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어류학회1451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별망둑 the gluttonous goby Chaenogobius gulosus 후각기관의 해부, 조직학적 특성 및 동소 망둑어과 출현종들과의 비교연구
김현태 ( Hyun Tae Kim ) , 박종영 ( Jong Young Park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21] 제33권 제1호, 1~7페이지(총7페이지)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서해의 모래와 암반 조간대에 서식하는 별망둑 Chaenogobius gulosus 후각기관의 해부 및 조직학적 구조를 확인하고 그 특징을 동소종 (미끈망둑 Luciogobius guttatus, 날개망둑 Favonigobius gymnauchen)들과 비교하였다. 별망둑은 튜브형 전비공, 표면과 평행하는 후비공, 세로배열의 한 개 후판, 두 개 비낭, 후상피 하부에 풍부한 림프구, 호산구, 후감각뉴런에서 후돌기 직경의 1/4의 섬모 길이의 일반적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특징들 중 1) 0.5~1.0mm의 전비공 직경, 0.2~0.5mm의 후비공 직경 (vs. 미끈망둑의 0.2~0.3 mm, 0.2~0.3 mm; 날개망둑의 0.2~0.4 mm, 0.1~0.3mm의 전비공과 후비공 직...
TAG Olfactory organ, nostril diameter, lymphatic cell, non-sensory cilia, a quarter ciliary length, 후각기관, 비공 직경, 림프구, 비감각 섬모, 후감각뉴런 섬모 길이
모래주사 Microphysogobio koreensis (Cyprinidae)의 산란행동
박종성 ( Jong Sung Park ) , 윤승운 ( Seung Woon Yoon ) , 김재구 ( Jae Goo Kim ) , 김현태 ( Hyun Tae Kim ) , 박철우 ( Cheol Woo Park ) , 김형수 ( Hyeong Su Kim ) , 박종영 ( Jong Young Park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21] 제33권 제1호, 8~14페이지(총7페이지)
멸종위기 담수어류 모래주사의 산란행동을 조사하기 위해 산란시기인 2012년 4월부터 5월까지 전북임실군의 섬진강 일대에서 연구를 실시하였다. 모래주사의 산란은 무리산란 (group spawning)하는 어류와 달리 암수 한 쌍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수중으로 대량의 생식세포를 방출하여 산란하는 원시적인 생식모드 (broadcast spawner)로 확인되었다. 자연에서 모래주사의 산란행동은 휴식 (resting), 유혹 (male chase), 자극 (body beating), 평행유영 (parallel swim), 암컷의 산란회피 (female withdrawal), 경쟁 (male competition), 산란 (spawning), 산란 후 난을 보호하는 행동은 보이지 않아 (not guard) 총 8가지 행동을 보인 반면 수조 내에서...
TAG Endangered species, pre-spawning behavior, mating system, spawning mode, 멸종위기종, 산란 전 행동, 교배방식, 생식모드
멸종위기어류 얼룩새코미꾸리 Koreocobitis naktongensis (Cobitidae)의 수조 내 산란행동
홍양기 ( Yang-ki Hong ) , 양현 ( Hyun Yang ) , 방인철 ( In-chul Bang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21] 제33권 제1호, 15~21페이지(총7페이지)
멸종위기에 처한 우리나라 고유 담수어류인 얼룩새코미꾸리 Koreocobitis naktongensis의 호르몬 처리에 의한 산란행동을 관찰하기 위하여 2010년 4월 20~27일까지 산란시기에 성 성숙호르몬 (Ovaprim)을 주사하여 산란행동을 관찰하였다. 산란행동을 분석한 결과 산란 전 행동, 산란행동, 산란 후 행동으로 구분되었다. 산란 전에는 주로 휴식과 유영을 반복하였다. 호르몬 주사 후 평균적으로 11~12시간 경과하면 산란행동을 시작하여 암·수 1 : 1로 1~18회 산란하였고, 수중에서 수컷이 골질반을 이용하여 암컷의 등지느러미 뒷부분의 몸을 원의 형태로 감싸안고 산란이 이루어졌다. 산란 후 행동에서는 특별한 난 보호행동은 보이지 않았으며 산란에 참여하지 않은 개체들이 수정란 일부를 섭식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TAG Koreocobitis naktongensis, endangered freshwater fish, endemic, spawning behaviour
경남 통영 한산도 여차 잘피밭에 서식하는 어류의 계절 변화
박세웅 ( Sae-woong Park ) , 김준섭 ( Jun-sop Kim ) , 이용득 ( Yong-deuk Lee ) , 곽우석 ( Woo-seok Gwak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21] 제33권 제1호, 22~30페이지(총9페이지)
