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도의 섬 문화 다도해의 민속

 1  전라도의 섬 문화 다도해의 민속-1
 2  전라도의 섬 문화 다도해의 민속-2
 3  전라도의 섬 문화 다도해의 민속-3
 4  전라도의 섬 문화 다도해의 민속-4
 5  전라도의 섬 문화 다도해의 민속-5
 6  전라도의 섬 문화 다도해의 민속-6
 7  전라도의 섬 문화 다도해의 민속-7
 8  전라도의 섬 문화 다도해의 민속-8
 9  전라도의 섬 문화 다도해의 민속-9
 10  전라도의 섬 문화 다도해의 민속-10
 11  전라도의 섬 문화 다도해의 민속-11
 12  전라도의 섬 문화 다도해의 민속-12
 13  전라도의 섬 문화 다도해의 민속-13
 14  전라도의 섬 문화 다도해의 민속-14
 15  전라도의 섬 문화 다도해의 민속-15
 16  전라도의 섬 문화 다도해의 민속-16
 17  전라도의 섬 문화 다도해의 민속-17
 18  전라도의 섬 문화 다도해의 민속-18
 19  전라도의 섬 문화 다도해의 민속-19
 20  전라도의 섬 문화 다도해의 민속-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전라도의 섬 문화 다도해의 민속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전라도의 섬 문화
다도해의 민속
목 차
1. 머리말
3. 다도해 신안군의문화
3.1 지도
3.2 임자도
3.3 흑산도
3.4 가거도
3.5 홍도와 비금도
5. 다도해의 향후 발전방향
2. 다도해의 개념적 의미
2.1 다도해란
2.2 다도해의 특징
4. 다도해 지역의 방언 및 설화
4.1 신안지역 방언의 특징
4.2 지역별 방언 대비표
4.3 압해도 설화
6. 맺음말
1. 머 리 말
서남해의 섬과 바다는 주민들의 다양한 삶이 이루어진 생활의 현장이자 역사 문화의 무궁한 저장고입니다. 섬과 바다에 터전을 둔 주민들은 바다를 안방처럼 다니며 고기를 잡고 무역을 하면서 가꾸고 일꿔 바다를 생계의 터전으로 삼아왔습니다. 또한 서남해의 섬과 바다는 고대 해양실크로드 시대부터 이미 문명교류의 중심 통로였고 장보고시대에는 동아시아의 중심 무대였으며, 해금의 시대가 도래하자 서남해 주민들은 어업이라는 기존의 자원 획득 방식을 더욱 개발하고 확장하여 어로문화의 새로운 장을 열어 갔습니다. 이처럼 우리 조는 이번 자료를 준비하면서 다도해의 중요성에 관하여 학우님들의 조금이나마 다도해의 지식을 쌓아 가기를 바랍니다.
2. 다도해의 개념적 의미
多島海 전라남도와 대한해협 사이의 섬이 많은 바다. 약 2300개의 크고 작은 섬들이 흩어져 있는데, 행정구역상으로는 전라남도가 80% 이상인 1891개를 차지하고 경상남도에는 419개가 있다.
