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세계 무형문화유산 등재된 강강술래

 1  유네스코 세계 무형문화유산 등재된 강강술래-1
 2  유네스코 세계 무형문화유산 등재된 강강술래-2
 3  유네스코 세계 무형문화유산 등재된 강강술래-3
 4  유네스코 세계 무형문화유산 등재된 강강술래-4
 5  유네스코 세계 무형문화유산 등재된 강강술래-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유네스코 세계 무형문화유산 등재된 강강술래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전통적으로 강강술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세시절기인 설, 대보름, 단오, 백중, 추석, 9월 중구 밤에 연행되었으며,특히 팔월 추석날 밤에 대대적인 강강술래 판이 벌어졌다.
강강술래는 노래(Song), 무용(Dance), 음악(Music)이 삼위 일체의 형태로 이루어진 원시종합 예술로서 한국 특유의Ballad Dance이다. 춤을 추는 여성들 중에서 노래 잘하는 한 사람이 선소리를 하면 모든 사람들이 뒷소리를 받는 선후창의 형태로 노래되며, 노랫소리에 맞춰 많은 여성들이 손에 손을 잡고 둥글게 원을 그리며 춤을 춘다.
민요(Folkdore)와 민속무용(FolkDance)이 일체화되며,거기에 그치지 않고 북이나 장구 등 한국의 전통적인 농악기로 반주를 하여 민속음악(Folk Music)이 흥을 더한다.
강강술래는 초저녁에 달이 뜰 때 시작하여 달이 서산에 기울 때까지 계속 놀아질 정도로 흥겹고 또한 역동적이다. 선소리를 하는 사람의 노랫가락의 빠르기에 따라 긴강강술래, 중강강술래, 잦은강강술래로 구분되는데, 이러한 노래의 빠르기에 따라 손을 잡고 뛰는 여성들의 발놀림도 빠르기가 달라진다. 또한 이러한 세 가지는 형태는 같으면서 다만 빠르기를 달리하는 것에 반해서 ‘남생이놀이’, ‘고사리꺾기’,‘청어엮기’, ‘기와밟기’, ‘덕석말기’, ‘쥔쥐새끼놀이’, ’대문놀이’,‘가마등밟기’, ’수건찾기’, ’봉사놀이’ 등 다양하며 부대적인 놀이들이 중간 중간에 놀아지기도 한다. 또한 밤을 새워가며 가사를 바꾸어 보르는 노랫말은 여성들의 삶의 애환이 담겨있는 민중의 시로서 매우 문학성이 풍부한 구비문학이기도 하다.
전통적인 전승지역은 한반도의 서남부 지역으로, 1966년에 중요무형문화재 지정한 이래 전라남도 진도군과 해남군 일원에서 전통적인 전승이 이루어지고 있고, 이를 바탕으로 진도에서 매년 개최되고 있는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전국강강술래경연대회 등을 통해 국내,외에 많이 소개되고 있다.
2. 강강술래소개:
어원 : ‘강강술래’는 민요의 받는 소리처럼 그 뜻을 정확히 알기는 어렵다.대표적 해석에는 임진왜란에 연계시킨 해석으로 강강수월래(强姜水越來)라는 한자말로 오랑캐가 물을 건너오니 경계하라는 뜻풀이가 있다.다음으로는 강강술래는 순수한 우리말로서 〈원을 돌며 순라를 서다〉라는 뜻의 순수 국어라는 주장이 있다.
기원 : 강강술래의 기원에는 고대부터 전수되어 온 가무로 농경사회 수확의례의 농민원무에서 유래되었다는 제의설과 유희설이 있고 또한 임진왜란시 이순신의 의병술에서 연유되어 후에 승전을 기리며 팔월 한가위를 택해 연행했다는 군사목적설과 축제설이 있다.
분포지역 : 강강술래의 중심권인 서남해역은 한국 해양 문화의 중심지로 고대부터 일본↔한국↔중국으로 이어지는 해양실크로드의 요충지로서 문화의 집결지이자 해상무역의 중심지였다. 그 서해와 남해의 해로를 따라 강강술래가 전승 분포되어 서해로는 황해도, 동해로는 영일만까지 그리고 내륙으로는 화순, 담양, 장성, 전주, 금산, 임실, 의성까지 영향을 미치고 안동의 놋다리밟기나 영덕의 월월이청청이 그 영향을 추정해 볼 수 있다.
3. 전승
문화재 지정과 진도, 해남의 두 계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