이 연구는 한산도 여차 잘피밭의 어류상 조사를 통해 월간 출현 어종을 알아보고 인근의 봉암 조사 결과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조사는 2009년 8월부터 2010년 7월까지 지인망을 이용해 수행하였고, 조사 기간 동안 총 29종 2,394개체, 10,378 g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우점종은 살망둑이었으며, 다음으로는 복섬, 그물코쥐치, 점망둑, 망상어 순이었고, 이들 6종이 총 개체수의 89%, 생체량의 83%를 차지하였다. 잘피밭에서의 어류 종조성은 계절에 따른 변화가 뚜렷했으며, 개체수는 5월에 증가하기 시작하여 7월에 가장 많았고, 생체량은 4월에 최고값을 나타낸 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번 조사에서 월별 개체수와 생체량 변동 및 타 논문과의 비교를 통하여 여차 잘피밭이 어류의 성육장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
TAG Species composition, eelgrass bed, Tongyeong, fish assemblage, southern coast
이석 윤문 및 채집시기를 이용해 분석된 남해 멸치(Engraulis japonicus)의 연령과 성장특성
이해원 ( Hae Won Lee ) , 황선도 ( Sun Do Hwang ) , 김희용 ( Heeyong Kim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21] 제33권 제1호, 31~36페이지(총6페이지)
멸치의 연령 및 성장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2004년에 남해연안에서 채집된 개체들의 이석 506개를 분석하였으며, 윤문에 의해 결정된 연령과 채집시기를 기준으로 멸치의 월령을 추정하였다. 월령별 가랑이 체장을 이용하여 구한 성장 매개변수인 이론적 최대 체장은 132.9 mm, 성장계수는 0.1079/month였으며 체장이 0일 때의 이론적 연령은 1.0262월이었다. 이들 매개변수로 von Bertalanffy 체장성장식을 나타내면, Lt=132.9(1- e-0.1079 (t-1.0262))였다. 연륜과 채집시기를 통해 설정한 월령기준의 성장 매개변수 추정은 우리나라 멸치의 성장특성을 파악하기에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TAG Engraulis japonicus, otolith, collection date, monthly age, age and growth
통영 연안에서 채집된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i)의 산란시기와 성전환
이해원 ( Hae Won Lee ) , 정재묵 ( Jae Mook Jeong ) , 유효재 ( Hyo Jae Yu ) , 황강석 ( Kang Seok Hwang ) , 오시은 ( Si Eun Oh ) , 송세현 ( Se Hyun Song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21] 제33권 제1호, 37~42페이지(총6페이지)
본 연구는 연안에 서식하는 감성돔의 산란생태학적 연구를 위해 2020년 2월부터 2021년 1월까지 통영 연안에서 어획된 시료 총 470개체 (가랑이체장 20.5∼50.2 cm)를 대상으로 하였다. 통영에 서식하는 감성돔의 월별 생식소숙도지수 (GSI) 변화를 통해 암수 모두 동일한 양상을 보이며 4∼5월이 산란시기로 추정되었고, 연 1회 산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직학적 검경을 통해 수컷에서 암컷으로 성전환하는 과정을 확인하였으며, 전기자웅동체 (MF)는 20.5∼39.6 cm에서 보였고, 후기자웅동체(FM)는 26.4∼50.2 cm에서 보였다. 난경은 0.02∼0.60mm 범위였으며, 2월에 평균 난경은 0.09mm로 가장 작았고, 8월에 평균 난경은 0.43mm 가장 높았고, 포란수는 277,148 (33.9 cm)∼2...
TAG Black seabream, Acanthopagrus schlegelii, gonadal development, sex inversion, spawning period
한국산 대주둥치속 (대주둥치과) 어류의 형태와 분자 변이의 불일치
손민수 ( Min-soo Sohn ) , 김진구 ( Jin-koo Kim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20] 제32권 제4호, 199~209페이지(총11페이지)
본 연구는 예전부터 혼란스러웠던 한국산 대주둥치속, Macroramphosus 어류의 분류학적 위치를 명확히 하기 위해, 한국산 18개체를 일본/대만산 35개체 및 지중해산 M. scolopax와 형태 및 분자 변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한국, 일본 및 대만산 대주둥치속 어류는 제1등지느러미 극조 길이 (A-type은 22.8~32.1%, B-type은 15.6~21.4%), 제1등지느러미와 제2등지느러미 사이 길이 (A-type은 6.4~9.7%, B-type은 8.6~13.3%), 체고(A-type은 20.0~28.0%, B-type은 17.3~22.6%)에서 두 type으로 명확히 구분되었으나, 유전적으로는 구분되지 않았다 (CR에서 0.0~3.3%, cyt b에서 0.0~1.3%, COI에서 0.0~0....
