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판적 글쓰기 - 영화 감상문 - 7번방의 선물

 1  비판적 글쓰기 - 영화 감상문 - 7번방의 선물 -1
 2  비판적 글쓰기 - 영화 감상문 - 7번방의 선물 -2
 3  비판적 글쓰기 - 영화 감상문 - 7번방의 선물 -3
 4  비판적 글쓰기 - 영화 감상문 - 7번방의 선물 -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비판적 글쓰기 - 영화 감상문 - 7번방의 선물 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영화감상문에 대한 보고
제목 : 7번 방의 선물
1997년 사건 충격으로 지적 장애를 앓고 있는 아버지 이용구는 딸 예승을 위해 세일러문 캐릭터가 그려진 노란색 가방을 사는 것을 꿈꾸며, 매일같이 가방 가게 앞에 들른다. 하지만 마지막으로 남은 가방은 경찰청장의 딸이 사고만다. 다음 날, 용구가 마트 주차요원으로 근무하여 받은 월급을 계산하던 도중 가방을 사 갔던 경찰청장의 딸을 만나고, 가방을 멘 아이는 용구에게 자신을 따라오라고 한다. 세일러문 가방을 파는 다른 곳을 알려주려고 전통시장의 골목길을 뛰어가던 아이는 스스로 빙판에 미끄러져 넘어지면서 뒤통수가 깨지고 떨어진 벽돌에 맞아 사망하고 만다. 아이를 따라갔던 용구는 목격자의 신고에 따라 경찰청장의 폭력에 대한 보복으로 아이를 살해, 강간한 것으로 억울하게 누명을 쓰고 결국 사형선고를 받아 성남교도소에 입감된다. 집에 혼자 남은 예승은 보육원으로 들어가게 된다.
성남 교도소에 있던 용구는 어느 날 같은 방을 쓰던 방장을 살리게 되고 방장은 용구에게 원하는 것을 말하라고 한다. 용구가 딸이 필요하다고 하자, 다른 수형자들의 도움으로 예승을 몰래 교도방으로 들여온다. 하지만 얼마 안 가 납치범에게 아들을 잃은 보안과장에게 이 사실이 발각되어 용구는 과장으로부터 미움을 받지만, 다른 재소자가 저지른 방화로 죽을 뻔한 보안과장을 용구가 구하자 과장 역시 생각이 달라져 용구를 도우려고 한다. 결국 모든 재소자들이 용구의 누명을 벗겨주기 위해 탄원서를 작성하고, 용구가 재심 법정에서 말해야 할 말들을 미리 준비하여 알려준다. 그러나 국선 변호사의 무성의한 변론 진행과 경찰청장의 협박·폭행으로 용구는 정작 현장에서 준비해갔던 말들을 이야기하지 못 하고, 거짓 자백을 하며 재심에서도 사형 선고를 받는다.
마지막 방법으로 다른 수형자들이 열기구를 만들어 예승과 용구를 탈출시키려고 하지만, 열기구가 교도소의 담에 걸려 넘지 못 해 실패한다. 결국 1997년 12월 23일, 예승의 생일에 용구의 사형이 집행되고, 14년 후 성인이 된 예승은 사법연수생이 되어 2012년 12월 23일 열린 모의국민참여재판에서 아버지의 누명을 벗기는 것으로 영화는 막을 내린다.
내가 이 영화를 보고 인상 깊거나 마음에 드는 장면이 있다면 지적 장애를 앓고 있는 아버지와 딸이 좌절하지 않고 행복하게 살아가고 있다는 것이다. 장애를 가지고 있어 힘들거나 좌절할 법도 한데 영화 초반에 나오는 둘의 모습은 영락없이 행복해 보였다. 어린 딸도 꿋꿋이 살아가고 있는 것이 보여서 보기 좋았다. 또, 영화에 나오는 등장인물들의 행동이나 대사도 기억에 남는다. 주연배우는 지적 장애인 연기를 어색하지 않게 해서 놀랐고, 영화에 집중이 더 잘 되었던 것 같다. 조연배우들의 웃긴 연기도 영화를 보는 내내 재밌었다.
딸 예승이를 교도소에 데려온다는 것과 죄수들의 생활을 보면 현실에서는 불가능한 일이지만 영화이기 때문에 더 재밌었다.
이렇게 재밌고 행복한 장면들이 많이 나왔지만 그래도 나는 전반적으로 슬프고 감동적 이었다. 또 화났던 장면도 많았다.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여러 면에서 정상인 사람들과 차별된 대우를 받는 것 같아서 기분이 좋지 않았다. 경찰청장의 딸이 죽은 것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지도 않고 말을 들어보려고 하지도 않고 장애를 가져서 죄를 씌었다는게 너무 속상했다. 또 장애인인걸 알면서도 무시하는 영화 속의 몇몇 사람들의 행동은 정말 잘못된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렇게 영화 속에서 장애인에 대한 차별 대우의 심각성을 보여주듯이 현실에서도 번번이 일어난다.
장애인에 대한 차별을 막자는 기사나 뉴스, 캠페인 등이 넘쳐난다. 하지만 막상 주위를 돌아보면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나는 이 영화를 보면서 장애인에 대한 대우에 대해서 다시금 생각하게 되었다.
그리고, 마지막 부분에 변호사의 무성의한 변론 진행과 경찰청장의 협박과 폭행으로 주인공이 거짓 자백을 해서 사형을 당하는 장면이 나온다. 이 장면에서도 자기의 이익만 챙기고 피해자를 이해하지 않는 사람들의 모습이 너무 화가 났다. 왜 이렇게 사람들이 이기적인 건지 이해가 잘 되지 않았다. 또 사형 선고를 받으러 가는 주인공이 딸과 헤어지는 장면에서는 제일 많이 울었던 것 같다. 너무 억울하고 슬펐다. 영화 속 얘기만이 아닌 것 같아서 더 마음이 좋지 않았다.
제일 끝 부분에서는 딸 예승이가 사법연수생이 되어서 아버지의 누명을 벗기는 장면이 나오는데 많이 늦었지만 그래도 진실이 밝혀져서 다행이라고 생각 했다. 이 때 대사가 "정의의 이름으로 아빠를 용서하겠습니다." 였다. 가장 기억에 남는 대사다. 자신의 아버지가 억울하게 누명을 쓴 것에 대해서 딸이 얼마나 슬펐을지 느껴지는 대사였다.
또, "당신 변호사잖아.. 당신이 그러고도 변호사야?" 하는 대사에서는 또다시 이기주의적인 사람들이 떠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