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1419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중국 전통원림 가원(可園)의 조영자 장경수에 관한 연구
스스쥔 ( Shi Shi-jun ) , 안계복 ( Ahn Gye-bog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21] 제39권 제1호, 1~9페이지(총9페이지)
본 연구는 중국 영남(嶺南)지방에서 가원(可園)을 조영한 장경수(張敬修 1823~1864)를 분석하여 어떤 방식으로 전통원림을 조영하였는지를 밝히는 것이 논문의 목적이다. 본 연구는 조영자와 공간만들기의 관계성 분석에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조영자 생애 분석, 조영 배경 분석, 지방 문인들과의 교류공간으로서의 원림 분석, 조영자의 예술활동을 위한 공간으로서의 원림 분석, 장경수만의 정원만들기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장경수는 1823년에 동완시(東莞市)에서 출생하였는데, 22세(1845년)에 내전에 참가하고, 26세(1849년)에 귀향해서 가원을 조영하였다. 그러나 다시 아편전쟁(1856년)을 거쳤으며, 38세(1861년)에는 전쟁으로 얻은 병 때문에 귀향하였으나, 41세(1864년)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장경수는...
TAG , , 매화, 영남지방, 청나라, 혜란, Approval, Lingnan, Oriental Cymbidium, Plum, The Qing Dynasty
근현대기 창덕궁 내 주요 점경물의 실상과 변형
오준영 ( Oh Jun-young ) , 이재용 ( Lee Jae-yong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21] 제39권 제1호, 10~19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는 낙선재, 주합루, 존덕정, 대보단지를 중심으로 근현대기 창덕궁 내 주요 점경물의 실상과 변형 양상을 고찰하였다. 전각, 식생, 구조물과 달리 상대적으로 관심이 저조했던 점경물에 대해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변화상을 조명하기 위한 의도이다. 본 연구의성과는 향후 창덕궁 내 점경물의 복원정비계획 수립에 요긴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1901년 체코인 브라즈가 촬영한 사진에 따르면 당시 낙선재 후원에는 석지(石池)와 괴석을 비롯해 총 6기의 점경물이 소재했다. 후원의 지면에는 금사연지(琴史硯池)로 불리는 석지와 괴석 2기, 화계 1단에는 괴석 3기가 배치되어 있었다. 해방 이후부터 괴석의 임의적인 재배치가 빈번하게 발생했으며, 그 과정에서 본래 화계 1단에 위치했던 괴석 2기는 경훈각(景...
TAG 괴석, 낙선재, 동궐, 정비, 주합루, Donggwol, Juhamnu, Maintenance, Nakseonjae, Odd-Shaped Stone
남한산성 성벽의 관속식물 특성 연구
차두원 ( Cha Doo-won ) , 최동석 ( Choi Dong-suk ) , 김지석 ( Kim Ji-suk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21] 제39권 제1호, 20~30페이지(총11페이지)
본 연구는 남한산성 성벽을 대상으로 관속식물상 조사, 분석을 통해 남한산성 성벽 식물의 생태적 특성을 규명하여 향후 남한산성성벽 식물 보존 및 관리 계획 수립 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남한산성 성벽에 분포하는 전체 식물 분류군 수는 77과169속 222종 5아종 19변종 3품종으로 총 249분류군이었다. 생활형은 반지중식물의 출현 비율이 높았으며 희귀식물은 1분류군, 한국특산식물은 5분류군이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전체 15분류군이며 Ⅳ등급 1분류군, Ⅲ등급 3분류군, Ⅱ등급 2분류군, Ⅰ등급 9분류군이었다. 이 중 병아리풀은 식물구계학적으로 가장 중요하게 취급되는 Ⅳ등급으로 본 대상지 이외에 추가 서식이 확인되지 않은 점으로보아 경기도 일대에서 최초의 기재이다. 암벽식생으로 확인된 식물은 21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침입외래식...
