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무용역사기록학회701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중국 조선족무용의 사(史)적 흐름 고찰: 연변 조선족무용의 발전양상을 중심으로
김선화 ( Jin¸ Xianhua ) , 이미령 ( Li¸ Meiling )  무용역사기록학회, 무용역사기록학 (SDDH) [2021] 제60권 25~48페이지(총24페이지)
본 논문은 중국 조선족무용의 사적 흐름의 고찰을 논제로 신중국 건국이후 연변지역 조선족무용의 발전양상을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조선족무용은 지난 백여 년간 중국 연변의 지리적, 인문적 환경속에서 다양한 변화와 발전을 거듭해 왔다. 연변지역은 중국 조선족무용이 시작된 곳이다. 이주 초기부터 1949년까지 조선족은 연변지역에서 삶을 개척하면서 노동생활에 결부한 지역적인 특색을 지닌 민간·민속무용형식을 기반으로 조선족무용을 구축하였다. 이어 1949년 신중국의 성립과 1978년의 개혁개방 등 역사적인 시기를 겪으면서 조선족의 무용예술을 계승하는 동시에 꾸준히 모색하고 발전시켜왔다. 조선족무용은 국제적인 무용 교류의 장이 펼쳐지면서 외부 예술에 대한 인지, 수용, 통합의 과정을 거쳤으며, 이러한 새로운 변화와 발전의 기회를 맞게 되면서 독특한 성격을 띠는 조...
TAG 조선족무용, 민간·민속무용, 무용창작, 무용교육, 대중무용, Korean-Chinese dance, Folk dance, Dance creation, Dance education, Public dance
북조선의 무용연구 현황 고찰
김해금 ( Jin¸ Hajin ) , 김영화 ( Jin¸ Yinghua )  무용역사기록학회, 무용역사기록학 (SDDH) [2021] 제60권 49~76페이지(총28페이지)
본 논문은 한국의 무용역사기록학회에서 개최한 국제학술심포지엄 “국경너머의 무용사”의 특별한 의미를 되새기며 무용사 연구, 무용 이론연구, 무용문화유산의 전승과 연구 등 세 가지 범주에서 그 연구현황을 살펴본 글이다. 북조선무용이 예술적으로 지향하고 있는 목표나 미학은 무엇인지, 역사적 시대적 상황을 어떻게 구현했는지, 그와 연관하여 북조선무용의 역사적 정리가 어떻게 되어있는지, 그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북조선무용의 발전사를 들여다봄으로써 좀 더 포괄적으로 접근하여 무용연구 현황에 대해 고찰하였다. 특히 그 춤이 담고 있는 사상, 사회와 문화적 맥락, 종합예술로서의 춤으로 다각적인 관점으로 여러 가지 이론체계와 미학적 특성, 원리와 방법 등의 연구가 반드시 상호병행을 해야 올바른 이해가 가능하다. 무용에 대한 기록은 고대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북조선에...
TAG 조선무용사, 민족무용, 무용이론, 무용기법, 비물질문화유산, Korean dance history, Folk dance, Dance notation, Basic theory,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새로운 한국무용사 서술을 위한 시론(試論)
김호연 ( Kim¸ Hoyoen )  무용역사기록학회, 무용역사기록학 (SDDH) [2021] 제60권 77~93페이지(총17페이지)
이 연구는 그동안 기술된 한국무용사 서술의 양태(樣態)를 살피면서 새로운 서술을 위한 논쟁적 담론을 살피는 시험적 논의이다. 전근대 무용사 서술은 일제강점기 이후 안확, 김재철, 성경린 등을 중심으로 기술되었는데, 자료에 대한 한계로 인해 문헌을 통해 나타난 궁중무용을 정리하는 개론적 기술이 강하였다. 이는 다양한 장르의 수용을 통한 사회문화적 관점을 포괄한다면 새로운 확장성을 거듭할 수 있을 것이다. 근대 무용사 서술은 다양한 논의가 전개되었지만 주체적인 근대기점에 대한 인식과 모더니티에 대한 개념 정립 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이제 한국무용사 서술은 통사적 의미의 새로운 무용사 기술뿐만 아니라 장르별 혹은 개념적 연구사도 함께 이루어진다면 무용학의 토대를 다지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
TAG 한국무용사, 시대구분, 근대기점, 모더니티, 문예방법론, Dance history in Korea, The division into periods, Point of modern times, Modernity, Literary methodologies
재일동포사회에 있어서의 민족무용 교육의 현황: 동경한국학교와 조선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박경란 ( Park Kyoungran )  무용역사기록학회, 무용역사기록학 (SDDH) [2021] 제60권 95~118페이지(총24페이지)
재일동포 사회에 있어서 조선학교와 동경한국학교(이하 본고에서는 ‘한국학교’로 칭함)의 사례를 들어 무용교육의 현황과 역할을 고찰하는 것은 차세대가 지향해야 할 민족무용 교육의 방향을 가늠해 본다는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본고에서는 양 학교에서 이루어진 민족무용 교육에 초점을 맞추어 양 학교의 기본무용과 창작무용의 형태를 비교하며, 대내외 행사 등을 통하여 민족무용이 어떤 역할을 해왔는지 고찰하고 앞으로의 과제에 대해 제언하려고 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선행연구와 영상, 인터뷰 자료를 중심으로 하고 연구자의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하였다. 위의 고찰을 통하여 첫째, 기본무용에 있어서 조선학교는 체계적인 수업내용을 갖추고 일관된 시스템 안에서 양성된 무용 지도자들에 의해 조선무용이 교육되고 있는 것에 비하여, 한국학교는 지도자의 재량에 따라 자율적인...