TAG Longspine snipefish, M, japonicus, M, sagifue, M, scolopax, morphology, genetics, variations
국내 이스라엘 잉어의 선발육종효과 평가
김정은 ( Jung Eun Kim ) , 황주애 ( Ju-ae Hwang ) , 김형수 ( Hyeong Su Kim ) , 임재현 ( Jae Hyun Im ) , 이정호 ( Jeong-ho Lee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20] 제32권 제4호, 210~221페이지(총12페이지)
1973년 이스라엘 잉어 (향어)가 한국에 양식을 위해 도입된 이후 현재까지 품종개량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지속적인 근친교배로 인해 낮아진 국내 이스라엘 잉어의 유전적 다양성을 회복하고, 성장이 빠르고 비늘 개선을 위해 유전적 기반 교잡육종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의 이스라엘 잉어의 품종 개량을 위하여 국내 이스라엘 잉어와 중국의 송푸거울 잉어를 이용하여 4개의 교배구를 설정하여 F1을 생산하였다. 친어의 형태 및 유전학적 거리를 고려하여 교배지침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유전적 다양성과 친자분석을 위하여 microsatellite 마커와 유전형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 국내 친어의 평균 대립유전자와 기대이형접합율은 8.3과 0.743이며, F1은 13.0과 0.764이었다. 국내 이스라엘 잉어와 중국 송푸거울 ...
TAG Israeli carp, Cyprinus carpio, genetic breeding, microsatellite markers, parentage analysis, scales, 이스라엘 잉어, 유전육종, 마이크로새틀라이트 표지마커, 친자분석, 비늘
치리 (Hemiculter leucisculus)의 난 발생 및 자치어 형태 발달
김경무 ( Kyeong-mu Kim ) , 김승용 ( Seung-yong Kim ) , 송미영 ( Mi-young Song ) , 송하윤 ( Ha-yun Song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20] 제32권 제4호, 222~231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는 충남 예당호에 서식하는 Hemiculter leucisculus의 초기생활사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성숙된 친어에 HCG (human chorionic gonadotropin)를 10 IU/g의 농도로 주사하여 12시간 후 성숙란을 확보하였으며, 성숙란을 습식법으로 인공 수정하였다. 수정란은 불투명한 담녹색 원형의 침성점착란으로 난경은 0.97±0.02 mm (0.9~1.0 mm, n=30)이었다. 수정란은 수온 22±1℃에서 수정 32시간 후 수정란의 50%가 부화를 완료하였으며, 부화자어의 전장은 3.0±0.2 mm (2.6~3.4 mm, n=15)로 채색은 무색투명하였다. 부화 6일 후 자어는 5.7±0.1 mm (5.4~5.8 mm, n=15)로 입과 항문이 열리고 로티퍼를 섭식하여 전...
TAG Hemiculter leucisculus, egg development, early life history
실내외 양식환경에 따른 미꾸라지 (Misgurnus mizolepis) 양식장 모니터링과 성장특성
최복기 ( Bok Ki Choi ) , 최종렬 ( Jong Ryeol Choe ) , 이정호 ( Jeong-ho Lee ) , 박종성 ( Jong Sung Park ) , 김정은 ( Jung Eun Kim ) , 황주애 ( Ju-ae Hwang ) , 김형수 ( Hyeong Su Kim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20] 제32권 제4호, 232~238페이지(총7페이지)
본 연구는 실내외 양식방법에 따른 미꾸라지 양식장 모니터링과 성장특성을 조사하여 국내 미꾸라지 양식산업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수행하였다. 조사는 2017년 8월부터 2019년 10월까지 실내 양식장 1개소 (D-site), 실외양식장 2개소 (P1-site, P2-site)를 선정하여 수행하였다. 성장도 측정결과를 토대로 WG (weight gain), DWG (daily weight gain), and SWG (specific weight gain) 분석한 결과 D-site에서는 175.27±36.2%, 7.98±3.3%, 0.94±0.2%, P1-site에서 320±34%, 4.07±0.6%, 0.55±0.1%, P2-site에서 295.9±53%, 4.15±0.5%, 0.62±0.1%로 나타났다. WG는 실외노...
TAG Misgurnus mizolepis, Chinese muddy loach, growth performances, aquaculture condition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