소득수준, 소비생활을 조사하여 지역 간 격차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더 나아가 북한경제의 변화된 특징 및 지역격차가 북한체제에 주는 함의를 파악한다. 그 결과 북·중 접경지역 사람들은 4인 가족 기준으로 한 달에 북한 돈 100-130만 원 이상의 소득이, 내륙지역 사람들은 80-96만 원 이상의 소득이 있어야 중류층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평양의 소득 290여만 원과 차이를 보였다. 북한에 시장화가 더욱 진전되면서 평양과 지방, 지방 내에서도 북·중 접경지역과 내륙지역, 도시와 농촌간의 빈부격차가 상당히 심화되었으며 고착현상이 뚜렷했다. 이러한 지역 간 격차는 체제전환 혹은 통...
TAG 비평양주민, 가처분소득, 소비생활, 시장화, 지역격차, Non-Pyongyang Citizens, Disposable income, Consumer life, Marketization, Regional gap
독일통일을 통해 본 남북한 인구통합 전망
최지영 ( Choi-jiyoung )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학회보 [2020] 제24권 제2호, 75~101페이지(총27페이지)
본 연구는 독일통일 이후 나타난 출산율과 기대여명의 변화를 남북한 인구통합에 적용하여, 한반도의 미래인구 변화에 대한 전망을 시도했다. 독일 통일 이후 30년동안 동서독 지역간 합계출산율과 기대여명 격차는 점진적으로 축소되었다. 그러나 통일 직후 나타난 출산율과 기대여명 변화는 독일의 고령화를 심화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통일이후 남북한 인구추계에는 유엔세계인구전망 자료를 이용하였고, 북한지역의 출산율과 기대여명 변화에 대한 시나리오에 코호트 요인법(Cohort Component Method)을 적용하였다. 시나리오는 독일통일 사례와 남북한 특수성을 각각 반영하고자 했다. 독일의 경우 통일 이후 동독지역의 출산율이 절반수준으로 하락하고 기대여명이 서독수준으로 수렴하였는데, 이를 반영하여 통일 이후 북한지역의 출산율이 하락하고 기대여명이 남한수준으로 수렴하는...
TAG 남북한 통일, 독일 통일, 인구고령화, 출산율 충격, 코호트요인법, Population aging, Korean reunification, German reunification, Cohort component method, Fertility shock
김정은체제 하 북한의 안보정책 진단: ‘위협인식’과 대응을 중심으로
김연수 ( Kim Yeon-su )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학회보 [2020] 제24권 제2호, 103~138페이지(총36페이지)
이 글은 김정은체제하의 북한의 안보정책의 변화의 흐름을 탐색하고 있다. 기본주장은 김정은체제하의 북한의 안보정책은 핵무력건설에 집중했던 병진노선의 전략노선으로부터 ‘국가핵무력 건설 완성’ 선언 이후의 대외관계개선에 나서게 되는 경제건설총노선의 시기로 변화되어왔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는 북한의 소위 ‘전략국가’ 인식하의 당면한 안보환경에 대한 새로운 인식으로부터 비롯되었는바 외부 ‘위협인식’의 완화에 바탕하고 있다는 것이다. 향후 북한의 안보정책은 기본적으로 이러한 ‘전략국가’ 인식에 기초한 경제건설 총노선에 맞춰 대외관계개선의 길로 나아갈 것이라는 점을 주장하고 있다.
