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환경생태학회3293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칠산도 노랑부리백로 유조의 이소 후 하절기 행동권
손석준 ( Seok-jun Son ) , 오정우 ( Jung-woo Oh ) , 현보라 ( Bo-ra Hyun ) , 강정훈 ( Jung-hoon Kang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21] 제35권 제2호, 98~105페이지(총8페이지)
번식지에서 이소하여 분산한 유조의 이동 패턴과 서식지를 파악하는 것은 개체 보전과 관리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노랑부리 백로는 국제적인 보호종으로 필리핀, 말레이시아, 대만 등지에서 월동하며, 중국, 러시아, 우리나라 서해 무인도서에서 번식한다. 본 연구에서는 2018년도와 2019년도에 영광 칠산도에서 번식하여 이소한 노랑부리백로 유조 총 6개체를 대상으로 야생동물위치추적장치를 부착하여 이소 후 하절기 동안 이동 경로 및 행동권 분석을 통해 주요 서식지 이용 양상을 파악하였다. 2018년도에 번식한 노랑부리백로 유조 3개체 중 CE1801 개체는 이소 후 북상을 하다가 다시 영광 백수 갯벌 지역으로 회귀하여 서식하였으며, 나머지 CE1802, CE1803 개체는 태안 지역으로 북상하여 서식하였다. 2019년도의 경우 CE1901개체는 CE1801 ...
TAG 보전, 서식지, 야생동물위치추적장치, 백수 갯벌, 이동, CONSERVATION, HABITAT, GPS TELEMETRY DEVICE, BAEKSU TIDAL FLAT, MIGRATION
낙남정맥의 서식지 유형별 조류 군집 분석
황종경 ( Jong-kyeong Hwang ) , 한승우 ( Seung-woo Han ) , 조해진 ( Hae-jin Cho ) , 남형규 ( Hyung-kyu Nam ) , 유성연 ( Sung-yeon Yoo ) , 권인기 ( In-ki Kwon ) , 이준우 ( Joon-woo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21] 제35권 제2호, 106~114페이지(총9페이지)
본 연구는 낙남정맥의 체계적인 관리 및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낙남정맥의 6개의 중점조사지역(길마재, 천왕산, 여항산, 무학산, 천주산, 신어산)에서 지형, 환경특성 등을 고려하여 각 지점별로 조류 서식지 유형별 2개씩의 고정조사구를 선정하여 2018년 5월부터 10월까지 수행하였다. 낙남정맥 6개의 중점조사지역을 조사한 결과 총 48종 1,181개체의 조류가 확인되었다. 서식지 유형별 조류 출현종은 개발지에서 35종 567개체로 가장 많았으며 종다양도는 임도에서 2.66로가장 높았다. 낙남정맥의 서식지 유형별 영소길드 분석결과(Pearson Chi-square test, χ2=16.681, p<0.05) 개발지, 계곡부, 임도 모두 수관층(Canopy) 영소길드에 속한 군집의 빈도가 높았다. 채이길드 분...
TAG 개발지, 계곡부, 임도, 영소길드, 채이길드, DEVELOPMENT, VALLEY, FOREST ROAD, NESTING GUILD, FORAGING GUILD
추령천에 서식하는 가시납지리, Acheilognathus chankaensis (Pisces: Acheilognathinae)의 개체군 생태
김형수 ( Hyeongsu Kim ) , 김수환 ( Suhwan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21] 제35권 제2호, 115~125페이지(총11페이지)
본 연구는 전라북도 순창군 복흥면 추령천 일대에서 2006년 2월부터 2007년 5월까지 가시납지리의 개체군 생태조사를 실시하였다. 가시납지리는 물의 흐름이 느리고 하상이 주로 모래, 뻘, 잔자갈의 비율이 높은 수역에서 서식하였다. 체장빈도분 포법으로 연령을 추정한 결과, 체장 30~46㎜ 군은 만 1년생, 47~58㎜ 군은 만 2년생, 59~68㎜ 군은 만 3년생, 69㎜이상 군은 만 4년생 이상으로 추정되었다. 생식소성숙도지수(GSI)는 3월(암: 12.9%, 수: 5.0%)에 가장 높았고, 산란관길이/체장(Ovipositor length/Standard length)의 비율(%)은 4월(46.3%)에 가장 높았다. 성숙란인 1.6㎜ 이상 크기의 난경이 차지하는 비율은 5월(13.2%)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산란기 특성을 종합적...
