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대한골절학회 AND 간행물명 : 대한골절학회지2338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고령의 환자에서 발생한 대퇴 경부 부전골절의 임상결과 및 방사선학적 특징
예희욱 ( Hee-uk Ye ) , 이경재 ( Kyung-jae Lee ) , 민병우 ( Byung-woo Min ) , 임경환 ( Kyung-hwan Lim ) , 김범수 ( Beom-soo Kim ) , 김영훈 ( Young-hoon Kim )  대한골절학회, 대한골절학회지 [2021] 제34권 제1호, 1~7페이지(총7페이지)
목적: 고령 환자에서 외상력 없이 발생하는 대퇴 경부 부전골절은 진단과 치료에 어려움이 있어 골절을 조기에 의심하는 것이 강조되고 있다. 저자들은 대퇴 경부 부전골절의 임상결과와 대퇴골 근위부의 구조 및 형태를 외상성 대퇴 경부 골절과 비교하여 특징을 찾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0년 12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70세 이상 환자에서 발생한 12예의 대퇴 경부 부전골절 환자(제1군)와 외상성 대퇴 경부 골절 환자 50예(제2군)를 대상으로 하였다. 인구학적 정보와 단순 방사선 검사에서 계측한 피질 두께, 대퇴 골두 지름, 대퇴 경부 폭, 대퇴골 전자부 폭, 근위 대퇴골간부의 폭, 대퇴골 경간각 및 고관절 축 길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12예 중 7예가 비전위 골절이었으며, 증상 발생 후 골절의 진단까지 평균 19.2일이 소요되었...
TAG Femoral neck, Insufficiency fracture, Simple radiographic measurement, 대퇴 경부, 부전골절, 단순 방사선 사진
족관절 삼과 골절에서 작은 후과 골편에 대한 나사못 고정과 비고정의 결과 비교
고지욱 ( Jee-wook Ko ) , 이건우 ( Gun-woo Lee ) , 이근배 ( Keun-bae Lee )  대한골절학회, 대한골절학회지 [2021] 제34권 제1호, 8~15페이지(총8페이지)
목적: 족관절 삼과 골절에서 관절면의 25% 이내를 침범하는 작은 후과 골편에 대한 나사못 고정술 여부에 따른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후과 골편이 관절면의 15%-25%를 침범한 총 32예(32명)를 대상으로 내고정 여부에 따라 두 군(고정군 20예, 비고정군 12예)으로 분류하였으며, 최소 추시 기간은 12개월이었다. 고정군과 비고정군에서 후과 골편 크기의 중앙값은 각각 24.6% (범위 22.3%-25.0%)와 22.1% (범위17.4%-24.3%)였다. 두 군 간의 임상적 및 방사선적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상, 두 군 간 AOFAS ( p=0.501), VAS (p=0.578), 족관절 운동 범위(p=0.552) 등의 임상적 결과의 차이는 없었다. 방사선적 분석 결과로 두 군 간 관절면...
TAG Ankle, Posterior malleolus fracture, Small-sized fragment, Screw fixation, Non-fixation, 족관절, 후과 골절, 작은 골편, 나사못 고정술, 비고정
개방성 관절내 분쇄 원위 요골 골절에 1차적 관혈적 정복술 및 금속판 내고정 수술
이준구 ( Jun-ku Lee ) , 이순철 ( Soonchul Lee ) , 조원민 ( Weon Min Cho ) , 길민규 ( Minkyu Kil ) , 한수홍 ( Soo-hong Han )  대한골절학회, 대한골절학회지 [2021] 제34권 제1호, 16~22페이지(총7페이지)
목적: 개방성 원위 요골 골절의 치료에 있어 수술 술기의 적용은 술자의 경험과 선호에 따라 달라진다. 이 연구의 목적은 개방형 AO-OTA 분류 C3 원위 요골 골절에서 일차적 관혈적 정복 및 수장판 금속 고정술을 한 그룹을 폐쇄성 그룹과 비교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본 후향적 연구는 2010년 1월 1일부터 2018년 12월 31일까지 18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AO-OTA C3원위 요골 골절만을 포함하였다. 전체 13예의 개방성과 203예의 폐쇄성 원위 요골 골절의 두 그룹으로 나누었다. 환자 특성 및 치료 관련 요인에 대한 데이터를 추가로 조사하였다. 방사선학적 평가로 골유합 시간을 확인하였고, 기타 요골 높이, 요골 경사, 수장측 경사를 측정하였다. 최종 추시 관찰에서 손목 ROM, VAS 점수 및 기능에 대한 MM...