TAG 북한의 안보정책, 안보환경, 위협인식, 전략국가, 전략적 선택, North Korea’s Security Policy, security environment, threat perception, nuclear power status, strategic choice
북한 문학비평논쟁의 리얼리즘과 당(黨)적 원칙의 길항 : 『문학신문』의 「개나리」 ‘지상토론’(1960)의 비판적 분석
김성수 ( Kim Seong-su )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학회보 [2020] 제24권 제2호, 139~167페이지(총29페이지)
이 글은 북한 소설 「개나리」에 대한 비평 논쟁(1960)에 나타난 리얼리즘과 당(黨)문학 원칙의 길항을 분석한다. 이는 남북 통합 ‘코리아 문학사’ 서술을 위한 북한 문학비평사 연구의 일환이다. 북한의 공식 입장인 ‘주체문학으로의 일방적 도정’이라는 유일담론과 차별화된, 주체사상 이전의 사회주의 리얼리즘 비평사(1945~67)를 실체적 재구성의 한 부분이다. 구체적으로는 변희근의 단편소설 「개나리」(1960.5)를 둘러싼 『문학신문』의 ‘지상토론’란(1960.7)의 논쟁을 발굴, 분석하였다. 6.25전쟁 때 아들을 잃은 어머니의 심리적 상처를 사실적으로 그린 이 작품을 두고 평론가, 독자들의 비판이 쏟아져 나왔다. 10년 전 죽은 아들에 대한 비애 때문에 주변사람들을 힘들게 하고 복구 건설의 상징인 새 아파트로 이사도 안 하는 주인공 삼녀의 형상이, ...
TAG 북한문학, 개념사, 매체연구, 『문학신문』, 변희근, 「개나리」, 사회주의 리얼리즘, ‘도식주의 비판’ 논쟁, ‘코리아 문학’, North Korean literature, Conceptual History, Media Studies, Literature Newspaper, Hee-geun Byun, “Forsythia, 개나리, , Socialist realistic creative method, ‘criticism of schematism’ debate, ‘One Korea Literature’
북한의 시각정치적 언어에 나타난 신화적-초현실주의적 리얼리즘 연구
박상희 ( Park Sang Hee )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학회보 [2020] 제24권 제2호, 169~200페이지(총32페이지)
북한은 시각정치적 언어에서 주체사실주의를 표방하고 있으나, 그 본질적인 의미에서는 신화적이고 초현실주의적인 특성을 함의하고 있다. 북한의 신화적-초현실주의적 리얼리즘은 그 내용과 형식면에서 독특한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내용면에서는 사실과 환영의 중첩, 살아있음과 죽음의 중첩을 드러내는데, 엄밀히 말하면 가상적이고 허구적인 환영의 리얼리즘이며 지도자의 초월성을 가시화하는 신화적 리얼리즘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형식면에서는 묵시적 몽타주 기법과 지도자-인민의 관계를 대인-소인의 신체 재현 기법으로 재현하는 초현실주의적이면서 사회주의 리얼리즘이 혼합된 형식을 보여주고 있다. 더불어 본 연구는 소련의 도상과 북한의 도상을 비교하는 방식을 통해서도 북한의 리얼리즘의 특성을 분석한다. 예술의 본질적인 기능은 현실을 초월하는 것인데, 이것은 예술과 정치적 실천 사이...
TAG 리얼리즘, 사회주의 리얼리즘, 주체사실주의, 신화적 리얼리즘, 초현실주의적 리얼리즘, Realism, Socialist Realism, Juche Realism, Mythical Realism, surrealistic realism
북한 대중예술 및 미디어 보도의 표현분석을 통한 협동 농장 정책 연구: 분조의 주인과 로동신문을 중심으로
임채환 ( Lim Chehwan ) , 안동환 ( An Donghwan )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학회보 [2020] 제24권 제2호, 201~236페이지(총36페이지)
2000년대 이후 북한은 경제난을 타개하기 위하여 여러 경제 개혁 조치를 시행하고 있으며, 농업 분야에서도 각종 농업정책이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북한은 여전히 세계 최빈국 수준이며, 식량 증산에 실패하여 만성적 결핍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는 북한의 대중예술(영화 분조의 주인)과 미디어 보도(로동신문)를 활용하여 북한 당국이 선전하는 농업 정책과 실질적인 성과를 미시적 단위(협동농장)에서 살펴본다. 통계와 수치자료에 기반하지 않은 정성적 분석 방법은 연구의 한계이지만, 동시에 북한의 정량적 자료가 제약된 상황 하에서 북한의 농정(협동농장) 실태를 조망하고, 변화를 추적하기 위하여 시도된 노력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분석 결과, 영화에 반영된 과거(2012년)와 로동신문에 나타난 최근(2015~2020년) 동안 협동농장 운영에 관한 표현은 유...