TAG 산란특성, 산란시기, 생식도성숙도, 납자루아과, SPAWNING CHARACTERISTICS, SPAWNING SEASON, GONADOSOMATIC INDEX, BITTERLING
생장량 분석을 기반으로 한 수변지역 식재수목의 집중관리시기 설정 연구 - 낙동강 수변생태벨트의 식재 소나무를 중심으로 -
이수동 ( Soo-dong Lee ) , 강현경 ( Hyun-kyung Kang ) , 송광섭 ( Kwang-seop Song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21] 제35권 제2호, 126~134페이지(총9페이지)
식재된 수목이 활착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은 수종별로 차이가 있기 때문에 개별 수종에 대한 생장량 변동 추이 분석을 통해 관리 기간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수변생태벨트 조성 지역에 식재된 소나무의 연간 생장량 변화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관리 기간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생장량을 분석한 결과, 식재 전에는 평균 0.6㎝, 식재 후 1~2년차 0.3㎝, 3~4년차 0.5㎝, 5년차 이후에는 약 0.7㎝ 내외였다. 식재된 소나무의 생장량은 1~2년차 생장 불량, 3~4년차 회복 단계를 거쳐, 5년차부터 정상 생장 단계가 확인되었기 때문에 활엽수와는 달리 최소 4년은 집중관리가 필요한 기간으로 판단되었다. 수목별 활착에 필요한 기간은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생장량 연구를 통해 수종별 관리 기간을 설정해야 할 것이다.
TAG 관리 기간, 연간 생장량 분석, 정상 생장 단계, 생장량 연구, MANAGEMENT PERIOD, ANALYSIS OF THE ANNUAL GROWTH, NORMAL GROWTH STAGE, GROWTH RESEARCH
비무장지대 남방한계선 불모지 초본식생구조 특성
유승봉 ( Seung-bong Yu ) , 김상준 ( Sang-jun Kim ) , 김동학 ( Dong-hak Kim ) , 신현탁 ( Hyun-tak Shin ) , 박기쁨 ( Gippeum Bak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21] 제35권 제2호, 135~153페이지(총19페이지)
비무장지대는 한반도 동-서 248km를 횡단하는 군사분계선을 기준으로 남, 북 각각 2㎞씩 무장이 금지된 지역이다. 그 중 남쪽으로 2㎞ 떨어진 경계를 남방한계선이라고 한다. 비무장지대는 정전협정 이후 자연천이과정을 거치며 독특한 생태계를 형성한 지역으로 보전가치가 높다. 그러나 남방한계선 철책주변과 일부 지역은 군작전수행을 위한 각종 시설이용과 제초작업으로 인한 훼손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훼손된 불모지 식생복원을 위한 기초자료 마련을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불모지 식생구조 파악을 위해 지표종을 중심으로 식생군락을 분류한 결과 뱀딸기군락, 비비추군락, 기린초-돌나물군락, 가락지 나물군락, 양지꽃군락, 꿀풀군락, 구절초-그늘사초군락, 산구절초군락, 질경이-토끼풀군락, 좀씀바귀-매듭풀군락 등 10개 군락으로 구분되었다. 남방한계선 내 불모...