2.1 다도해란
2. 다도해의 개념적 의미
2.2 다도해의 특징
역사적 특징
삼국시대나 통일신라시대에 있어 다도해지역은 백제와 일본, 중국과 일본간의 교역로로 중요하게 되었다. 특히, 신라 말기에 이르러 당나라와 왜의 해적들이 이 지역에 빈번히 출몰하여 횡포를 부리자 장보고(張保皐)는 해로의 요충지인 청해(淸海;지금의 莞島)에 진(鎭)을 설치하고 해적들을 완전 소탕하여 당나라·왜국과의 삼각무역을 활발히 전개하였다. 고려시대에는 죄인의 유배, 조선·항해술의 발달 등으로 인하여 남해 도서에는 이주가 활발하게 되었다. 또한 원나라에 대항하던 삼별초(三別抄)가 1000여 척의 배를 몰고 진도(珍島)에 들어와 대몽항쟁을 하면서 한때 남해의 도서는 삼별초의 해상왕국이 되기도 하였다. 조선시대에 이르러 다도해의 도서지방은 한반도 남동부의 배후지에서 모아진 공물을 중앙으로 수송하는 중요한 동서교통로의 구실을 하였다. 한편 오늘날 이조백자가 다도해의 도서 전역에서 발견되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조선 후기에는 현재의 유인도의 대부분에 주민이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
2. 다도해의 개념적 의미
2.2 다도해의 특징
자연적 특징
다도해지역은 위도가 낮고 연중 난류가 흘러 비교적 온난다습한 해양성기후를 이룬다. 연평균기온은 13∼14℃, 8월평균기온은 24∼25℃이고, 강수량은 남서해안지역이 1200㎜ 이상으로 비교적 적고, 남해안의 도서지방은 1400∼1600㎜로 한국 최다우지의 하나이다. 남서해안지역의 섬들을 제외하면 겨울 북서계절풍의 풍하지역(風下地域)이 되어 겨울이 매우 따뜻하며, 동중국해상에서 발생한 저기압이 남해상을 통과할 때는 겨울에도 강수가 빈번하여 연중 비가 많다. 소백산맥이나 태백산맥의 끝부분에 있는 섬들은 산이 높고 산지가 많은 것이 특색이다. 주요 섬의 최고봉을 보면 홍도의 고래봉(368m), 진도의 첨찰산(尖察山, 485m), 완도의 상황산(象晃山, 644m), 남해도(南海島)의 망운산(望雲山, 786m), 거제도(巨濟島)의 옥녀봉(555m) 등이 있다. 식생은 연중 온화한 해양성 기후로 인하여 상록활엽수의 난대림이 곳곳에 발달하여 해안의 절경과 더불어 뛰어난 자연경관을 이루며, 특이한 식물들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2. 다도해의 개념적 의미
2.2 다도해의 특징
산업, 교통적특징
다도해의 산업은 지형적·위치적 특성 때문에 대부분 수산업과 관련을 가지고 있으며 농업을 겸한 반농반어의 가구가 많다. 총가구 중 산업별 구성비를 보면 농업이 전체의 39.8%, 농·어업겸업이 36.7%, 어업이 11.0%, 상업이 4.1%, 제조업을 포함한 기타가 2.5%, 상·농업겸업이 0.5%, 공무원이 5.4%를 각각 차지하고 있다. 특히, 순어업과 농·어업겸업을 합하면 전체의 47.7%가 되어 다도해의 산업구성비율에서 수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다. 토지이용현황을 보면 논 1만 3310ha, 밭 2만 3210ha, 임야 7만 2210ha로 구성되어 있으며, 경지이용률은 약 15%로 전국 도서평균 9.6%보다 높다. 호당 경지면적은 0.7ha로 육지에 비하여 농업의 영세성을 면하지 못하고 있다. 대규모 수리시설이 곤란하므로 수리불안전답 및 밭의 비중이 높아 농산물의 생산도 보리·콩·감자 등 밭작물 중심이다. 다도해의 교통은 연안항로를 통한 해상교통에 대부분 의존하고 있다. 도서를 연락하는 기항지로는 목포(木浦)·여수·나로도(羅老島)·거문도(巨文島)·완도·진도 등이 있고, 목포·여수 등에서 운항하는 항로는 60개 노선에 이른다. 그러나 대부분의 도서가 군청소재지로부터 50㎞ 이상 떨어져 있으므로 정기여객선의 운항이 원활하지 못하다.
2. 다도해의 개념적 의미
2.2 다도해의 특징
사회 문화적특징
다도해의 교육시설 및 사회복지·의료시설은 매우 영세적이고 부족한 실정이다. 전라남도 도서지역의 교육시설은 유치원 47개소, 초등학교 146개교, 중학교 40개교, 고등학교 13개교가 있고, 전체학생수는 7만 3487명으로 전체인구의 25.4%에 해당한다. 사회복지·문화시설로는 병원·의원·약국·마을회관·마을문고 등이 있으나, 그 시설은 빈약한 편이다. 다도해의 주요문화재로는 사찰 및 사적문화재와 이충무공전적지 및 유물로 대별할 수 있다. 이충무공전적유물로는 명량대첩비·이충무공전적비·이충무공유적(사적 제114호) 등이 있다. 주요사찰 및 사적문화재로는 신안군(新安郡) 비금면(飛禽面)의 삼층석탑, 도덕도(道德島)의 신안해저유물문화재, 진도군의 항몽유적(抗蒙遺跡)인 남도석성(南桃石城)·용장산성(龍藏山城), 임회면(臨淮面)의 삼별초유적지와 용장사(龍藏寺) 미륵석불, 쌍계사 대웅전 등이 있다.
