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기초조형학회 AND 간행물명 : 기초조형학연구4369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빛의 공간유입에 따른 지각과 경험에 관한 연구
고광용 ( Koh Kwang Yong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21] 제22권 제2호, 1~14페이지(총14페이지)
현재 우리의 공간은 다양한 방법으로 진화된 인공의 빛과 자연 빛의 결합을 통해 공간을 표현하고 경험하게 하는 장소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빛은 사용자의 공간경험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여 인간과 공간의 관계를 변화시키고 나아가 공간과 공간의 관계를 확장시키는 중요한 매개체 역할을 수행한다. 이처럼 표현 방식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된 매개의 빛은 공간 사용자에게 지각과 더불어 다양한 경험을 발생시킨다. 또한 공간을 계획하고 사용함에 있어 빛의 다양한 공간 유입방법은 인간의 지각과 감각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다양한 표현이라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실내건축공간에 표현된 자연 빛의 다양한 공간 유입방식을 통해 사용자가 어떻게 빛은 지각하고 경험하는지 연구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공간구축에 따른 빛을 지각의 특성과 유형으로 분류하고 빛의 유입...
TAG , 지각, 실내 공간, 경험, light, perception, indoor space, experience
팝 아트 회화에서 분홍색의 의미와 상징성 연구
김가현 ( Kim Ga Hyun ) , 안진의 ( Ahn Jin Eui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21] 제22권 제2호, 15~28페이지(총14페이지)
본 연구는 대중에게 강력한 시각적 효과를 주었던 팝 아트(Pop Art)회화를 대상으로 분홍색의 색채표현 특징을 도출하고 상징적 의미를 확장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팝 아트의 출발점이었던 영국, 중심이 되었던 미국, 다양한 확산의 모양을 띠었던 일본과 중국에 나타나는 회화 가운데 특히 분홍색의 활용이 두드러진 작품의 배색 이미지를 I.R.I Image Scale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일상적이고 대중적인 이미지를 통해 정치적 사회 비판이나 풍자적인 성격을 가진 영국 팝 아트를 필두로, 미국 팝 아트는 산업화로 인해 넘쳐나는 상품과 반복되는 대중 매체 속에서 무감각해지는 현대인의 실상을 표출하였으며, 이때 분홍색은 화려하고 주목성이 강한 특징으로 나타났다. 일본 팝 아트는 국가적 성격에 맞게 ‘가와이이(可愛い)’한 애니메이션과 융합된 네오팝 아...
TAG 팝 아트, 네오팝 아트, 정치적 팝 아트, 분홍색, I, R, I 이미지 스케일, 이미지 형용사 분석, Pop Art, Neo-Pop Art, Political Pop Art, pink, I, R, I Image Scale, image adjective analysis
책의 물성과 ‘비가시적 틈’의 관계
김도희 ( Kim Do Hee ) , 안병학 ( Ahn Byung Hak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21] 제22권 제2호, 29~40페이지(총12페이지)
연구자는 ‘물질’과 ‘비가시적 공간’의 관계를 기억과 경험에 따라 다르게 인지되는 북 디자인의 ‘틈’을 통해 탐구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인간은 물질을 이성적 판단 이전에 감각으로 지각하며, 책은 그 감각적 지각 활동의 가장 대표적인 매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책을 구성하는 ‘물질’과 ‘비가시적 틈’을 통해 자극받는 인간의 감성을 검토하여 비가시적 공간의 역할과 가능성을 밝히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책의 물성과 책 속에 존재하는 ‘비가시적 틈’의 상호 관계이고, 이를 밝히기 위한 분석 대상은 ‘북 디자인’이다. 연구 방법은 첫째, 뤼징런(Lu jingren)의 ‘북 디자인’에 관한 이론과 앙리 베그르 송(Henri Bergson)의 ‘물질과 기억’에 관한 이론을 참조했다. 둘째, 책에 대한 시ㆍ공간 개념을 바탕으로 물질과 비 물질을 연결...
