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도에 나타난 조선시대 민화의 표현 양상과의 의

 1  문자도에 나타난 조선시대 민화의 표현 양상과의 의-1
 2  문자도에 나타난 조선시대 민화의 표현 양상과의 의-2
 3  문자도에 나타난 조선시대 민화의 표현 양상과의 의-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자도에 나타난 조선시대 민화의 표현 양상과의 의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조선시대 민화 중 ‘孝悌忠信禮義廉恥’의 글자를 그림으로 형상화한 효제문자도를 중점적으로 탐구하여, 그 표현상 특징과 당시 문자도의 문화 예술적 의의를 고찰
2. 연구 대상의 중요성
1) 민화는 우리 고유의 독창적인 회화 형태로서, 남아있는 작품의 수가 비교적 다양하고 방대하기 때문에 연구 대상으로서 유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다.
2) 대부분의 회화를 비롯한 미술품들이 당시 상층부의 문화를 반영하는 반면, 동시대의 하층부의 문화생활과 감정을 알 수 있는 중요 역할을 하는 것은 민화이다.
3) 미술사학측면에서 ‘효제문자도’는 진정한 의미의 민화로의 확산과 함께 새로운 형식미의 창출과정이 잘 드러나며, 종래의 상류층의 문화적 미감에서 생활 감정이 풍부한 민중의 문화로서 변화되는 사회적, 문화적 과정을 잘 보여준다.
3. 연구 성과
민화의 미술사적 가치를 가장 먼저 인정한 사람은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로 그가 1959년『민예』지에 발표한 논문이 한국 민화 연구의 출발이 되었다. 이 글에서 조선의 ‘민화’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것을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용어의 사용에 관해서는 조자용, 김호연, 김철순, 이우환 등의 의견이 분분하다.)
그 후 70년대 초 일명 ‘민화붐’을 맞이하게 되면서 위의 연구가들에 의해서 많은 저서와 논고가 발표된 바 있다. 기존 민화에 대한 관점은 크게 두 가지 중심축이 있는데, 하나는 민화의 제작과 사용 범위이고 다른 하나는 예술적 가치관의 문제이다. 이에 관하여 대표적 연구가 조자용의 연구를 살펴보면, 그는 한국의 모든 회화를 한화(漢畵)라고 하고 이를 순수회화, 실용회화로 분류하면서 민화란 넓게 보면 한화를 일컫고 좁게 보면 실용회화를 일컫는다고 말했다. 또 과의의 민화관과 협의의 민화관은 ‘民’의 개념이 틀린 데 원인이 있다고 보고 종래의 협의의 민화관을 극복하자고 주장한 바 있다.
그 밖에 국내뿐만 아니라 일본에서 출간한 대형 화집 및 전시회 도록은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이다. 이상의 연구들로 말미암아 미술사학에서 상층의 미술인 전통회화만을 중시하던 풍조에서 민화라는 민중의 예술에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가 마련되었다. 우리가 민화의 우수성을 일본에 비해 늦게 깨달은 점에서 더 많은 논의와 풍부한 이해를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4. 문제의 제기
조선 민화에 대한 역사적 유래와 미술사적 가치를 연구한 작업은 불과 30여년 밖에 되지 않는다. 그 기간 동안 민화의 연구는 논리적 체계로서가 아니라 일관적인 찬양이나 작위적으로 개념을 확대하여 객관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기존 연구가들은 궁중의 장식화, 낙관없는 무명화가의 작품을 모두 민화로 취급하여 민화가 역사적 유산임을 간과하고 통시대적인 민속적 유물로 간주하여 그것의 생성 발전에 나타난 역사성을 배제한 평가를 내리고 있다. 이는 민중의 문화를 대표하는 민화의 독자성과 미의식을 알아내고, 상층문화를 모방하면서 시작한 민화의 비민중적인 요소를 분별하는 것에 실패했다고 보인다.
참고문헌
9. 참고문헌
유홍준, 『문자도』, 대원사, 2003.
윤열수, 『민화 이야기』, 다자인 하우스, 2004.
김영학, 『민화』, 대원사, 1998.
김원용, 안휘준, 『한국미술의 역사』, 시공아트, 2005.
김철순, 『한국 민화 논고』, 예경, 1991.
김호연, 『한국의 민화』, 열화당, 1978.
야나기 무네요시 저, 박재삼 역, 『조선과 예술』, 범우사, 1989.
윤열수, 『꿈꾸는 우리 민화』, 보림, 2005.
______, 『민화』, 예경, 2000.
이우환, 『이조의 민화』, 열화당, 1977.
임두빈, 『한국의 민화Ⅲ : 물고기 글씨그림』, 서문당, 1993.
조자용, 『민화』, 웅진, 1992.
______, 『조선시대 민화』, 예경, 1989.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