TAG 보존 및 관리, 병아리풀, 생태적 특성, 성벽 식물, Conservation and Management, Ecological characteristics, Fortress wall Vascular Plants, Polygala tatarinowii Regel
조선시대 법전에 기록된 산림‧조경 분야 시기별 중점 추진 사항 분석 및 의의
이현채 ( Lee Hyun-chae ) , 윤정원 ( Yoon Jung-wo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21] 제39권 제1호, 31~36페이지(총6페이지)
본 연구는 조선시대 법전류에 기록된 산림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을 통하여 그 당시 산림문화의 전반적인 사항을 파악 후국민의 산림문화 충족 욕구에 부응하고자 수행하였다. 조선시대 법전류(경국대전, 속대전, 대전통편, 대전회통)에 기록된 산림 관련조항을 통해 산림행정과 정책의 변화과정 및 산림의 경관상 변화를 고찰할 수 있었다. 경국대전(經國大典)의 분석을 통해 특수한수종이나 특정 지역에만 생산되는 수종에 대한 관리와 특정 지역 경관 관리에 신경을 많이 기울였다는 것, 금산 관리 규정에 있어서벌채를 금하는 수준을 넘어 재식과 배양뿐만 아니라 경관 조성에도 관심을 기울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산림의사유를 금했었으나. 상·장례에 있어서 분묘 주변의 일정 범위의 산림에 대한 소유를 인정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AG 경관, 景觀, 경국대전, 經國大典, 금산, 禁山, , , 산송, 山訟, 유산기, 遊山記, 조선왕조실록, 朝鮮王朝實錄, Gyeongguk Daejeon(Great Code of National Governance), Joseonwangjosillok(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Landscape, Litigation Against the Tomb and the Mountainous Areas surrounding the Tomb, Mountains, Reserved Forests, Yousangi(Records of Mountain-Climbing)
천연기념물 문섬의 담팔수 개체군 특성 및 관리방안
최병기 ( Choi Byoung-ki ) , 이호상 ( Lee Ho-sang ) , 서연옥 ( Seo Yeon-ok ) , 최형순 ( Choi Hyung-soon ) , 양주은 ( Yang Ju-eun ) , 송국만 ( Song Kuk-man ) , 송관필 ( Song Gwan Pil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21] 제39권 제1호, 37~42페이지(총6페이지)
문섬은 국내 최대 담팔수 자생지로 알려져 있는 섬이다. 최근 문섬에서 담팔수군락의 병해피해가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담팔수 최대 자생지인 문섬지역에 대해 담팔수 개체군의 피해상황과 생육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담팔수 생존개체의 개체군특성을 파악함으로써 군락의 자생적 재생가능성에 대해 평가하고, 자생지 복원 방안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문섬에 분포하는 담팔수개체의 분포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개체군 전수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조사는 개체의 GPS 위치정보와 함께 수고, 근원경, 흉고직경, 생육상태 등을 면밀히 기록하였다. 문섬에 분포하는 담팔수 개체의 생육상태와 각 개체들의 수고, 흉고직경, 근원경 특성을 분석하였다. 문섬에서 확인된 담팔수 총 개체군 수는 293본이었다. 2005년 문섬 육상생태 환경조사보고서에서 보고한 울창한 담팔수군락은 현재크게 훼손...
TAG 담팔수, 도서지역, 병해충, 복원, 천연기념물, Disease and insect pest, Elaeocarpus, Island region, Natural monument, Restoration
경복궁 녹산(鹿山)의 성립과 경관적 의의
이종근 ( Lee Jong-keun ) , 소현수 ( So Hyun-su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20] 제38권 제4호, 1~11페이지(총11페이지)
녹산은 경복궁 내부에 위치한 구릉 형태의 녹지로서 문화재공간으로 주목받지 못한 장소이다. 이에 본 연구는 녹산이 성립된 배경과 변화 양상을 고찰하여 경관적 의의를 도출하고자 실록, 지도류, 사진에 대한 문헌 분석과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녹산의 정체성은 풍수적 내맥(來脈), 소나무림, 사슴과 관련되며, 경관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복궁전도」 외 다수의 고지도에는 백악으로부터 경복궁 내부까지 이어지는 산줄기들이 묘사되었는데, 그중에서 녹산은 강녕전과 문소전으로 이어지는 내맥에 위치함으로써 형성된 숲이다. 북궐도상에서 녹산에는 육우정(六隅亭), 남여고(藍與庫), 녹직처소(鹿直處所), 그리고 남북 방향의 어구와 담장이 표현됨으로써 최소한의 시설과 숲으로 구성된 원형경관으로 이해할 수 있다. 둘째, 세종대에 경복궁의 북쪽 궁장이 건설되었으며, ...
TAG Deer, Rear garden, palace wall, Vein, 궁장, 宮墻, 내맥, 來脈, 사슴, 후원, 後苑
수체계가 홍주성의 입지와 공간구조 변천과정에 미친 영향
이경찬 ( Lee Kyung-chan ) , 강인애 ( Kang In-ae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20] 제38권 제4호, 12~24페이지(총13페이지)
본 연구는 홍주목 읍치 일대의 물(水) 공간과 연계하여 홍주성의 형성·변천과정과 더불어 조선 후기 홍주읍성의 공간구조와 축성방식이 지니는 특성을 해석해보고자 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조선시대 홍주목 읍치 일대의 수체계는 남에서 북으로, 서에서동으로 흐르는 가지형 구조의 자연하도를 기반으로 인공적으로 조성된 성안물길과 연못(池)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양한 문헌기록, 발굴조사 결과 및 지도자료 등에 대한 분석결과를 종합해보면 수체계가 홍주성의 조영과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고려시대 이후 조선 후기에 이르는 홍주성은 큰 위치 변화 없이 금마천과 용봉천을 외수로 삼고 홍성천과 월계천을 중심으로 한 환포형의 지형구조와 하천 합수부의 내측(汭)에 형성된 소규모 침식분지를 이용하여 위치하고 있다. ...