TAG 재일동포, 민족무용교육, 동경한국학교 무용부, 조선학교, 조선무용 소조활동, Korean-Japanese, National dance education, Korean school dance department, Joseon school, Joseon dance Sojo activity
배명균류 기본 춤 교습법에 관한 연구
김수영 ( Kim Suyeong )  무용역사기록학회, 무용역사기록학 (SDDH) [2021] 제60권 121~141페이지(총21페이지)
이 연구는 배명균의 기본 춤 교습과정을 연구자가 사사받은 순서대로 하체 사위, 발 디딤, 상체 사위, 음색 호흡법을 기록하고자 한다. ‘무대 뒤의 춤의 마술사’, 혹은 ‘안무의 마술사’라고 불리셨던 배명균은 50년 동안 무대 뒤의 조련사로서 본인이 무대에서 춤을 추어 본 적이 없다. 그러나, 남다른 지도력과 안무로 많은 무용가가 찾아와 지도를 받았으며, 조카인 배정혜를 길러 낸 춤의 명인이다. 배정혜는 누구인가? 한국의 국·공립 무용단체 단장을 역임하고, 현재 ‘신 전통’이라는 새로운 장르를 창조하여 제자들로 구성된 리을춤연구원, 배명균 춤 산조보존회를 창립하여 현재까지도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다. 연구자가 보는 배명균의 지도법은 기존의 지도법과는 상이했다. 세밀하고, 구체적으로 단계가 있었다. 발을 사용하는 방법, 디딤 체, 박자, 호흡, 손 끝,...
TAG 배명균, 배정혜, 하체사위, 하단전, 음색 호흡법, Bae Myeong-gyun, Bae Jeong-hye, Lower limb, Bottom front, Tone breathing
컨템퍼러리 댄스에서 페미니즘과 안무 미학의 관계: 메테 잉바르첸(Mette Ingvartsen)과 제레미 웨이드(Jeremy Wade)의 작업을 중심으로
김재리 ( Kim¸ Jae Lee )  무용역사기록학회, 무용역사기록학 (SDDH) [2021] 제60권 143~172페이지(총30페이지)
본 연구는 컨템퍼러리 댄스와 페미니즘의 관계성을 탐색하고 페미니즘과 안무의 미학적, 정치적 개념 및 실천의 관계를 살피는 것에 목적이 있다. 문헌연구를 통해 도나 해러웨이(Donna Haraway), 엘리자베스 그로츠(Elizabeth Grosz), 주디스 버틀러(Judith Butler)의 페미니즘 개념을 컨템퍼러리 댄스와 교차 논의했으며, 사례연구를 통해 안무가의 실천에서 페미니즘적 미학을 발견하고자 했다. 컨템퍼러리 댄스의 페미니즘적 미학의 개념은 첫째, 신체를 하나의 물질로 다루는 육체성의 개념으로, 인간의 육체를 공연의 재료로 고려하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신체를 주체적으로 움직이게 하는 과정으로서 안무를 바라보며 안무에서의 수행성을 강조한다. 셋째, 반규범적, 비정상성의 개념은 이분화된 성별로부터 발생하는 정...
TAG 페미니즘, 컨템퍼러리 댄스, 육체성, 수행성, 정상성, 퀴어, 제레미 웨이드, 메테 잉바르첸, Feminism, Contemporary dance, Corporeality, Performativity, Normality, Queer, Jeremy Wade, Mette Ingvartsen
소고춤 참여가 여성 노인의 뇌 기능에 미치는 영향: 뇌파측정 방법을 중심으로
서연수 ( Seo¸ Yeonsoo ) , 김운미 ( Kim¸ Un-mi )  무용역사기록학회, 무용역사기록학 (SDDH) [2021] 제60권 173~192페이지(총20페이지)
본 연구는 소고춤 학습이 여성 노인의 뇌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 대상은 60세 이상의 여성 노인으로 실습에 참여한 실험집단 15명,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15명으로 구성하였고, 실습 기간은 12주간 주 2회 60분씩 실시하였다. 각 집단은 실험 전후 뇌파검사 EEG를 통해 뇌 기능분석을 측정하였으며, 자료 처리는 SPSS 25.0(IBM, USA)을 이용하여 집단(소고춤, 통제 군)과 기간(사전, 사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원변량 반복측정 분산분석(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여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소고춤 프로그램을 통해 집단에 따른 차이가 나타난 뇌 기능 지수는 기초율 동지...
