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중국문학] 한국 판소리 기원 연구 -중국의 영향설을 중심으로

 1  [졸업][중국문학] 한국 판소리 기원 연구 -중국의 영향설을 중심으로-1
 2  [졸업][중국문학] 한국 판소리 기원 연구 -중국의 영향설을 중심으로-2
 3  [졸업][중국문학] 한국 판소리 기원 연구 -중국의 영향설을 중심으로-3
 4  [졸업][중국문학] 한국 판소리 기원 연구 -중국의 영향설을 중심으로-4
 5  [졸업][중국문학] 한국 판소리 기원 연구 -중국의 영향설을 중심으로-5
 6  [졸업][중국문학] 한국 판소리 기원 연구 -중국의 영향설을 중심으로-6
 7  [졸업][중국문학] 한국 판소리 기원 연구 -중국의 영향설을 중심으로-7
 8  [졸업][중국문학] 한국 판소리 기원 연구 -중국의 영향설을 중심으로-8
 9  [졸업][중국문학] 한국 판소리 기원 연구 -중국의 영향설을 중심으로-9
 10  [졸업][중국문학] 한국 판소리 기원 연구 -중국의 영향설을 중심으로-10
 11  [졸업][중국문학] 한국 판소리 기원 연구 -중국의 영향설을 중심으로-11
 12  [졸업][중국문학] 한국 판소리 기원 연구 -중국의 영향설을 중심으로-12
 13  [졸업][중국문학] 한국 판소리 기원 연구 -중국의 영향설을 중심으로-13
 14  [졸업][중국문학] 한국 판소리 기원 연구 -중국의 영향설을 중심으로-14
 15  [졸업][중국문학] 한국 판소리 기원 연구 -중국의 영향설을 중심으로-15
 16  [졸업][중국문학] 한국 판소리 기원 연구 -중국의 영향설을 중심으로-16
 17  [졸업][중국문학] 한국 판소리 기원 연구 -중국의 영향설을 중심으로-17
 18  [졸업][중국문학] 한국 판소리 기원 연구 -중국의 영향설을 중심으로-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논문 > 인문계열
  • 2005.10.31
  • 18페이지 / hwp
  • 2,800원
  • 84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졸업][중국문학] 한국 판소리 기원 연구 -중국의 영향설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장 서론

제 2장 판소리에 관한 일반적인 견해
1. 판소리의 특징
2. 판소리의 기원

제 3장 중국과의 관계
1. 중국과의 관계
2. 판소리와 강창 문학의 발생 배경

제 4장 중국의 영향에 대한 근거
1. 지역적인 인접성
2. 작품 속에 등장하는 중국의 배경
3. 영향의 근거

제 5장 결론
본문내용
지금까지의 판소리와 관한 硏究는 첫째, 판소리의 一般的 原理 및 生成에 관한 硏究 구본희 〈판소리 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1993, p49~73참조

, 둘째 판소리 美學的 特性에 관한 探索 정병헌 《판소리와 한국문화》 역락, 2002, 서울, p80~90참조

, 셋째, 판소리의 綜合的인 構造에 관한 분석 김대행 《우리시대의 판소리 문화》역락, 2001, 서울, p31~35참조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는 판소리의 특질과 문제점을 밝히고 이해를 넓히는 데 크게 기여해 왔다.
그 동안 판소리 生成에 관한 한 硏究로서의 문학적 접근ㆍ민속학적 접근 그리고 中國의 講唱文學의 영향설 인권한 《판소리 唱者와 失傳 辭說 硏究》집문당, 서울, 2002년, 15쪽
이 提示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설 역시 단지 가정에 의한 추측일 뿐 누구도 정확한 結論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어떤 연구에서도 影向이란 중요한 요소이다. 왜냐하면 영향이란 어느 한 작가가 앞선 작가의 작품을 읽지 않았다면 존재할 수 없었을 그의 작품에 존재하는 어떤 것이라고 말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영향을 추정하는데 實證的인 자료가 제공되지 않는 한 연구의 진전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특히 판소리는 한 작가의 작가에 의해서 창작된 작품이 아니라 이조시대의 광대들의 입을 통하여 계승되고 발전된 적층문학적 성격을 갖고 있기에 작가의 개별적인 전기가 연구될 수 없는 상황에서의 영향에 대한 연구는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는 어쩌면 당연한 결과라고 생각된다. 과거에 형성된 문화 유산의 생성시기를 정확한 자료도 없이 단지 근접 자료만으로 판단을 해야하는 상황이라면 더욱 그렇다. 어차피 자료로 인한 추측의 근거를 제시하는 것만으로 판소리의 根源을 밝혀내야 하는 상황이라면 더 정확하고 근거 있는 자료를 제시하는 길만이 이 시대의 학문가의 역할이며, 좀더 많은 가능성을 두고 판단을 해야함이 옳다는데 그 견해를 두고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1. 정병헌 《판소리와 한국문화》 역락, 2002, 서울
《판소리의 형성과 변모》「판소리」, 전북애향운동본부, 1988
2. 김대행 《우리시대의 판소리 문화》역락, 2001, 서울
3. 인권한 《판소리 창자와 실전 사설 연구》집문당, 서울, 2002년
4. 조동일 《구비문학의 세계》새문사, 1980
《판소리의 전반적 성격, 판소리의 이해》창작과 비평, 1979
5. 김동욱 《한국 가요의 연구․속》이우출판사, 1980
6. 최정여 《한국 고시가 연구》계명대학교출판부, 1989
7. 최 부 《표해록》최기홍 역, 삼화인쇄 주식회사. 1979
8. 조명화 《불교와 동황의 강창문학》이회문화사, 서울, 2003년
9. 김학주 《중국의 강창 문학과 판소리》동아문화 6, 서울대학교 동아문화연구소, 1966
《중국 문학 개론》1977
《중국문학사론》서울대학교출판부, 2001
《당악정재 및 판소리와 중국의 가무극 및 창강》, 19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