TAG DMZ철책, 훼손지역, 군집분석, 지표종, 종다양도, DMZ BARBED WIRE FENCE, DAMAGED AREA, CLUSTER ANALYSIS, INDICATOR SPECIES, SPECIES DIVERSITY
MaxEnt 분석을 통한 한반도 특산식물 개느삼 서식 가능지역 분석
안종빈 ( Jong-bin An ) , 성찬용 ( Chan Yong Sung ) , 문애라 ( Ae-ra Moon ) , 김소담 ( Sodam Kim ) , 정지영 ( Ji-young Jung ) , 손성원 ( Sungwon Son ) , 신현탁 ( Hyun-tak Shin ) , 박완근 ( Wan-geun Park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21] 제35권 제2호, 154~163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는 한국 특산식물이고, IUCN Red List의 EN(위기종) 등급에 속하는 개느삼을 대상으로 자생지 분포, 자생지 분포 예측을 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개느삼의 자생지 분포 조사 결과, 강원도 양구군 13곳, 인제군 3곳, 춘천시 2곳, 홍천군 1곳 총 19곳에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북쪽 자생지는 양구군 임당리, 동쪽 인제군 한계리, 서쪽 춘천시 지내리, 남쪽 홍천군 성동리로 각각 확인되었다. 개느삼 자생지의 해발고도는 169-711m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평균 해발고도는 375m로 조사되었다. 개느삼 자생지의 면적은 8,000-734,000㎡인 것으로 분석되었고, 평균 202,789㎡로 조사되었다. 대부분의 개느삼 자생지는 간벌, 가지치기 등과 같은 숲가꾸기가 이루어진 곳으로 조사되었다....
TAG 희귀식물, 콩과, MaxEnt, 자생지, 양구군, RARE PLANTS, FABACEAE, MAXENT, HABITAT, YANGGU-GUN
식물군락구조와 사회연결망분석을 통한 식물사회네트워크 분석 - 무등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
장정은 ( Jung-eun Jang ) , 이상철 ( Sang-cheol Lee ) , 강현미 ( Hyun-mi Kang ) , 유승봉 ( Seung-bong Yu ) , 신해선 ( Hae-seon Shin ) , 최송현 ( Song-hyun Choi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21] 제35권 제2호, 164~180페이지(총17페이지)
환경과 식물, 식물과 식물 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식물사회를 이해하기 위해 식물사회학적 방법과 사회연결망 분석을 결합한 식물사회네트워크 분석이 연구되고 있다. 식물사회네트워크는 다양한 환경에서의 식물사회 분석과 기존의 종간결합분석 방법과 비교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무등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식생구조분석을 실시하고 기존의 종간결합분석과 식물사회 네트워크를 비교 하였다. 식생조사를 위해 옛길 2구간을 대상으로 60개 조사구를 설치하여 매목조사를 실시하였다. TWINSPAN과 DCA 분석결과 60개 조사구는 해발고 800m를 기준으로 졸참나무-소나무군락(군락Ⅰ), 신갈나무군락(군락Ⅱ)으로 나누어졌다. 출현빈도 30%이상인 수종 간 상관관계분석과 DCA분석을 실시한 후 각 군락별 주요수종을 중심으로 결과를 비교하였는데, 졸참나무와 소나무, 신갈나무는 각각 -0.4...
TAG 관계, Pearson 상관계수, 식물사회네트워크, RELATION,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DCA, TWINSPAN, PLANT SOCIAL, NETWORK
무등산국립공원 서석대 탐방구간의 탐방예약제 시행에 대한 탐방객의 인식
김상미 ( Sang-mi Kim ) , 김상오 ( Sang-oh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21] 제35권 제2호, 181~192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는 탐방예약제(Visitor reservation system: VRS) 도입의 필요성이 거론되고 있는 무등산국립공원의 서석대 탐방구간(Seoseokdae Trail Section: STS)을 대상으로 VRS에 대한 탐방객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데이터는 2019년 5월 중 STS를 이용하는 248명의 탐방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되었다. 전 응답자의 86.9%가 STS에서의 전반적 탐방경험의 질을 높게 평가하였다. 또한 43.0%의 응답자가 VRS에 대하여 알고 있었으며 정보입수 경로는 인터넷이 49.7%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주변인(18.4%), 방송매체(17.7%)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 응답자의 69.9%가 VRS 시행이 STS 관리개선에 효과가 있...