TAG 북 디자인, 책의 물성, 기억과 경험, 시간과 공간, 비가시적 공간, book design, the materiality of a book, memory and, experience, time and space, non-visible space
천목다완에 대한 연구
김병율 ( Kim Byung Yeoul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21] 제22권 제2호, 41~52페이지(총12페이지)
흙과 물, 불 이 3요소가 만나서 사람의 손을 거치게 되면 우리들의 생활에 가장 필요한 기초적인 도구인 ‘도자기’가 완성된다. 도자기는 동· 서양을 무론 하고 인간의 역사와 발자취가 있는 곳은 어느 곳에서든지 다양한 형태로 그 산물들을 현재에까지 남기고 있다. 일반적으로 검거나 적갈색 계통의 도자기를 天目(천목)이라 부르는데 이러한 기물들은 한국, 중국, 일본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에서 서민들의 도자기로 사용되어왔으며 현재까지도 생산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 송대에 제작되어 현재까지 이어져 내려오는 도자기, 천목다완의 역사와 정의를 기술하고 현대에 재조명하여 미래지향해야 할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천목다완이 제작되었던 당· 송대의 사회적 상황, 미의식, 사용 방법, 일반인들의 관심, 시대에 따른 찻잔 형태의 변화 등을 기술한다...
TAG 천목, 월주요, 천목산사, 절강성, Cheonmok, Woljukiln, Cheonmok temple, Zhejiang
동시대 미술과 엔터테인먼트에 대한 이론적 고찰 -수퍼플렉스와 토마스 사라세노의 작업을 중심으로-
김보라 ( Kim Bo Ra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21] 제22권 제2호, 53~64페이지(총12페이지)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고급예술과 대중문화의 구분은 모호해졌으며 전 지구적 자본주의의 물결 속에서 경제, 정치, 문화의 경계가 흐려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일상과 문화를 지배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엔터테인먼트와 동시대 미술의 관계를 고찰하는 것이다. 논문은 크게 두 단계로 구성되어, 엔터테인먼트 개념과 관련된 어원적, 사상적 계보에 대해 검토한 후 구체적 미술 실천 사례를 통해 엔터테인먼트적 요소를 분석한다. 이로써 엔터테인먼트를 포용하고, 진지한 미술과 엔터테인먼트의 균형과 양자의 바람직한 조우를 모색하는 결론에 이른다. 이를 위해 엔터테인먼트에 대한 선구적 성찰을 제시했던 철학자 리처드 슈스터만의 논의를 참고하고자 한다. 개념사적으로 엔터테인먼트에 접근하는 과정에서는 진지한 대접과 유희적 오락, 주의집중과 기분전환이라는 엔터테인먼트의...
TAG 엔터테인먼트, 경험경제, 리처드 슈스터만, 수퍼플렉스, 토마스 사라세노, entertainment, Experience Economy, Richard Shusterman, Superflex, Tomás Saraceno
MZ 세대가 선호하는 형용사별 색채 이미지와 주거 환경에 대한 기초 자료 조사 연구
김예원 ( Kim Yea Won ) , 정현선 ( Chung Hyun Sun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21] 제22권 제2호, 65~76페이지(총12페이지)
2020년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 19의 등장으로 우리의 일상은 많은 변화를 겪고 있다. 외부 활동이 집 안으로 들어오며 외부 공간에 대한 욕구가 강해졌고, 이를 집 내부에서 활용하고자 하는 갈망도 커지게 되었다. 무엇보다 우리를 둘러싼 공간에 적용된 색은 거주자에게 다양한 감성으로 내재 되어 심리적 변화를 만들어 내므로 우리나라의 아파트 내부에서는 그 어떤 요소보다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나만의 취향과 개성을 중시하며 주거 시장에 새로운 소비 주체로 떠오른 MZ세대를 중심으로 주거 공간 속 색의 영향력을 입증하고 세대별로 긍정적 감성을 불러일으키는 색채 이미지와 분위기 조성을 위한 배색 지표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은 3가지 전자 설문 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M세대는 고명도/중~저채도의 색을 부드럽고 정적이라 느꼈고,...
TAG MZ세대, 포스트 코로나, 주거 공간 색채, 감성 색채,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 MZ generation, post COVID-19, color for Residential, environment, emotional Color, Millennial generation and Generation Z
현대 패션에 나타난 클라운(clown) 이미지의 표현특성과 의미해석
김예은 ( Kim Ye Eun ) , 최정화 ( Choi Jung Hwa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21] 제22권 제2호, 77~97페이지(총21페이지)
클라운은 인류학, 극문학, 인문학, 대중문화 등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캐릭터로서 상징적인 의복들은 현대 패션에도 지속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부재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현대 패션에서 클라운 이미지의 표현특성과 의미분석을 그 영향력을 확인하고 이론적으로 체계화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클라운과 관련된 국내· 외 전문서적과 관련 분야의 연구논문, 신뢰할 수 있는 인터넷 사이트 자료를 통하여 이론적 체계를 마련하였으며, 2000~2020년에 보그(Vogue), 엘르(Elle) 사이트를 중심으로 사례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먼저 클라운 이미지의 표현특성은 유희성, 양의성, 악마성, 퇴폐성으로 분류되었다. 유희성은 복식과 신체의 과장·축소·왜곡화, 이질적인 아이템들의 부조화적 조합, 은유적 정치 및 사회풍자 메시지,...