TAG Distal radius, Open fracture,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Volar locking plate, 원위 요골, 개방성 골절, 관혈적 정복술 및 내고정술, 수장측 잠김 나사 금속판
중수골 기저부 및 경부 골절에서 K-강선을 이용하여 만든 Staple 고정술의 치료 결과
진홍기 ( Hong-ki Jin ) , 김형민 ( Hyoung Min Kim ) , 오용승 ( Yong Seung Oh ) , 김지훈 ( Jihoon Kim )  대한골절학회, 대한골절학회지 [2021] 제34권 제1호, 23~29페이지(총7페이지)
목적: 중수골 기저부 및 경부 골절의 치료에서 K-강선 staple 고정술의 방사선학적 및 임상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6년 11월부터 2017년 5월까지 도수정복이 제한되는 중수골 기저부 및 경부의 불안정 골절을 최소절개를 통한 개방적 정복 후 K-강선 staple로 고정한 13예(10명)의 방사선학적 및 임상적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각 골절에 평균 2.6개의 staple로 고정하였고 각형성은 술 전 36.3도에서 술 후 3.1도로 교정되었다. 술 후 1주에 능동관절운동을 시작한 뒤 방사선학적 골유합은 5.1주에 확인하였고 7.4주에 정상운동범위를 회복하였다. Staple은 16.5주에 제거하였고 치료기간은 18.6주 소요되었다. 최종 추시(27.3주)에서 운동범위와 파악력은 건측과...
TAG Metacarpal fracture, Neck, Base, Staple, Open reduction, 중수골 골절, 경부골절, 기저부골절, 스테이플러, 해부학적 정복
비구 횡 골절에서 골편들 사이 포착으로 인한 상둔 동맥의 잠복 손상 - 증례 보고 -
최혁진 ( Hyuk Jin Choi ) , 김병철 ( Byung Chul Kim ) , 권훈 ( Hoon Kwon ) , 장재훈 ( Jae Hoon Jang )  대한골절학회, 대한골절학회지 [2021] 제34권 제1호, 30~33페이지(총4페이지)
상둔 동맥은 내 장골 동맥으로부터 분지되어 좌골 절흔을 통해 골반 외측으로 위치하여 좌골 절흔을 침범한 골반 골절에서 손상의 위험이 있다. 손상이 있는 경우 혈역학적 불안정성을 보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적절한 평가와 처치가 이루어 져야 한다. 그러나 잠복 양상의 손상으로 초기에 진단이 간과 된다면 수술 중에 대량의 출혈을 야기할 수 있어 지혈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에 저자들은 좌골 절흔 주위를 침범한 비구 횡 골절에서 골편 사이에 상둔 동맥이 포착되어 초기에 손상이 간과되었던 증례를 경험하였고, 이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TAG Pelvic fracture, Sciatic notch, Superior gluteal artery injury, 골반 골절, 좌골 절흔, 상둔 동맥 손상
소아 고관절 경부 골절
한주형 ( Joo Hyung Han ) , 박훈 ( Hoon Park )  대한골절학회, 대한골절학회지 [2021] 제34권 제1호, 34~43페이지(총10페이지)
소아의 대퇴골 경부 골절은 드물지만 높은 빈도의 합병증을 보인다. 소아의 근위 대퇴골의 골 해부학 및 혈관 해부학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바탕으로 접근해야 합병증의 빈도를 낮출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강한 외력에 의해 발생하지만 병적 골절도 발생할 수 있다. Delbet 분류는 무혈성 괴사의 발생 가능성과 골절 형태를 연결한 근위 대퇴골 골절의 분류법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하여 Delbet의 분류에 따른 각 골절의 최적의 치료 방법을 선택하여야 한다. 최신의 표준 치료는 수상 초기의 해부학적 정복 및 내고정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전위된 골절에 대해 24시간 이내에 해부학적으로 완벽한 정복을 얻는 것이 예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비록 관절낭 갑압술의 효과는 불분명하지만 관절낭 흡입술 등의 간단한 술식을 이용하여 관절낭 감압...
TAG Femoral neck fractures, Fracture fixation, Avascular osteonecrosis, 대퇴 경부 골절, 골절 고정, 무혈성 괴사
소아 주관절 주위 골절
김태훈 ( Taehun Kim ) , 조재호 ( Jaeho Cho ) , 정승민 ( Seungmin Chung )  대한골절학회, 대한골절학회지 [2021] 제34권 제1호, 44~49페이지(총6페이지)
소아 주관절 주변 골절에 대한 최신 지견 및 진단 치료에 대한 연구이다. 최신 소아정형외과 교과서 및 발간된 논문을 참조하여 주관절부 골절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였다. 소아 상완골 과상부 골절, 외과 골절, 근위 요-척골 골절에 대하여 각 골절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최신 지견을 축약하였다. 소아주관절부 골절은 다른 동반 손상 및 골절에 대한 정밀한 검사와 치료를 요한다. 소아 환자들은 성장 잠재력이 있어 정확한 치료를 요한다.