3. 다도해 신안군의 문화
3.1 지도
무안반도의 최남단에 위치한 신안군 지도읍은 목포에서 66km 떨어진 지점(동경 35.08°)에 위치해 있다. 동쪽은 무안군 해제면, 서쪽은 임자면, 남쪽은 자은면과 입해면에 이웃하고, 북쪽은 바다 건너 영광군 낙월면과 이웃한다. 유인도 5개 무인도 41개로 구성되어 있고, 해안선 총 연장은 196km(군의 16%) 이다.
삼국시대에는 사람이 살지 않는 무인도로서 무안반도의 최남단 해안지방이었으나 인동장씨 장봉래가 조선 연산군 때 최초로 입향하였는데, 처음에는 함평군 양림리에 거주하던 중 무오사화를 당하자 이곳에 은거하였다고 한다. 그로부터 현재의 마을이 형성되어 마을을 동과 서로 구분해서 동촌, 서촌으로 불리워진다. 1869년 군청이 들어서면서 한때 번창했던 지도군은 현재의 신안군 각 도서는 물론 영광의 안마도, 전북의 위도, 목포의 율도, 영암의 나불도까지 관할했다.
3. 다도해 신안군의 문화
3.1 지도
1914년 한일 합방으로 지도군이 폐지되고 지도면이 되면서 무안군에 예속되기까지 17년 동안 군세를 떨쳤는데 현재는 신안군에 속하여 지난 1980년 읍으로 승격되었다. 1975년 2월 무안군 해제면과 연륙되므로써 신안군에서 유일하게 배를 타지 않고 갈 수 있는 곳이 되었고, 미맥중심 농업에서 소득작물 등 작물체계 다변화로 소득이 향상되어 가고 있다. 임자, 증도 등과 철부도선으로 연결되어 있어 교통이 원활하며, 또한 교육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역사적인 문화유적으로는 조선 고종 1896년에 이루어진 행정개편으로 지도군이 새로 설치 되면서 “1군 1향교 건립” 원칙에 의하여 1898년에 창설된 지도향교가 있으며, 읍내리 선창에서 약간 떨어진 곳에 무려 스물 일곱 개의 비석이 나란히 서있는 비석거리가 또한 볼거리이다. 해제에서 지도로 가는 연륙교 방죽에서는 숭어낚시가 잘 되기로 유명하기도 하다. 고동섬에서도 농어와 숭어가 잘 잡히며, 민물 낚시로는 봉리지가 유명한데 붕어와 민물장어가 잘 잡힌다. 지도의 특산물로는 미질이 좋은 간척지 쌀(어머니고향쌀)이 유명하다.
3. 다도해 신안군의 문화
3.1 지도
향교는 유학을 교육하기 위하여 지방에 설립한 국가교육기관이다.
지도향교는 조선 고종 1896년에 이루어진 행정개편으로 지도군이 새로 설치되면서 "하나의 군에 하나의 향교를 둔다"는 원칙에 따라 1898년 뒤늦게 창설된 향교이다. 지도읍 봉정산의 남쪽 산록에 동남향으로 자리하고 있다.
1) 향 교
건물로는 대성전을 비롯하여 명륜당, 양사재, 내삼문, 외삼문 등이 있다.
또, 양사재 뒤편 담장 밖으로는 삼강비각 1채가 있다. 이 곳에서는 공부자 오성과 유교의 현인 22위를 봄, 가을 상정일에 향교 유림들이 석전대제를 지내는데 삼헌관이 제향을 올리는 곳이다.
참고문헌
참 고 문 헌
나승만 외 7인 『사회와 민속 다도해 사람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