TAG Flood Protection Facility, Hongju-eupseong, Hongju-seong, Location, Old Toposurface, Spatial Structure, Wall Construction Method, Waterway System, 고지형면, 공간구조, 수체계, 입지, 축성방식, 치수시설, 홍주성, 홍주읍성
전라도 지역 문화재 지정 민가정원의 현황 및 조영특성
진민령 ( Jin Min-ryeong ) , 정명석 ( Jeong Myeong-seok ) , 심지연 ( Sim Ji-yeon ) , 이혜숙 ( Lee Hye-suk ) , 이경미 ( Lee Kyung-mi ) , 진혜영 ( Jin Hye-yeong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20] 제38권 제4호, 25~38페이지(총14페이지)
본 연구는 민가정원의 기록화를 목적으로, 전라도 지역 문화재 지정 민가정원의 역사적 가치, 입지, 공간구성 및 건축물 배치, 정원구성요소 등을 검토하여 현재 민가정원의 모습을 고찰함으로써 향후 지속적인 유지관리·보존을 도모하고, 가치를 제고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 조선후기에서 근대에 조성된 민가정원의 조성시기와 궁궐·일본·서양의 양식에 영향을 받은 정원구성요소 등을 통해 농·상업 발달의 확산 등 시대적 흐름 속에 영향을 받아온 것을 알 수 있다. 두째, 입지한 지형에 따라 민가정원의 공간구성과 후원 처리 방식에 차이가 있다. 입지한 지형을 평지와 경사지로 구분하였을 때 평지에 입지한 민가는 담장으로 공간을 구획하고 후원 주변으로 담장을 두르고 화계 및 석단을 조성하였다. 경사지에 입지한 민가는 2~3단의 단차를 두어 ...
TAG Folk House Garden, Historical, Garden Component, Status of Plantings, 민가정원, 식재현황, 역사성, 정원구성요소
산대(山臺)를 통해 본 석가산 조영 문화
윤영조 ( Yun Young-jo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20] 제38권 제4호, 39~48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는 고려시대부터 조선 후기까지 궁궐 왕의 행차, 나례, 사신영접, 연회 등의 목적으로 조설되었던 전통공연예술분야의 무대장치인 산대(山臺)의 유형, 구조적 형상, 표상의 원리를 고찰하여 동시대 석가산(石假山) 조영 문화의 확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산대의 발달사와 그 의미를 통해 외부공간에 ‘산'의 형상을 실체화하고자 한 석가산의 조영 문화와의 동질성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산대를 만드는 행위 자체는 명산을 숭배하는 전통과 관련이 깊다. 이는 고려 예종 ‘청연각' 앞뜰에 조성된 석가산에서 중국의 명산명호(名山名湖)가 표상적으로 비유되어 모사(摹寫)된 사실과도 일치한다. 둘째, 산대와 석가산은 그 구조적 형상과 재료, 기술적 제작방식은 달랐으나 산의 형상을 조형하여 완상하거나 국가행사의 무대배경...
TAG Dongri-Jeongsa, Minimazed Landscape, 縮景, Mountain, Stage, Performing Arts, 공연예술, 동리정사, 棟里精舍, 무대, , 축경
한(韓)ㆍ중(中) 문화교류를 통한 전통조경의 비교 연구
펑홍쉬 ( Peng Hong-xu ) , 장징 ( Zhang Jing ) , 장치엔두어 ( Jiang Qian-duo ) , 노재현 ( Rho Jae-hyu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20] 제38권 제4호, 49~57페이지(총9페이지)
전통조경은 선현(先賢)들이 현대사회에게 남긴 문화적 자산으로, 고대의 전통문화를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대의 조경설계에도 새롭고 창의적인 소재를 제공할 수 있다. 한ㆍ중 양국은 고대부터 문화교류를 통해 전통 조경문화의 계승과 보호 및 발전을 이루었을 뿐만 아니라 ‘전통과 현대’ 및 '지역성과 국제성'이 서로 어우러져 발전하여 왔음은 익히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한ㆍ중 전통조경의 비교 연구를 목적으로 우선 양국 전통조경문화를 선행연구 문헌을 통해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양국의 문화적 배경을 종교사상, 전통문화, 자연관으로 나눠 해석하고 양국의 조경 역사와 원류관계를 조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ㆍ중 조경 사조(思潮)의 비교 및 전통조경의 발전과정, 한ㆍ중 조경의 예술적 공간과 경지(境地) 등 세 방향에서 분석 고찰하였으며, 양국의 전통조경의 조...
TAG Comparison of Traditional Chinese and Korean Gardens, Garden Architecture, Ming and Qing Dynasties, 명·청시대, 원림건축, 한·중 전통조경 비교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