TAG 정보입수경로, VRS 시행에 대한 지지도, 인터넷 친숙성, 예약절차, VRS에 대한 지식정도, VRS의 관리 효과성, SOURCE OF INFORMATION, SUPPORT FOR THE IMPLEMENTATION OF VRS, INTERNET FAMILIARITY, RESERVATION PROCEDURES, LEVEL OF KNOWLEDGE ABOUT THE VRS, PERCEIVED MANAGERIAL EFFECTIVENESS OF THE VRS
개발영향과 멸종위기종의 서식적합성을 고려한 보전 우선순위 선정
모용원 ( Yongwon Mo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21] 제35권 제2호, 193~203페이지(총11페이지)
인간의 개발로 점차 멸종위기 생물종이 증가하고 있어, 충분한 보호지역의 선제적 확보가 중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개발영향을 고려했을 때 앞으로 보호지역 선정 시 고려해야 할 보전 우선순위지역을 확인하였다. 보전 우선순위 도출은 보전계획 의사결정 지원 소프트웨어인 MARXAN을 이용하여 기존 보호지역 포함 여부와 개발영향 반영여부를 기준으로 총 네 가지의 시나리오로 분석하였다. 개발영향은 개발면적 비율, 인구밀도, 도로망 체계, 교통량을 이용하여 도출하였으며, 생물종 보전 대상 지역은 제 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자료의 조류, 포유류, 양서파충류의 출현자료를 이용하여 도출한 서식적합지역을 이용하였다. 이 두 가지 요인을 입력 자료로 기계학습 기반 최적화방법론을 이용하여 보전 우선순위 지역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멸종위기 생물종을 보전하는...
TAG 인간의 영향, 멸종위기종, 보호지역, 체계적인 보전계획, ANTHROPOGENIC DISTURBANCE, THREATENED SPECIES, PROTECTED AREA, MARXAN, SYSTEMATIC CONSERVATION PLANNING
거제도 가라산·노자산 일대 낙엽활엽수림의 생태적 특성 규명
이수동 ( Soo-dong Lee ) , 조봉교 ( Bong-gyo Cho ) , 이광규 ( Gyounggyu Lee ) , 염정헌 ( Jung-hun Yeum ) , 오충현 ( Chung-hyeon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21] 제35권 제2호, 204~219페이지(총16페이지)
본 연구는 남해안에 분포하는 양호한 산림 식생의 복원과 관리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측면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변화 경향을 파악하고자 가라산과 노자산 서사면에 분포하는 식생의 식물군집구조 특성을 조사ㆍ분석하였다. 86개 조사구를 대상으로 군락을 분류한 결과, 저지대를 중심으로 분포하는 곰솔-굴피나무군락, 곰솔-소나무군락, 계곡부 및 전석지대를 중심으로 출현하는 개서어나무-낙엽활엽수군락, 때죽나무-낙엽활엽수군락, 고로쇠나무-낙엽활엽수군락, 낙엽활엽수군락, 느티나무군락, 상대적으로 해발고가 높고 급경사 사면에 분포하는 졸참나무군락, 졸참나무-때죽나무군락, 때죽나무-소사나무군락, 참회나무군락으로 유형화되었다. 천이경향상 상록침엽수는 낙엽활엽수로의 천이가 진행될 것이나 수령이 약 50년인 개서어나무, 느티나무, 고로쇠나무 등 낙엽활엽교목림은 층위구조가 발달되었을 뿐만 아...
TAG 환경요인, 천이경향, 식생구조, 경쟁, Environmental Factor, Succesion trends, Vegetation structure, Competition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