TAG 북한 영화, 로동신문, 협동농장, 북한의 농업정책, North Korea Movie, Rodong Sinmun, Cooperation Fam, North Korea Agricultureal Policy
‘분단의 마음’에 대한 심리적 조명 연구: 혐오 정동과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이형종 ( Lee Hyungjong )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학회보 [2020] 제24권 제2호, 237~261페이지(총25페이지)
본 연구는 우리 사회의 마음을 이해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남북 마음의 통합을 위해 먼저 서로 다른 마음의 구조를 이해하고 그 면면을 성찰해야 하기 때문이다. 분단에서 비롯된 마음이 어떠한 방식으로 혐오 정동과 관련되는지에 주목하여, 신자유주의로 표방되는 자본주의의 불확실한 생존 상황에서 편집증적 상태로 변해가는 과정의 인지적·정서적 특징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구체적으로 분단적대성과 생존주의의 상호작용이 편집증의 심화와 자기애적 손상으로 결착하는 과정에 대해 논의하였다. 우리 사회의 파편화된 마음을 심리적 층위에서 고찰할 때의 이점은 현상과 원인에 대해 이해함으로써 치유의 가능성을 가늠할 수 있다는 데 있다. 이를 통해 타자와의 진정한 관계맺기를 실천하기 위해 먼저 우리의 수치심을 인정하고 서로에게 의존할 수 있는 용기를 내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TAG 북한, 사회적 마음, 분단적대성, 생존주의, 혐오, North Korea, Social emotion, Division Antagonism, Survivalism, Hatred
한국분단사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남북한 중등 역사교육과정과 고등학교 역사교과서 분단사 비교-
한상철 ( Han Sang-chul )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학회보 [2020] 제24권 제2호, 263~295페이지(총33페이지)
이 글의 목적은 한국의 분단을 역사적으로 통찰하려면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지 모색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남북한의 분단사 인식을 비교하기 위한 분석틀로 카아의 방법론과 백워드 설계이론에 기초한 ‘한국분단사 모형’을 제시했다. ‘한국분단사 모형’은 한국분단사를 ‘분단의 기원(1917~1945)’, ‘분단국가 수립기(1945~1948)’, ‘체제경쟁과 한국전쟁(1948~1953)’, ‘남북한의 독자적 발전기(1953~현재)’, ‘남북관계사(1953~현재)’로 구분하고 시기별 학습목표와 중요내용을 선정했다. 또한 ‘한국분단사 모형’을 근거로 ‘남북한 중등학교 역사교육과정’과 ‘고등학교 역사교과서’의 분단사를 비교 분석하고, 균형 있는 한국분단사 인식을 위해서는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 지 살펴보았다.
TAG 한국분단사, 교육과정, 역사교과서, 남한사, 북한사, Korean Division History, Curriculum, History Textbook, South Korean History, North Korean History
북한출신여성의 ‘다문화’ 인식 및 경험과 그 함의
이수정 ( Lee Soo-jung )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학회보 [2020] 제24권 제1호, 1~31페이지(총31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북한출신주민들의 ‘다문화’ 관련 태도 및 경험을 살펴보고 그 함의를 분석함으로써, 한국사회 이주민 통합 정책과 관련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북한출신여성과의 FGI와 심층면담을 중심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여, 결과를 맥락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북한출신여성들은 ‘다문화’를 ‘열등한 이민족 이주자 집단’을 가리키는 개념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동시에 정부의 정책 지원대상자로서 연민의 대상인 동시에 북한출신 주민보다 많은 지원을 받는다는 이해 위에서 질시의 대상이기도 한 존재들로 위치시켰다. 이러한 인식의 배경에는 ‘다문화’를 문화적 · 종족적 소수자를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하여 결과적으로 낙인화 효과를 불러일으켜 온 한국사회의 정책과 담론의 영향이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북한출신여성들의 ‘다문화’ 관련 인식 및...
TAG 북한출신주민, 북한이탈주민, 북한출신여성, 다문화 인식, 다문화 정책, North Korean migrants, women from North Korea, North Korean defector, perceptions of tamunwha, multiculture, Multicultural policie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