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사] 임병양란 이후 사회변동과 조선후기 문학의 변화

 1  [고전문학사] 임병양란 이후 사회변동과 조선후기 문학의 변화-1
 2  [고전문학사] 임병양란 이후 사회변동과 조선후기 문학의 변화-2
 3  [고전문학사] 임병양란 이후 사회변동과 조선후기 문학의 변화-3
 4  [고전문학사] 임병양란 이후 사회변동과 조선후기 문학의 변화-4
 5  [고전문학사] 임병양란 이후 사회변동과 조선후기 문학의 변화-5
 6  [고전문학사] 임병양란 이후 사회변동과 조선후기 문학의 변화-6
 7  [고전문학사] 임병양란 이후 사회변동과 조선후기 문학의 변화-7
 8  [고전문학사] 임병양란 이후 사회변동과 조선후기 문학의 변화-8
 9  [고전문학사] 임병양란 이후 사회변동과 조선후기 문학의 변화-9
 10  [고전문학사] 임병양란 이후 사회변동과 조선후기 문학의 변화-10
 11  [고전문학사] 임병양란 이후 사회변동과 조선후기 문학의 변화-11
 12  [고전문학사] 임병양란 이후 사회변동과 조선후기 문학의 변화-12
 13  [고전문학사] 임병양란 이후 사회변동과 조선후기 문학의 변화-13
 14  [고전문학사] 임병양란 이후 사회변동과 조선후기 문학의 변화-14
 15  [고전문학사] 임병양란 이후 사회변동과 조선후기 문학의 변화-15
 16  [고전문학사] 임병양란 이후 사회변동과 조선후기 문학의 변화-16
 17  [고전문학사] 임병양란 이후 사회변동과 조선후기 문학의 변화-17
 18  [고전문학사] 임병양란 이후 사회변동과 조선후기 문학의 변화-18
 19  [고전문학사] 임병양란 이후 사회변동과 조선후기 문학의 변화-19
 20  [고전문학사] 임병양란 이후 사회변동과 조선후기 문학의 변화-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문학사] 임병양란 이후 사회변동과 조선후기 문학의 변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임병양란과 조선 사회의 변동
1. 임진왜란
1-1. 조선과 왜의 시대 상황
1-2 임진왜란의 과정
1-3 조선, 일본, 명에 미친 영향
2. 병자호란
2-1 병자호란의 발발과 경과
3. 임병양란으로 인한 문학 변화양상
Ⅲ. 임진왜란과 실기 문학
1. 실기문학상의 임진왜란 체험
1-1 현직 관원의 실기
1-2 의병의 실기
1-3 피난민의 기록
2. 임진왜란과 국외체험의 기록문학
2-1 잡혀간 사람들의 기록
2-2 통신사들의 일기
Ⅳ. 병자호란과 실기 문학
1. 실기 문학상의 병자호란 체험
1-1. 남한산성과 강도의 수난을 다룬 실기
1-2. 잡혀간 사람들의 기록
Ⅴ. 시가를 통한 체험 변용
1. 임진왜란의 체험이 드러난 작품
1-1. 한시의 양상
1-1-1. 임진왜란 체험을 주제로 한 한시의 문학사적 의의
1-2. 시조의 변화
1-3. 가사의 변화
2. 병자호란의 체험이 드러난 작품
Ⅵ. 허구적 상상에서의 문제 제기
1. 임병양란을 주제로 한 몽유록
2. 임진왜란 설화의 반영- 「임진록」
3. 병자호란을 소재로 한 소설- 「임경업전」
4. 박씨전

Ⅶ. 결론
본문내용
임진왜란(壬辰倭亂, 1592)과 병자호란(丙子胡亂, 1636)은 우리 민족사에서 커다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국난이다. 착실하게 안정된 기조를 자리 잡아 왔다고 믿어왔던 조선의 절대적 왕권체제가 외세의 침입 앞에서 취약성을 드러내면서 內外로 커다란 도전을 자초하게 되었고, 마침내는 그 병리적 구조를 숨길 수 없게 되었다. 김태준 外, 『임진왜란과 한국문학』, 民音社, 1992, p.11

임병양란을 겪은 뒤인 조선 후기는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제 1기이다. 중세문학을 지키고자 하는 노력과 근대문학을 이룩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서로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고 얽혀 있으므로, 그 시기를 중세문학의 연장이라고 보는 것을 잘못이고, 근대문학의 시발이라고 해도 무리가 있다.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는 단순한 과도기가 아니고, 그 나름대로의 뚜렷한 특징을 가진 독자적인 시기이다. 조동일, 『한국문학통사3』, 지식 산업사, 1982, p.9
본고는 임병양란 이후의 국제정세와 조선 사회의 변동, 그로 인한 문학의 변화에서 오는 특징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Ⅱ. 임병양란과 조선 사회의 변동

1. 임진왜란(壬辰倭亂)

1-1. 조선과 왜의 시대 상황
임진왜란이란 1592년부터 1598년까지 2차에 걸쳐 왜국이 조선을 침범한 사건을 말하며 1차를 임진왜란, 2차를 정유왜란(丁酉倭亂)이라 한다. 하지만 포괄적 의미에서 1,2차를 합쳐 통상 임진왜란이라고 한다.
임진왜란이 일어났던 선조 대의 조선은 약 200년 동안 부분적인 외침을 제외하고는 거의 전쟁을 치른 적이 없는 나라였기 때문에 조선 전역은 불시에 예상되는 전쟁에 대한 대비를 소홀히 했다. 당시 조선은 붕당 정치의 기반을 닦고 있는 중이었다. 하지만 붕당 정치는 숱한 시행착오를 겪으며 자리매김을 하지 못하고 세력 경쟁으로만 치닫고 있어 대부분의 양반 계층은 붕당 정치에 대한 참여만을 모색하고 있었고, 국방에 대한 관심은 미비한 상태였다.
하지만 왜국의 상황은 달랐다.
참고문헌
김태준 外, 『임진왜란과 한국문학』, 民音社, 1992
김태준, 『임진란과 조선문화의 동점』, 한국연구원, 1977
이복규, 『임경업전』, 시인사, 1998
이정자, 『시조문학연구론』, 국학자료원, 2003
임철호, 『설화와 민중의 역사의식-임진왜란 설화를 중심으로』, 집문당, 1989
조동일, 『한국문학통사3』, 지식산업사, 1982
조동일․서종문, 『국문학사』,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1992
한국고전소설편찬위원회, 『한국고전소설론』, 새문사, 1990
이동근, 「임란전쟁문학연구」, 서울대 석사논문, 1983
장경남, 「丙子胡亂 實記와 著作者 意識 硏究」, 崇實語文學會, 1984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