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비문학과 판소리] 구비문학의 포괄적 이해, 판소리의 형성과 발달, 탈춤, 무가, 민요의 발달

 1  [구비문학과 판소리] 구비문학의 포괄적 이해, 판소리의 형성과 발달, 탈춤, 무가, 민요의 발달-1
 2  [구비문학과 판소리] 구비문학의 포괄적 이해, 판소리의 형성과 발달, 탈춤, 무가, 민요의 발달-2
 3  [구비문학과 판소리] 구비문학의 포괄적 이해, 판소리의 형성과 발달, 탈춤, 무가, 민요의 발달-3
 4  [구비문학과 판소리] 구비문학의 포괄적 이해, 판소리의 형성과 발달, 탈춤, 무가, 민요의 발달-4
 5  [구비문학과 판소리] 구비문학의 포괄적 이해, 판소리의 형성과 발달, 탈춤, 무가, 민요의 발달-5
 6  [구비문학과 판소리] 구비문학의 포괄적 이해, 판소리의 형성과 발달, 탈춤, 무가, 민요의 발달-6
 7  [구비문학과 판소리] 구비문학의 포괄적 이해, 판소리의 형성과 발달, 탈춤, 무가, 민요의 발달-7
 8  [구비문학과 판소리] 구비문학의 포괄적 이해, 판소리의 형성과 발달, 탈춤, 무가, 민요의 발달-8
 9  [구비문학과 판소리] 구비문학의 포괄적 이해, 판소리의 형성과 발달, 탈춤, 무가, 민요의 발달-9
 10  [구비문학과 판소리] 구비문학의 포괄적 이해, 판소리의 형성과 발달, 탈춤, 무가, 민요의 발달-10
 11  [구비문학과 판소리] 구비문학의 포괄적 이해, 판소리의 형성과 발달, 탈춤, 무가, 민요의 발달-11
 12  [구비문학과 판소리] 구비문학의 포괄적 이해, 판소리의 형성과 발달, 탈춤, 무가, 민요의 발달-12
 13  [구비문학과 판소리] 구비문학의 포괄적 이해, 판소리의 형성과 발달, 탈춤, 무가, 민요의 발달-13
 14  [구비문학과 판소리] 구비문학의 포괄적 이해, 판소리의 형성과 발달, 탈춤, 무가, 민요의 발달-14
 15  [구비문학과 판소리] 구비문학의 포괄적 이해, 판소리의 형성과 발달, 탈춤, 무가, 민요의 발달-15
 16  [구비문학과 판소리] 구비문학의 포괄적 이해, 판소리의 형성과 발달, 탈춤, 무가, 민요의 발달-16
 17  [구비문학과 판소리] 구비문학의 포괄적 이해, 판소리의 형성과 발달, 탈춤, 무가, 민요의 발달-17
 18  [구비문학과 판소리] 구비문학의 포괄적 이해, 판소리의 형성과 발달, 탈춤, 무가, 민요의 발달-18
 19  [구비문학과 판소리] 구비문학의 포괄적 이해, 판소리의 형성과 발달, 탈춤, 무가, 민요의 발달-19
 20  [구비문학과 판소리] 구비문학의 포괄적 이해, 판소리의 형성과 발달, 탈춤, 무가, 민요의 발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구비문학과 판소리] 구비문학의 포괄적 이해, 판소리의 형성과 발달, 탈춤, 무가, 민요의 발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구비문학(口碑文學)의 성격
1.1. 명칭과 개념
1.2. 위상

2. 구비문학의 갈래
2.1. 설화(說話)
2.2. 민속극(民俗劇)
2.3. 속담과 수수께끼

3. 판소리
3.1. 판소리란 무엇인가
3.2. 판소리의 전개와 변모
3.3. 판소리의 구성과 연행
3.4. 판소리 사설의 문학적 특성
3.5. 판소리 창의 음악적 특성
3.6. 판소리의 유파(‘제’)
3.7. 판소리 작품

4.탈춤
4.1. 농촌탈춤・떠돌이탈춤・도시탈춤

5. 무가
5.1.무가의 갈래

6. 민요
6.1.민요의 내용상 갈래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구비문학(口碑文學)의 성격
1.1. 명칭과 개념
구비문학은 문자를 통해 기록물로 전달되는 문학이 아니고, 입을 통해 말(言語)로 전달되는 문학을 가리키는 명칭이다. 김태곤 외, ⌜한국 구비문학개설2⌟, 민속원, 1995,
말이 글보다 더 원초적이고 기본적인 것처럼, 구비문학 역시 기록문학에 비하여 더욱 원초적이고 보편적이다. 말로 된 문학이라고 하는 것은, 말로 존재하고, 말로 전달되고, 말로 전승된다고 하는 세 가지의 측면을 강조한 말이다. 이러한 세 가지 조건을 갖추고 있을 때 온전한 구비문학으로 인정된다. 강등학 외, ⌜한국 구비문학의 이해⌟, 월인, 2000,

구비문학, 구전문학, 민속문학의 세 가지 명칭이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는데 이를 비교해보면 우선 ‘민속문학’은 그 명칭을 사용한 역사가 그리 오래되지 않았고, 주로 영미 쪽에서 즐겨 사용하는 Folk Literature와 관련이 있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특히 구비(口碑)와 구전(口傳)은 명칭상 구별하기 어려우나, 구비가 구전보다 강한 의미를 가지는 데다, (입으로 전하되 그것이 빗돌에 새긴 것과 같이 변하지 않는 말의 빗돌이란 의미가 있다.) 요즘 학술용어로 사용되는 빈도수를 보아도 구비문학 쪽이 많음을 알 수 있다.
구비문학은 인간의 상상을 통한 이상이 서정, 서사, 희곡양식 등을 통해 언어로 표현된다는 ‘문학’의 일반적인 개념 범위 안에 표현 전달 수단인 ‘구술’이 첨가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참고문헌
*강등학 외, 한국구비문학의 이해, 월인, 2000
*김광순 외, 국문학 개론,새문사, 2003
*김태곤 외, 한국 구비문학개설2, 민속원, 1995,
*박 황, 판소리 이백년사, 사사연, 1987.
*서대석, 한국문학총서3-구비문학, 해냄출판사, 1997,
*이경엽, 무가문학연구, 박이정, 1998
*이원수 한국문학개론, 삼지원, 1995
*정병헌, 판소리문학론, 새문사. 1993.
*조동일.서종문 공저, 국문학사, 한국방송대학교출반부, 2002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2005
*조동일, 탈춤의 역사와 원리, 홍성사, 1979
*한상수, 충남민담, 형설출판사, 1982
*황루시, 무당굿 놀이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논문, 1987
*현용준,제주도무속자료사전, 신구문화사, 1980,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