TAG 소고춤, 여성노인, 뇌파, 뇌 기능 지수, 뇌파도, Sogo Dance, Elderly women, Brainwave, Brain function, Electroencephalography, EEG
프랑스 누벨바그와 초기 컨템포러리댄스인 누벨당스의 상관성 연구
심정민 ( Shim Jeong Min )  무용역사기록학회, 무용역사기록학 (SDDH) [2021] 제60권 193~211페이지(총19페이지)
프랑스 누벨바그(Nouvelle Vague)는 1950-60년대 기성 영화에 대해 반기를 들면서 신선한 발상, 다양한 표현양식, 기술상의 혁신을 추구하였다. 이러한 누벨바그라는 새로운 예술적 물결이 누벨당스(Nouvelle Danse)와 어떠한 유의미한 상관성을 띠는지를 연구하는 게 본 논문의 목적이다. 누벨당스는 1980년대 프랑스를 중심으로 서유럽에 나타난 새로운 ‘젊은 춤(Jeune Danse)’으로서 안무적 혁신뿐 아니라 시청각적 장치, 의상, 음악과 소리 등의 전반적인 연출에 있어서도 기존의 무용예술과는 다른 양상을 띠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누벨당스는 컨템포러리댄스의 초기 형태로서 오늘날 서유럽을 넘어 전세계적으로 동시대적인 창작춤의 정체성을 확립하게 만든 경향이라고 할 수 있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
TAG 누벨당스, 누벨바그, 컨템포러리댄스, 프랑스 누벨당스, 초기 컨템포러리댄스, Nouvelle Danse, Nouvelle Vague, Contemporary dance, France Nouvelle Danse, Early contemporary Dance
1956-57년 국립 최승희 무용연구소의 소련 순회공연과 공연작품들의 글로컬리티 연구
양민아 ( Yang¸ Mina )  무용역사기록학회, 무용역사기록학 (SDDH) [2021] 제60권 213~242페이지(총30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1956년 9월 최승희와 안성희를 필두로 동유럽 순회공연에 파견된 국립 최승희 무용연구소 단원을 포함한 107명의 대규모 북한예술단의 마지막 일정이었던 소련 순회공연의 세부 일정을 밝히고, 그 목적과 의의 그리고 공연 작품들을 알아보는 것이다. 두 번째는 이 작품들을 통해 1950년대 최승희의 작품창작 경향과 소련의 예술가들 및 관객들의 수용양상을 바탕으로 공연작품들에 나타난 최승희식 글로컬리티 현상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국립 최승희 무용연구소는 1956년 11월 30일-1957년 1월 12일까지 약 44일간 소련 순회공연을 가졌다. 이번 순회공연에서 무용극 <사도성의 이야기>, <맑은 하늘 아래서>, <조선의 어머니>와 25개의 민속무용 소품을 공연하였다. 이번 공연을 통해서 최...
TAG 1956-57년, 국립 최승희 무용연구소, 소련 순회공연, 북한 발레, 글로컬리티, 1956-57, Choi Seung-hee National Dance Studio, Concert tour to the USSR, North Korean ballet, Glocality
한국춤 기본무의 연구동향
유혜진 ( You Hyejin )  무용역사기록학회, 무용역사기록학 (SDDH) [2021] 제60권 243~267페이지(총25페이지)
본 연구는 한국춤 교육에 있어 기본무의 역할과 중요성을 인식하며, 한국춤 기본무 연구의 동향을 살핌으로 학문적 정체성을 수립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길잡이로써 활용되도록 하기 위함에서 출발하였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의 학술검색 사이트에서 기본무와 관련된 키워드를 검색하여 첫 연구가 시작된 1974년부터 최근 2020년까지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학위논문 36편과 학술지 논문 30편의 총66편을 최종 선정하였으며 연도별, 발행기관별, 주제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연도별 기준은 10년을 단위로 전체 5기로 구분하였다. 제1기는 전체 연구 대비 6.1%의 연구가 이루어진 시기로, 학술지 연구에 비해 학위 논문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제2기는 12.1%의 양적 증가를 보였으며, 제3기는 1기와 같은 6.1%로 2기에 비해 양적 감소가 확인된다. ...
TAG 한국춤, 기본무, 기본춤, 연구동향, Korean dance, Basic dance, Research trend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