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회학] 제7차 교육과정과 불평등 요소

 1  [교육사회학] 제7차 교육과정과 불평등 요소-1
 2  [교육사회학] 제7차 교육과정과 불평등 요소-2
 3  [교육사회학] 제7차 교육과정과 불평등 요소-3
 4  [교육사회학] 제7차 교육과정과 불평등 요소-4
 5  [교육사회학] 제7차 교육과정과 불평등 요소-5
 6  [교육사회학] 제7차 교육과정과 불평등 요소-6
 7  [교육사회학] 제7차 교육과정과 불평등 요소-7
 8  [교육사회학] 제7차 교육과정과 불평등 요소-8
 9  [교육사회학] 제7차 교육과정과 불평등 요소-9
 10  [교육사회학] 제7차 교육과정과 불평등 요소-10
 11  [교육사회학] 제7차 교육과정과 불평등 요소-11
 12  [교육사회학] 제7차 교육과정과 불평등 요소-12
 13  [교육사회학] 제7차 교육과정과 불평등 요소-13
 14  [교육사회학] 제7차 교육과정과 불평등 요소-14
 15  [교육사회학] 제7차 교육과정과 불평등 요소-15
 16  [교육사회학] 제7차 교육과정과 불평등 요소-16
 17  [교육사회학] 제7차 교육과정과 불평등 요소-17
 18  [교육사회학] 제7차 교육과정과 불평등 요소-18
 19  [교육사회학] 제7차 교육과정과 불평등 요소-19
 20  [교육사회학] 제7차 교육과정과 불평등 요소-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사회학] 제7차 교육과정과 불평등 요소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문제제기와 논의 방향

II. 본론
가.이론적 배경
-사회재생산이론
-교육의 불평등 기제
나.사례 연구-7차 교육과정 분석
-7차 교육과정 개관
-분과별 불평등요소 분석
①수준별 교육과정
②선택중심 교육과정
③수행평가
④재량활동

III.결론
요약과 대안제시
본문내용
(1)문제제기와 논의 방향
해방 이후 한국 사회에서는, 학력 자체가 지위 상승의 척도로 여겨졌다. 이에 대한 전 국민적인 열망은 공교육의 확대를 가져왔으나, 사회가 점차 구조화되어감에 따라 전면적으로 확대된 교육 기회에도 불구하고 교육에 의한 사회적 지위 이동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이것은 상층 계급에게 보다 양질의 교육 시장에 접근할 수 있는 경제적 능력과, 교육 제도 내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문화 자본의 전승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연구는 보울즈와 긴티스, 부르디외 등에 의한 사회재생산 이론에서도 충분히 논의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기존의 이론을 바탕으로 우리교육에 대한 문제인식과 분석을 진행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분석의 대상 선정
우리의 교육문제는 최근의 수능부정 사건 등 끊임없이 사회이슈가 되어 왔다. 그만큼 교육이 사회적 출세를 결정짓는 민감한 잣대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는 반증일 것이다. 따라서 사회적 지위결정에 미치는 교육의 영향력에 대한 접근은 사회학적으로 상당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그런데 여기서 접근하려는 우리 교육의 범위는 행정단위별로 분류하면 국가수준의 교육부, 지역단위인 시도 교육청, 개별 학교 단위 등이고 단계별로는 초․중․고․대학, 산업체 교육까지로 매우 넓다. 또한 교육 문제로는 입시교육문제, 조기교육, 사교육 문제, 교원단체간 갈등문제, 평준화 논쟁과 관련된 지역별 학력격차 등 다양한 사회적 논란들이 난무하고 있다.
참고문헌
최홍규,1999 “학부모의 교육지원 행위와 아동 인식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교육행정 전공)
김옥근,1988 “사회경제적 배경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 연구”, (석사 학위논문, 서울대학교대학원 사회교육과)
김천기, 1991, 문화재생산이론, 교육과학사
김천기, 2001, “한국 사회적 맥락에서 본 수준별 교육과정 - 불평등 재생산 기제 - ”
강순녀,1999, “교사의 학생에 대한 차별적인 기대요인 분석”, (경상대학교교육대학원 교육사회학 전공)
앤서니 기든슨, 2003, 현대 사회학, 을유문화사
신수진, “수준별 교육과정의 자가당착”,「월간 초등 우리교육」
이인규, “우열반의 새로운 이름, 수준별 교육과정”, 「월간 중등 우리교육」
교육부,1999, “수행평가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전문직연수자료,
이은상,1999, “초등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수행평가 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류남득, 2003, “재량활동의 평가”