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세포암으로 인해 간절제술을 받은 환자에 대한 고찰

 1  간세포암으로 인해 간절제술을 받은 환자에 대한 고찰 -1
 2  간세포암으로 인해 간절제술을 받은 환자에 대한 고찰 -2
 3  간세포암으로 인해 간절제술을 받은 환자에 대한 고찰 -3
 4  간세포암으로 인해 간절제술을 받은 환자에 대한 고찰 -4
 5  간세포암으로 인해 간절제술을 받은 환자에 대한 고찰 -5
 6  간세포암으로 인해 간절제술을 받은 환자에 대한 고찰 -6
 7  간세포암으로 인해 간절제술을 받은 환자에 대한 고찰 -7
 8  간세포암으로 인해 간절제술을 받은 환자에 대한 고찰 -8
 9  간세포암으로 인해 간절제술을 받은 환자에 대한 고찰 -9
 10  간세포암으로 인해 간절제술을 받은 환자에 대한 고찰 -10
 11  간세포암으로 인해 간절제술을 받은 환자에 대한 고찰 -11
 12  간세포암으로 인해 간절제술을 받은 환자에 대한 고찰 -12
 13  간세포암으로 인해 간절제술을 받은 환자에 대한 고찰 -13
 14  간세포암으로 인해 간절제술을 받은 환자에 대한 고찰 -14
 15  간세포암으로 인해 간절제술을 받은 환자에 대한 고찰 -15
 16  간세포암으로 인해 간절제술을 받은 환자에 대한 고찰 -16
 17  간세포암으로 인해 간절제술을 받은 환자에 대한 고찰 -17
 18  간세포암으로 인해 간절제술을 받은 환자에 대한 고찰 -18
 19  간세포암으로 인해 간절제술을 받은 환자에 대한 고찰 -19
 20  간세포암으로 인해 간절제술을 받은 환자에 대한 고찰 -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간세포암으로 인해 간절제술을 받은 환자에 대한 고찰 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간세포암으로 인해 간절제술을 받은
환자에 대한 고찰
- 바이러스성 간염, 간세포암, 약인성 간손상을 중심으로 -
증 례
1. Pt name : 정○○ (남/51세)
2. C/C : quadriplegia
3. O/S : 2009년 4월 13일
4. P/H
1) DM/HTN/Tbc/Hepatitis/Heart disease : (-/-/-/-/-)
2) Seizure Hx./Pre stroke Hx./Hyperlipidemia : (-/-/-)
3) HCC s/p TACE, segmentectomy
- 2008년 신촌 세브란스 병원 / 1/10 정도 절제
4) HBV carrier
5. S/H : smoking/alcohol : (-/-)
GOT/GPT 검사
일시적인 간수치 상승으로 판단
anorex hold
stillen 복용 후 GOT, GPT 상승
zantac 대체하고 pennel 추가
투약 오류(옆 환자 약 잘못 복용)
03-16
대시호탕 투약 시작
03-25
대시호탕이 간수치를 상승시킨다고 판단하여 황련해독탕 투약 시작
04-02부터 육미지황탕 去 산약 투약
영상의학 검사
2010-02-16 복부 CT
Rt. hepatic segmentectomy 상태
바이러스성 간염
HAV
HBV
HCV
HDV
HEV
DNA/RNA 바이러스
RNA
DNA
RNA
RNA
RNA
잠복기
15-45
30-180
15-160
30-180
14-60
급성/만성
급성
급성, 만성
만성화되기 쉽다
급성, 만성
급성
감염경로
경구
혈액
혈액
혈액
경구
백신
있다
있다
없다
없다
없다
발암
드물다
조금 많다
많다
드물다
드물다
참고문헌
References
1. 전국한의과대학 간계내과학교수 공저. 간계내과학. 동양의학연구원. 2001.
2. 해리슨내과학편찬위원회. 해리슨내과학 16판 Vol.2. 정담. 2006.
3. 이용찬 역. SIM 내과학 6권 소화기질환. 정담. 2008.
4. 정숙향. 국내 A형간염의 현황과 백신 적응증. 대한소화기학회지. 2008; 51: 331-337.
5. 안상훈. 개원가에서 꼭 필요한 만성 B형간염의 체크 포인트. 제11회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 연수강좌. 2010; 1-10.
6. 권정현, 배시현. 국내 C형간염의 현황과 임상상. 대한소화기학회지. 2008; 51; 360-367.
7. David Yiu-Kuen But, Ching-Lung Lai, Man-Fung Yuen. Natural history of hepatitis-related hepatocellular carcinoma. World J Gastroenterol. 2008; 14(11): 1652-1656.
8. Parkin DM, Bray F, Herlay J, Pisani P. Estimating The worldwide cancer burden: GLOBOCAN 2000. Int J Acncer 2001: 94; 153-6.
9. 통계청. 2000년 사망원인통계연보. 주요 사망원인 변동추이. 2001.
10. 이광현. 간세포암 환자의 치료에 있어 수술적 절제술과 건동맥 화학색전술 치료요법에 따른 생존률 비교연구. 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석사학위 논문집. 2006. p10, p14.
11. 중앙암등록본부 보건복지부. 국가암 등록사업 연례보고서, 국립암센터 고양: 2008. p23.
12. 전국한의과대학 간계내과학교수 공저. 肝系內科學. 제4판. 서울: 東洋醫學硏究院 出版部. 2001; p366-367.
13. Kaplowitz N. Biochemical and cellular mechanism of toxic liver injury. Semin Liver Disease 2002;22:137-144.
14. Kaplowitz N. Mechanisms of cell death and relevance to drug hepatotoxicity. In:Kaplowitz N and L. LeLeve, ed. Drug-Induced Liver Disease, rcel Dekker 2001:85-95.
15. Bohan A, Boyer JL. Mechani는 of hepatic transport of drugs: inplications for cholestatic drug reactions. Semin Liver Dis 2002;22:123-136.
16. 장인수. 약인성 간손상의 진단기준 및 원인산정법. 대한한방내과학회. 2005; aut(1): 12-8.
17. 안병민. 약인성 간손상의 진단과 치료. 대한간학회지 7권. 부록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