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식민지주의] 탈식민지주의 교육과정의 논의 및 쟁점

 1  [탈식민지주의] 탈식민지주의 교육과정의 논의 및 쟁점-1
 2  [탈식민지주의] 탈식민지주의 교육과정의 논의 및 쟁점-2
 3  [탈식민지주의] 탈식민지주의 교육과정의 논의 및 쟁점-3
 4  [탈식민지주의] 탈식민지주의 교육과정의 논의 및 쟁점-4
 5  [탈식민지주의] 탈식민지주의 교육과정의 논의 및 쟁점-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탈식민지주의] 탈식민지주의 교육과정의 논의 및 쟁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도입
일본의 근대교육
한국 식민지 교육에서의 교육학
일본에 의해 영향을 받은 우리나라의 식민주의 교육의 특질
광복이후 우리나라의 교육
현재 탈식민지주의 교육과정 상황

본문내용
● 한국 식민지 교육에서의 교육학
해방 이전 한국 교육에 도입된 서구 교육학을 본격적으로 다룬 대표적인 연구는 김성학의 연구이다. 그는 식민지 지배 이전부터 한국 교육에 서구의 교육학이 어떤 경로를 통해 어떤 내용이 도입되었는가를 치밀하게 분석하였다. 이하, 그의 선구적인 연구를 참고로 하여 대체적인 서구 교육학 유입 과정을 개괄해 보면 다음과 같다.
김성학에 따르면 본격적으로 서구 교육학이 도입된 것은 구한말 일본 유학생에 의해서였다. 그는 1908년 당시 일본 사범 계열 학교에 유학하고 있던 8인 중에서 족적이 확인된 네 사람. 장응진(張膺震), 최명환(崔鳴煥), 유병민(劉秉敏), 강전(姜筌) 등의 활동을 분석하였다. 이 네 사람은 모두 관비 유학생으로서 앞의 세 사람은 토오쿄오 고등사범학교, 강전은 일본대학 사범과에서 재학하였다. 특히 장응진은 정규 사범 교육 과정을 모두 마치고 졸업한 최초의 한국인이었다. 이들은 토오쿄오고등사범학교에서 헤르바르트의 교육론을 습득하고 방학을 이용하여 본국에서 강습회 등을 통해 그것을 소개했을 것으로 김성학은 추측하고 있다. 그러나 교육학에 관한 글은 거의 발표하지 않았기 때문에, 결국 구한말에 저서 등을 통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