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의 세계 북한의 언어

 1  언어의 세계 북한의 언어-1
 2  언어의 세계 북한의 언어-2
 3  언어의 세계 북한의 언어-3
 4  언어의 세계 북한의 언어-4
 5  언어의 세계 북한의 언어-5
 6  언어의 세계 북한의 언어-6
 7  언어의 세계 북한의 언어-7
 8  언어의 세계 북한의 언어-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언어의 세계 북한의 언어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조선어 신철자법(朝鮮語新綴字法)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성립 전의 북조선에서 조선 어문 연구회가 1948년 1월 15일에 정한 한국어 맞춤법으로, 1954년 조선어 철자법이 제정될 때까지 북조선의 유일한 공식적인 맞춤법 규범이었다. 여기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하 ‘북’)의 현행 맞춤법인 ‘조선말규범집’(1987년 제정, 이하 ‘북의 현행 맞춤법’)과 차이가 나는 점을 중심으로 기술하며 필요에 따라 조선총독부에 의한 ‘언문 철자법’(1930년 제정), 조선어 학회(오늘의 한글학회)에 의한 ‘한글 맞춤법 통일안’(1933년 제정), 대한민국(이하 ‘남’)의 현행 맞춤법인 ‘한글 맞춤법’(1988년 제정, 이하 ‘남의 현행 맞춤법’)과의 차이점에 관해서도 언급한다. 남북의 언어적 차이 전반에 관해서는 ‘한국어의 남북간 차이’를 참조.
1) 제정 경위
조선어 신철자법은 1933년에 조선어 학회(오늘의 한글 학회)에 의해 제정된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비판, 검토하는 데서 시작되었다고 하며 구체적으로는 한글 맞춤법 통일안에서 이루어진 형태주의적인 표기법을 한층 더 강화한 것이다. 분단 국가 성립 전의 38선 이북에서는 1947년 2월 5일에 북조선 인민 위원회 175호 결정에 따라 조선 어문 연구회가 조직되어 한국어 연구가 추진되었다. 이 조직은 남북 분단 아래서 남한의 조선어 학회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 38선 이북에서 언어 연구를 맡는 조직으로서 창설되었다고 추정된다. 조선어 신철자법은 조선 어문 연구회 내에서 정비 작업이 진행되었으며 1948년 1월 15일에 발표된 후에도 계속해서 언어학자들에 의해 검토되었다. 조선 어문 연구회는 이극로(李克魯), 홍기문(洪起文) 등 해방 후에 월북한 언어학자가 합류하여 1948년 10월에 재편되었는데 1949년 7월 26일의 제10차 전문 위원회에서는 조선어 신철자법에 관한 보고가 있었고 그 정당성이 재확인되었다.
2)구성
조선어 신철자법은 총론, 각론으로 이루어지며 각론은 5장 64항으로 이루어진다.
■ 총론
■ 각론
제1장 자모
제1절 자모의 수와 그 순서
제2절 자모의 이름
제2장 어음에 관한 것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