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학과 형식주의 비평

 1  한국문학과 형식주의 비평-1
 2  한국문학과 형식주의 비평-2
 3  한국문학과 형식주의 비평-3
 4  한국문학과 형식주의 비평-4
 5  한국문학과 형식주의 비평-5
 6  한국문학과 형식주의 비평-6
 7  한국문학과 형식주의 비평-7
 8  한국문학과 형식주의 비평-8
 9  한국문학과 형식주의 비평-9
 10  한국문학과 형식주의 비평-10
 11  한국문학과 형식주의 비평-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문학과 형식주의 비평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형식주의 비평은 문학 외적 요소들을 통해 작품을 평가하는 전기나 역사적 비평 내지 사회적 비평과는 달리 작품 자체에 내의 형식적 요건을 중시하여 분석·평가하는 비평방식을 지칭한다. 다시 말해 역사주의나 전기적 비평이 작품을 평가할 경우 작가의 사상이나 감정, 작품에서 다루고 있는 사회상에 끼친 영향 등을 통하여 인과적으로 분석한 모방론이나 실용적 관점이 비본질적인 요소들에 지나치게 치중한 나머지 본질적인 요소를 간과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즉 형식주의 비평은 문학 작품 전체를 구성하고 있는 부분들을 세밀히 알고자 하며, 부분과 전체의 관계를 통해서 작품의 미적인 구조와 언어적 특성을 밝히고자하는 비평의 방법이다. 형식주의 비평은 문학을 예술이라는 범주에 넣어 다루고자 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정지용은 현대시사에서 대표적인 모더니스트 시인, 그리고 청록파 시인으로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다. 1920년대까지의 대다수 시인이 감정의 분출에 독립적이지 못한 본능적인 시를 썼지만 그는 다양한 감각적 경험을 선명한 심상과 절제된 언어로 시를 쓰며 1920년대 초반에 작품 발표를 시작하여 1930년대 대표적인 시인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감정을 감각화하고 절제하며 마무리짓는 탁월한 그의 시적 능력이 여실히 드러나 있는 그의 시들을 형식주의 비평을 통하여 알아보자.
2. 작가소개
시인 정지용은 1902년 5월 15일 충북 옥천군 옥천읍 하계리 40번지에서 정태국과 정미하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부친이 약상을 경영하여 여유 있는 생활을 누렸으나 어느 해 여름 홍수로 집과 재산을 잃고 경제적으로 어려운 생활을 했다. 1913년, 열두살이 되던 해에 동갑인 송재숙과 결혼했다. 1918년 휘문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하였으며, 이 무렵부터 문재를 나타내어 박팔양 등과 8명으로 요람동인을 만들어 동인지 「요람」을 프린트 판으로 10여 호를 냈다. 1926년에는 , 등 3편의 시를 발표하며 문단활동이 시작된다. 1929년에는 도시샤대학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귀국했다. 그 해 9월 모교인 휘문고보 영어과교사로 부임하게 되며, 부인과 장남을 데려와 종로구 효자동에 자리잡는다. 12월에는 아들을 잃고 쓴 시인 을 쓴다. 1935년에는 당시 발표된 그의 작품 89편이 수록된 첫 시집 「정지용 시집」을 시문학사에서 출간했다. 1939년에는 문장지의 시 부문 추천위원이 되어 조지훈, 박두진, 박목월 등을 등단시켰다. 1941년에는 둘째 시집 「백록담」이 문장사에서 발간되었고, 1946년 6월에 「지용시선」이 을유문화사에서 나왔다. 1950년 6.25전쟁이 일어나자 정치보위부로 끌려가 구금되었다. 이후 서대문형무소에 수용되었다가 평양감옥으로 이감되었으나 그 후 폭사 당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3. 정지용 시 비평
유리창 1
유리琉璃에 차고 슬픈것이 어린거린다.
열없이 붙어서서 입김을 흐리우니
길들은양 언날개를 파다거린다.
지우고 보고 지우고 보아도
참고문헌
참고문헌
김신정, 「정지용의 문학세계연구」, 깊은샘, 2001.
김영철, 「한국 대표시 다시보기14」, 월간 문학바탕, 2013.3.
맹용재 외, 「디딤돌 문학 시」, 도서출판 디딤돌, 2006.
손병희, 「정지용 시의 형태와 의식」, 국학자료원, 2007.
이승철, 「정지용의 에 대한 인지시학적 연구」, 『언어문학』 제72집, 한국언어문학회, 2010.
장도준, 「정지용 시 연구」, 태학사, 1994.
정원술, 「정지용 ‘두 칸 이상 띄어쓰기’ 기법의 연원과 후기 산문시의 의미」, 『한국근대문학연구』 제28호, 한국근대문학회, 2013.
정지용, 「지용시선」, 을유문화사, 1946 (2006년 재발행).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