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학 유물조사 아차산성과 창덕궁

 1  고고학 유물조사 아차산성과 창덕궁-1
 2  고고학 유물조사 아차산성과 창덕궁-2
 3  고고학 유물조사 아차산성과 창덕궁-3
 4  고고학 유물조사 아차산성과 창덕궁-4
 5  고고학 유물조사 아차산성과 창덕궁-5
 6  고고학 유물조사 아차산성과 창덕궁-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고학 유물조사 아차산성과 창덕궁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아차산성(阿且山城)은 행정구역상 서울특별시 광진구(廣津區) 광장동(廣壯洞) 산16-46번지에 위치하는 삼국시대의 산성이다. 아차산 산줄기의 남단 끝에 위치하고 있으며 1973년 사적 제234호로 지정되었다. 아단성(阿旦城) 또는 아차성(阿且城)·장한성(長漢城)·광장성(廣壯城)으로도 불린다. 축성 연대를 정확하게 알 수는 없지만『삼국사기(三國史記)』에 백제 책계왕(責稽王) 원년(286) 고구려의 침입을 대비해 성을 수리했다고 나와 있는 것으로 보아 적어도 그 전에는 축성된 것으로 보인다.
전체 둘레는 1125m이며 전체적인 평면 형태는 부정형(不定形)의 육각형 형태를 띄고 있다. 산성 내부의 가운데로는 계곡이 형성되어 있을 만큼 크며, 성벽이 이 계곡을 껴안고 있는 상태를 하고 있는 포곡식(包谷式) 성내에 1개 또는 그 이상의 계곡을 포용하고 그 주위를 둘러싼 산줄기의 능선을 따라 성벽을 구축한 성.
산성이다. 해발고도 200m 산꼭대기에서 시작해 동남쪽으로 한강을 향하여 완만하게 경사진 산 중턱 위쪽을 둘러서 성벽이 구축되어 있으며 동쪽·서쪽·남쪽에 성문지(城門址)가 남아 있다.
구조는 기본적으로 경사진 땅을 깎는 삭토법(削土法) 자연지세를 이용하여 지형의 안팎을 적절히 깎아 급경사의 성벽을 조성하는 축성방식.
에 의하여 대체의 형태를 축조한 뒤 그 뒷부분을 따라 돌아가면서 성벽의 내외협축(內外夾築) 깬 돌을 안팎에 담처럼 쌓고 그 안에 돌을 넣는 방식.
으로 쌓았다. 높이는 밖에서 보면 평균 10m 정도이지만 그보다 더 높은 곳도 있다. 내측에서는 1∼2m 내의 높이로 보이지만 흙 속에 묻혀있는 성벽은 석축이 2∼4m의 수직으로 남아 있다. 수구(水口) 물을 끌어 들이거나 흘려 내보내는 곳.
부근은 평탄해져서 내벽은 남아 있지 않으나, 기초 부분은 묻혀 있으리라 여겨진다. 성 밖으로 강변 나루터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에는 좌우 양편의 지형을 이용, 삭토 혹은 판축(版築) 판자를 양쪽에 대고 그 사이에 흙을 넣어서 단단하게 다져 담이나 성벽 등을 쌓는 일.
하여 성벽을 연장하였던 흔적을 찾을 수 있으나, 지금은 주택들이 들어서서 그 원형을 잃게 되었다. 문화재청, 아차산성,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3,02340000,11, 2015.05.03.
1998년과 1999년에 두 차례에 걸친 아차산성의 시굴조사결과 현재 남아 있는 아차산성의 대부분의 시설물은 신라에 의해 축조된 것으로 보인다. 또 아차산성에서 ‘북(北)’, ‘한(漢)’, ‘한산(漢山)’ 등의 글자가 새겨진 기와가 발견되었는데, 이것들로 인해 시굴조사보고서에는 지금의 아차산성을 신라의 북한산성(北漢山城)으로 비정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 조사는 일부 지점에만 행해진 제한적이고 부분적인 시굴조사였음을 감안할 때 전면적인 추후 발굴조사를 통해서 정확한 성격을 규명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차산성은 전략적 요충지로서 백제가 수도를 방어하기 위하여 쌓은 산성이다. 그러다 장수왕(長壽王) 63년(475)에 고구려의 차지가 되어 장수왕이 한성백제를 공격한 뒤 개로왕(蓋鹵王)이 이 성에서 살해당한다. 고구려는 아차산에 보루(堡壘) 적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돌 따위로 튼튼하게 쌓은 구축물.
들을 설치하고 한강유역을 점령하였다. 아차산성을 비롯한 한강유역일대는 고구려가 차지했다가 진흥왕(眞興王)대에 신라 수중에 들어갔다. 그 후 아차산성은 신라와 고구려의 한강유역 쟁탈전 때 삼국시대의 중요한 요새였다. 이후 구체적인 기록이 남아있지 않아 폐성된 것으로 보이며 그 시기를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대략 9~10세기 사이로 추정된다. 아차산성은 한강유역을 둘러싼 삼국의 각축양상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중요한 유물이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참고문헌
-장순용,『창덕궁』, 대원사, 1990.
-답사여행의 길잡이 15 - 서울, 돈화문,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7224&cid=42840&categoryId=42848, 2015.05.04.
-문화재청, 창덕궁,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3,01220000,11, 2015.05.03.
-문화재청, 창덕궁 돈화문,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3830000,11, 2015.05.04.
-창덕궁 홈페이지, www.cdg.go.kr, 2015.05.0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돈화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6094, 2015.05.04.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창덕궁,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5378, 2015.05.03.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