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세전 작품 분석

 1  만세전 작품 분석-1
 2  만세전 작품 분석-2
 3  만세전 작품 분석-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만세전 작품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1922년「만세전」의 모태가 된「묘지」에서부터 중장편소설에 손을 댄 황보는, 그 이후 일제 말기의 절필 기간 및 해방 이후 한동안의 혼란기를 제외하고는 거의 일 년에 한 편 꼴로 장편소설을 꼬박꼬박 발표한다 김경수,『廉想涉 長篇小說 硏究』, (株)一潮閣, 1999. 260면.
.『만세전』(1923년)은 염상섭의 대표작의 하나이면서 식민지 문학의 수작의 하나로 꼽히는 작품이다. 1인칭 시점 형식에 의해 서술되는 이 소설은 일본 동경에 유학 중인 주인공이 아내가 위독하다는 전보를 받고 귀향하려는 데서 시작하여 귀향 후 아내와 끝내 사별하고 다시 서울을 떠나게 되는, 정확하게 3일간에 걸친 기행적 사실의 서술로 되어 있다 문학과 문학교육 연구소,『한국현대소설사』, 삼지원, 1999. 101면.
.
「만세전」작품에 나타난 인물과 서사 구조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Ⅱ. 작품에 나타난 인물
이 작품의 주인공 ‘나’(이인화)는 장기간의 일본 유학의 특전을 누릴 수 있었던 구양반층의 후예로 뚜렷한 가치관이나 사회의식이 결여된 인물이다. 민족의식조차, 망국의 백성임을 잊지 않으면서도 민족의식이란 각별한 정치적 신념은 지니고 있지 않은, 객관적인 중간의식의 소유자이다 김윤식,「염상섭론」,『한국근대작가론고』, 일지사, 1981. 175-177면.
. 그러나 이러한 주인공은 연락선 승선차 하관에 이르러, 식민지 조국의 암울한 현실을 직접 겪고 봄으로써 자신이 처해있는 사회적 현실에 대한 자각적, 비판적 안목을 갖게 된다. 특히 주인공은 부산행 연락선 속의 목욕탕에서 조선의 농촌 노동자들을 속임수로 모집하여 지상의 지옥 같은 일본 각지의 공장, 광산에 팔아넘기는 일본인 협잡배들의 대화를 엿듣고는 큰 충격을 받는다. 그리하여 중성적 가치관의 소유자인 주인공의 자아중심적인 의식이 식민지 조국의 음화를 포착해 감에 따라 사회 속의 자아를 자각하게 되고 점차 자기 속에 잠자고 있던 민족의 연대의식을 다시 느끼게 된다 유종호,「염상섭론」,『현대작가연구』, 민음사, 1976. 101-102면.
.
부산의 시가지 묘사를 통해서 제시하는, 신입자 일본인들의 수탈 과정과 원주민 조선인의 파산 과정 및 이주 현상, 조선 여인과 일본 남자 사이의 혼혈아를 통해서 제시되는 민족적 자비(自卑)의 국면, 엿장수와의 대화를 통해서 제시하는 민족의 몽유병적 우열(愚劣)에 대한 비판, 그리고 수모를 자초하는 일본인에 대한 비굴한 자세 등은 모두 그러한 예들이다. 또한 주인공의 현실인식은 암울하고 비참한 식민지 사회 속에서 낡은 봉건적 가치관에 얽매이고, 비굴할 만큼 현실 영합적으로 살아가는 보수적, 이기적 속물 전형들의 제시를 통해서도 잘 드러나고 있다. 소학교 교원으로 칼을 차고 출세욕과 물욕에 젖어 있는 형, 일제의 회유정책에 휘말려 친일 협잡꾼으로 전락한 김의관, 그에 이끌려 정치적 허영에 들떠있는, 완고한 아버지, 종손이라는 덕택에 무위도식하면서도 종손의 긍지만은 잃지 않으려는 종형 등 가족적 인물들이 모두 그러한 전형이다. 뿐만 아니라, 가족 밖의 인물로 일본인 형사보다 더 악독한 한국인 순사 보조원, 일본인 관료 앞에서 비굴한 태도로 수모를 자초하는 갓장수, 조선인이 분명하면서도 일어를 지껄이는 역부와 차지영감 등도 모두 같은 부류이다 유종호, 위의 책, 민음사, 1976. 103면.
.
Ⅲ. 서사 구조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