TAG Pediatrics, Supracondyle, Lateral condyle, Proximal radius, Proximal ulna, Fracture, 소아, 골절, 상완골 과상부, 상완골 외과, 근위 척골, 근위 요골
골다공증성 고관절 골절 수술 후 반대측의 2차 고관절 골절의 위험인자
이경재 ( Kyung-jae Lee ) , 최정훈 ( Jung-hoon Choi ) , 예희욱 ( Hee-uk Ye ) , 김영훈 ( Young-hun Kim ) , 임경환 ( Kyung-hwan Lim )  대한골절학회, 대한골절학회지 [2021] 제34권 제2호, 51~56페이지(총6페이지)
목적: 골다공증성 고관절 골절 수술 후 발생한 새로운 고관절 골절(2차 골절)의 특성과 위험인자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 2008년 3월부터 2016년 2월까지 골다공증성 고관절 골절로 수술한 이후 추시상 반대측 고관절의 2차 골절이 발생한 68명(실험군)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이들을 일측에만 골다공증성 고관절 골절이 발생하여 수술한 475명(대조군)과 나이, 성별, 체질량지수, 골밀도, 골다공증약 복용력, 골절 과거력, 동반 질환, 수술 방법, 수술 전후 보행 능력, 수술 후 섬망 여부에 대하여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두 군 간의 나이, 성별, 체질량지수, 골밀도, 골다공증약 복용력, 동반 질환, 골절 형태, 수술 방법, 수술 후 섬망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첫 수술 후 3개월째 평가한 보행 능...
TAG Hip, Fracture, Subsequent injury, Risk factor, 고관절, 골절, 2차손상, 위험인자
대퇴 전자부 골절에 있어 U-Blade를 이용한 감마정과 Zimmer Natural Nail의 치료 비교
서재성 ( Jae Sung Suh ) , 류형곤 ( Hyung-gon Ryu ) , 노영주 ( Young Ju Roh ) , 신대원 ( Dae Won Shin ) , 김상민 ( Sang-min Kim )  대한골절학회, 대한골절학회지 [2021] 제34권 제2호, 57~63페이지(총7페이지)
목적: 대퇴 전자간 골절 치료에 있어 U-blade 3세대 감마정과 ZNN의 치료 결과를 임상적, 방사선학적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5년 7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대퇴 전자간 골절로 수술한 환자군 129예(U-blade감마정 90예, ZNN 39예) 중 65세 미만, 보행 불가자, 고에너지 및 병적골절, 6개월 미만 추시자 제외 후 선택편향을 줄이기 위해 나이, 체질량지수, 골밀도, 골절 유형을 기준으로 성향점수매칭을 시행하여 각각 39예를 선출하였다. 임상적으로 수술시간, 출혈량, 술 전후 보행 정도, HHS를 평가하였고 방사선학적으로 정복의 안정성, 지연나사 고정 위치 및 대퇴골두 천공, 활강거리, TAD, 골유합 기간 등을 비교하였다. 결과: 임상적으로는 두 군 간 차이가 ...
TAG Femur, Intertrochanteric fractures, U-blade Gamma3 nail, Zimmer natural nail, 대퇴, 전자간 골절, U-blade감마정
골수강내 금속정을 시행한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좌, 우측에서 근위부 정복 비교
오현철 ( Hyun Cheol Oh ) , 하중원 ( Joong Won Ha ) , 박융 ( Yung Park ) , 박상훈 ( Sang Hoon Park ) , 윤한국 ( Han Kook Yoon )  대한골절학회, 대한골절학회지 [2021] 제34권 제2호, 64~70페이지(총7페이지)
목적: 골수강내 금속정을 이용하여 수술한 고령의 대퇴부 전자간 골절에서 우측과 좌측을 구분하여 지연나사의 삽입이 근위 골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2년 2월부터 2016년 5월까지 대퇴부 전자간 골절로 골수강내 금속정 수술을 시행한 65세 이상 환자에서 우측과 좌측으로 구분하여 수술 과정 중에 지연나사의 삽입 시 발생하는 시계방향의 회전력이 근위 골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결과: 우측군과 좌측군에서 근위 골편은 수술 후에 대부분 골수강내 위치하였으며 각각 45예(75.0%), 67예(73.6%)였다. 지연나사 삽입에 의한 시계방향의 회전 변형은 우측군에서는 내회전 2예(3.3%), 좌측군에서는 외회전 4예(4.4%)로 거의 일어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고령의 대퇴부 전자간 골절에서 골...
TAG Femur, Intertrochanteric fractures, Lag screw, 대퇴부, 전자간 골절, 지연나사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