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칭과 초음파의 적용이 구축 유발 백서의 하지 기능과 근 위축 회복에 미치는 영향

 1  스트레칭과 초음파의 적용이 구축 유발 백서의 하지 기능과 근 위축 회복에 미치는 영향 -1
 2  스트레칭과 초음파의 적용이 구축 유발 백서의 하지 기능과 근 위축 회복에 미치는 영향 -2
 3  스트레칭과 초음파의 적용이 구축 유발 백서의 하지 기능과 근 위축 회복에 미치는 영향 -3
 4  스트레칭과 초음파의 적용이 구축 유발 백서의 하지 기능과 근 위축 회복에 미치는 영향 -4
 5  스트레칭과 초음파의 적용이 구축 유발 백서의 하지 기능과 근 위축 회복에 미치는 영향 -5
 6  스트레칭과 초음파의 적용이 구축 유발 백서의 하지 기능과 근 위축 회복에 미치는 영향 -6
 7  스트레칭과 초음파의 적용이 구축 유발 백서의 하지 기능과 근 위축 회복에 미치는 영향 -7
 8  스트레칭과 초음파의 적용이 구축 유발 백서의 하지 기능과 근 위축 회복에 미치는 영향 -8
 9  스트레칭과 초음파의 적용이 구축 유발 백서의 하지 기능과 근 위축 회복에 미치는 영향 -9
 10  스트레칭과 초음파의 적용이 구축 유발 백서의 하지 기능과 근 위축 회복에 미치는 영향 -10
 11  스트레칭과 초음파의 적용이 구축 유발 백서의 하지 기능과 근 위축 회복에 미치는 영향 -11
 12  스트레칭과 초음파의 적용이 구축 유발 백서의 하지 기능과 근 위축 회복에 미치는 영향 -12
 13  스트레칭과 초음파의 적용이 구축 유발 백서의 하지 기능과 근 위축 회복에 미치는 영향 -13
 14  스트레칭과 초음파의 적용이 구축 유발 백서의 하지 기능과 근 위축 회복에 미치는 영향 -14
 15  스트레칭과 초음파의 적용이 구축 유발 백서의 하지 기능과 근 위축 회복에 미치는 영향 -15
 16  스트레칭과 초음파의 적용이 구축 유발 백서의 하지 기능과 근 위축 회복에 미치는 영향 -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스트레칭과 초음파의 적용이 구축 유발 백서의 하지 기능과 근 위축 회복에 미치는 영향 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스트레칭과 초음파의 적용이
구축 유발 백서의 하지 기능과
근 위축 회복에 미치는 영향
*
*
서 론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장기화된 침상시기, 보조기 또는 플라스틱 부목을 이용한 관절의
고정이나 뇌졸중, 척수손상 또는 뇌성마비와 같은 중추신경계 병변
과 연관되는 과 긴장의 결과는 제한된 관절가동범위를 일으키며 근
육을 짧아지거나 길어진 상태로 고정시킴
(S.E. Farmer et al.,2001)
관절 구축은 개인의 일상적인 삶의 활동과 기능적 수행에 어려움을 일으키며, 이러한 문제는 재활 전문가들이 흔히 부딪히게 되는 문제이며 특히 짧아진 위치로의 근육 고정을 감소시키거나 예방하는 방법에 관해 재활치료에서 중요한 문제가 됨
(M. Okita et al.,2009)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고정에 의한 관절 구축은 myogenic, arthrogenic한 요소가
모두 관여하며 고정 후 1개월에는 관절 ROM의 제한이 myogenic
한 변화로 인한 것이 크며 고정 후 2-3개월에는 arthrogenic한
변화가 크게 작용함.
(Okamoto et al., 2004)
Myogenic 한 요소의 변화로 인한 관절 ROM의 제한을 근육 구축
이라고 부르며, 근육구축은 근육내결합조직(IM connective tissue)
의 변화와, 근섬유(muscle fiber)의 단축으로 인해 탄력성의 소실로
야기됨.
(spector SA et al.,1982; Williams PE and Goldspink G.,1984)
참고문헌
참고문헌
S.E. Farmer, M.James. Contracutre in orthopaedic and neurological conditions: a review of causes and treatment.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2001.23: 549-558.
Kerai B, Greensmith L, Vrbova G, Navarette R. Effect of tranient neonatal muscle paralysis on the growth of soleus motoneurons in the rat. Dev Brain Res. 1995. 85: 89-95.
Taylor, D. Dalton, J Seaber, Aand Garrett W. Viscoelastic properties of muscle-tendon units; The biomechanical effects stretching. AM J sports Med. 1990. 18(3): 300-309.
*
*

참고문헌
Herbison G. J, Jaweed M ,Ditunno JF. Muscle fiber atrophy after cast immobilization in the rat. Arch Phys Med Rehabil. 1978. 59(7):301-305.
Naoto Fujita, Takamitsu Arakawa, Takako Matsubara. Influence of fixed muscle length and contractile properties on atrophy and subsequent recovery in the rat soleus and plantaris muscle. Arch Histol Cytol. 2009. 72(3): 151-163.
M Okita, J Nakano, H Kataoka, J Sakamoto, T Origuchi. Effects of Therapeutic ultrasound on joint mobility and collagen fibril arrangement in the Endomysium of immobilized rat soleus muscle. 2009. 12(6): 11-55.
*
*

참고문헌
Spector SA, Simard CP, Fournier M, Sternlicht E and Edgerton VR. Architectural alterations of rat hind-limb skeletal muscles immobilized at different lengths. Exp Neurol. 1982. 76: 94-110.
Williams PE , Goldspink G. Connective tissue changes in immobilized muscle. J Anat. 1984. 138: 343-350.
Pamela E Williams. Effect of intermittent stretch on immobilised muscle. Annals of the Rheumatic Diseases. 1988. 47: 1014-1016.
*
*

참고문헌
Williams PE. Use of intermittent stretch in the prevention of serial sarcomere loss in immobilised muscle. Annals ofthe Rheumatic Diseases. 1990. 49: 316-317.
Lehmann JF, Masock AJ, Warren CG, Koblanski JN. Effects of therapeutic temperatures on tendon extensibility. Arch Phys Med Rehabil. 1970. 51:481-487.
Okamoto M, Okita M, Kasuya A, Nakano J, Kuwatsuka S, Nishida M, Tomori K,Yoshimura T. Effects of immobilization period on restriction of soft tissue and articulation in rat ankle joint.Rigakuryohogaku.2004.31:36-42.
*
*

참고문헌
Anna R.S. Gomes, Anabelle Cornachione,Tania F Salvini. Morphological effects of two protocols of passive stretch over the immobilized rat soleus muscle. J Anat. 2007. 210: 328-335.
Locke M, Nussbaum E. Continuous and pulsed ultrasound do not increase heat shock protein 72 content. Ultrasound Med Biol. 2001. 27: 1413-1419.
Minoru Okita, Jiro Nakano, Hideki kataoka. Effects of therapeutic ultrasound on joint mobility and collagen fibril arrangement in the endomysium of immobilized rat soleus muscle. Ultrasound in medicine & Biology. 2009. 35(2): 237-24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