TAG 클라운, 패션, 할리퀸, 피에로, 화이트 페이스, clown, fashion, harlequin, pierrot, white face
소재 기업에서의 디자인씽킹 기반 프로세스 모델 수립 및 제품개발 사례 연구 -A사의 건축용 금속 외장재 제품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김우석 ( Kim Woo Seok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21] 제22권 제2호, 99~112페이지(총14페이지)
디자인은 주로 소비재를 생산하거나 B2C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에서 활용되고 있는 반면, B2B 차원의 소재기업에서는 그 동안 생산 관리 등 전통적인 경영전략에 집중해 오면서 디자인의 활용도는 낮은 편이었다. 하지만 점차 다양하고 까다로워지는 시장과 고객의 요구, 불확실성에 대한 대응과 문제 해결을 위해 소재 기업에서도 디자인을 활용하려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디자인에 대한 이해도와 인식 수준이 높지 않기에 소재 기업의 경영 환경과 디자인의 이론적 속성을 반영한 디자인 활용 관점 및 프로세스 정립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특히 소재 기업이 당면한 고객문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디자인씽킹을 기반으로 한 업무 프로세스의 방향성을 모색하고, 이를 적용한 건축용 금속 외장재 제품의 디자인 개발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소재 기업이 활용할 수 있는...
TAG 소재 기업, 디자인씽킹, 디자인프로세스, 프로세스 모델 수립, 금속 외장재, 파사드 디자인, material company, design thinking, design process, establishment of process model, exterior metal panel, facade design
전북가야 철제무기류의 조형이미지 연구 -장수지역의 철모, 철촉, 철도를 중심으로-
김은주 ( Kim Eun Ju ) , 김건 ( Kim Geon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21] 제22권 제2호, 113~129페이지(총17페이지)
전북 동부권에서 발굴된 가야유물은 이 지역에 인접해 있던 경상, 영남의 가야세력이 확장 된 것으로 이해되어왔다. 그러나 이 지역에서만 볼 수 있는 독특한 가야양식의 유물들이 발견됨으로써 전북 동부 지역을 기반으로 구성된 가야세력을 2017년 학계에서는 전북가야라 명명하였다. 그래서 기존에 알려진 경상·영남권의 가야문화의 특성과 결합한 완전한 고대가야문화·예술을 이해하고, 고대 한국사의 문화 예술적 특성을 재조명하기 위해 반드시 전북가야의 유물에 대한 조형적 특성을 파악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북가야의 장수지역에서 발굴된 철제무기류의 조형적 특성을 천착하여 가야문화에 대한 본질과 특징을 이해하고 정립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철제무기류의 조형적 특성은 문헌고찰, 유물의 비교분석, 기호학적 결합과 과정 그리고 의미생성의 3단계의 연구방법을...
TAG 전북가야, 장수, 철제무기류, 조형이미지, Jeonbuk Gaya, JangSu, Iron weapons, Formative image
조각에 있어서 ‘운동성’에 관한 연구
노해율 ( Noh Hae Yul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21] 제22권 제2호, 131~142페이지(총12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형식적, 개념적, 정치적으로만 다뤄지던 조각에 있어서 운동성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정지된 조각에 있어서 시· 공간과 운동의 관계 그리고 조각에 있어서 운동성의 발생 원리이다. 이 연구는 20세기 전후 시간, 공간, 운동에 관한 이론적 논의들 중 베르그 손의 지속이론과 아른하임의 지각이론에 이론적 바탕에 둔다. 먼저 시간은 정지되거나 구분 지어서 생각할 수 없으며, 의식의 흐름에 의해서만 지각될 수 있음을 확인한다. 또한 운동과 부동의 실현 조건에 있어서 시· 공간이 전제된 것이 아니라, 운동을 통해서 시· 공간이 지각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운동과 운동성은 필연적이지 않음을 증명하고, 결국 운동성은 사물의 운동에서 발현하는 것이 아니라 지각을 통해서 발생한다는 것을 고찰한다. 이를...
TAG 조각, 운동성, 시지각, sculpture, movement, visual-perceptual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